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칼 라너의 초월론적 계시에 대한 연구 = Untersuchung der transzendentalen offenbarung Karl Rah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234175

      • 저자
      • 발행사항

        부천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종교학과 신학전공 , 2013. 8

      • 발행연도

        201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231.74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iv, 191 p. : 삽화 ; 26cm.

      • 일반주기명

        가톨릭대학교 (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최혜영
        참고문헌(p.178-191) 포함.

      • 소장기관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월론적 계시란 인간의 초월에 주시는 하느님의 자기전달을 말한다. 하느님께서 몸소 인간 정신의 구성성분이 되시어 인식과 자유의 선험적 지평이 되어주신다. 라너는 현대의 철학사조와 대화하는 가운데 하느님이 인간과 더 없이 가까운 분이라는 사실을 말하고자 한다. 그는 현대철학의 방법론을 그의 철학과 신학에 적용하여 초월-인간학적으로 전향된 사유를 전개한다. 이는 인간중심적으로 전향된 현대인들의 신앙을 돕기 위함이다. 이러한 라너 사유의 배경에는 마레샬과 하이데거, 토마스가 있다.
      라너의 종교철학서인 <<말씀의 청자>>는 초월론적 방법에 의거하여 인간이 계시를 들을 수 있는 선험적 조건을 다루고 있다. 초월론적 계시에서는 인간 정신의 초월성이 문제가 된다. 라너는 인간의 이 초월성을 끌어내기 위해 인간을 형이상학적 존재로 규정한다. 인간이 바로 존재질문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식과 존재의 원천적인 동일성을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라너는 존재를 자기에게 있음으로 규정한다. 인간은 존재를 향한 무한한 개방성 곧 정신이다. 무한히 존재를 추구하는 인간에게서 의지는 인식의 내적 요소가 된다. 인간은 자신의 우연한 유한성을 의지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존재의 열림을 보게 된다. 인간의 초월 가운데 절대존재로서 나타나신 하느님은 인간이 자신의 우연한 유한성을 받아들일 때 강대한 인격으로서 마주 서시는 것이다. 이 하느님은 세계 내 존재자로서 영육의 합일체인 인간이 시간과 공간의 역사 안에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모든 것 안에서 비주제적으로 체험된다. 인간은 영육의 합일체라는 그 근본태세 때문에 하느님의 말씀을 역사 안에서 고대할 수밖에 없다.
      라너는 그의 신학에서 은총을 존재론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은총의 물상적 이해를 피하고자 한다. 그는 하느님의 자기전달로서 창조되지 않은 은총을 규정한다. 라너는 본성과 은총의 관계에서 인간과 하느님과의 더없는 가까움을 보게 된다. 본성은 바로 은총의 그릇이기 때문이다. 초월론적 계시는 모든 시대 모든 장소의 모든 이들에게 주어진다. 따라서 초월론적인 계시의 역사는 구원사와 인류사와 공존한다. 초월론적 계시의 보편성 때문이다. 만인에 대한 하느님의 보편적인 구원의지 때문에 인간은 초자연적인 실존의 삶의 영위한다. 인간은 그가 무엇을 하든 하느님 안에 살아간다. 인간이 이것을 알든 모르든 인간의 모든 사유와 행위는 하느님의 초월론적 계시에 대한 응답이다. 그래서 초월론적 계시에 의해 주어지는 하느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비 그리스도교인들은 익명의 그리스도인이다.
      초월론적 구원역사 신학은 그리스도중심적인 창조와 은총과 인간 공동체를 기반으로 진화론적 세계관 위에서 진행되는 예수의 육화사건을 이해하고자 한다. 여기서 육화하신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외현화이다. 하느님께서 하느님이 아니고자 하실 때 될 수 있는 것이 인간이다. 따라서 인간에 대한 모든 차별이 금지되며, 창조와 은총과 인간 공동체의 주인이신 예수 그리스도 때문에 인간이하의 것에 대한 모든 불의한 가치판단이 금지된다.
      초월론적 계시는 만인의 구원을 원하시는 하느님의 의지에 따라 모든 인간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교회는 인류를 위해 봉사하는 교회, 인류의 일치를 증진시키는 교회, 인류와 더불어 함께 하면서 복음을 살아야 하는 교회로 나타난다.
      라너의 초월론적 계시는 하느님의 세상 통치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초월론적 계시는 세상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 때문에 그리스도교의 사목분야와 영성에 있어서 원대한 비전을 갖게 한다. 뿐만 아니라 역사성에 대한 라너의 고찰은 교회가 세상역사에 대해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번역하기

      초월론적 계시란 인간의 초월에 주시는 하느님의 자기전달을 말한다. 하느님께서 몸소 인간 정신의 구성성분이 되시어 인식과 자유의 선험적 지평이 되어주신다. 라너는 현대의 철학사조와...

      초월론적 계시란 인간의 초월에 주시는 하느님의 자기전달을 말한다. 하느님께서 몸소 인간 정신의 구성성분이 되시어 인식과 자유의 선험적 지평이 되어주신다. 라너는 현대의 철학사조와 대화하는 가운데 하느님이 인간과 더 없이 가까운 분이라는 사실을 말하고자 한다. 그는 현대철학의 방법론을 그의 철학과 신학에 적용하여 초월-인간학적으로 전향된 사유를 전개한다. 이는 인간중심적으로 전향된 현대인들의 신앙을 돕기 위함이다. 이러한 라너 사유의 배경에는 마레샬과 하이데거, 토마스가 있다.
      라너의 종교철학서인 <<말씀의 청자>>는 초월론적 방법에 의거하여 인간이 계시를 들을 수 있는 선험적 조건을 다루고 있다. 초월론적 계시에서는 인간 정신의 초월성이 문제가 된다. 라너는 인간의 이 초월성을 끌어내기 위해 인간을 형이상학적 존재로 규정한다. 인간이 바로 존재질문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식과 존재의 원천적인 동일성을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라너는 존재를 자기에게 있음으로 규정한다. 인간은 존재를 향한 무한한 개방성 곧 정신이다. 무한히 존재를 추구하는 인간에게서 의지는 인식의 내적 요소가 된다. 인간은 자신의 우연한 유한성을 의지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존재의 열림을 보게 된다. 인간의 초월 가운데 절대존재로서 나타나신 하느님은 인간이 자신의 우연한 유한성을 받아들일 때 강대한 인격으로서 마주 서시는 것이다. 이 하느님은 세계 내 존재자로서 영육의 합일체인 인간이 시간과 공간의 역사 안에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모든 것 안에서 비주제적으로 체험된다. 인간은 영육의 합일체라는 그 근본태세 때문에 하느님의 말씀을 역사 안에서 고대할 수밖에 없다.
      라너는 그의 신학에서 은총을 존재론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은총의 물상적 이해를 피하고자 한다. 그는 하느님의 자기전달로서 창조되지 않은 은총을 규정한다. 라너는 본성과 은총의 관계에서 인간과 하느님과의 더없는 가까움을 보게 된다. 본성은 바로 은총의 그릇이기 때문이다. 초월론적 계시는 모든 시대 모든 장소의 모든 이들에게 주어진다. 따라서 초월론적인 계시의 역사는 구원사와 인류사와 공존한다. 초월론적 계시의 보편성 때문이다. 만인에 대한 하느님의 보편적인 구원의지 때문에 인간은 초자연적인 실존의 삶의 영위한다. 인간은 그가 무엇을 하든 하느님 안에 살아간다. 인간이 이것을 알든 모르든 인간의 모든 사유와 행위는 하느님의 초월론적 계시에 대한 응답이다. 그래서 초월론적 계시에 의해 주어지는 하느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비 그리스도교인들은 익명의 그리스도인이다.
      초월론적 구원역사 신학은 그리스도중심적인 창조와 은총과 인간 공동체를 기반으로 진화론적 세계관 위에서 진행되는 예수의 육화사건을 이해하고자 한다. 여기서 육화하신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외현화이다. 하느님께서 하느님이 아니고자 하실 때 될 수 있는 것이 인간이다. 따라서 인간에 대한 모든 차별이 금지되며, 창조와 은총과 인간 공동체의 주인이신 예수 그리스도 때문에 인간이하의 것에 대한 모든 불의한 가치판단이 금지된다.
      초월론적 계시는 만인의 구원을 원하시는 하느님의 의지에 따라 모든 인간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교회는 인류를 위해 봉사하는 교회, 인류의 일치를 증진시키는 교회, 인류와 더불어 함께 하면서 복음을 살아야 하는 교회로 나타난다.
      라너의 초월론적 계시는 하느님의 세상 통치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초월론적 계시는 세상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 때문에 그리스도교의 사목분야와 영성에 있어서 원대한 비전을 갖게 한다. 뿐만 아니라 역사성에 대한 라너의 고찰은 교회가 세상역사에 대해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besagt Selbstmitteilung Gottes an die menschliche geistliche Transzendenz. Gott selbst ist ein Bestandteil des menschlichen Geistes fṻr Transzendentalität, und so wird zu a priori menschlicher Erkenttnis und Freiheit. Karl Rahner will es zeigen im Gespräch mit neuzeitlicher Philosophen, daß Gott zu Menschen in nächster Nähe sein. Er wendt sich an Methodik der modernen Philosophie auf seine Philosophie und Theologie, und so entfaltet seines transzendeltalen Denken. Dies ist zu helfen die modernen Menschen, die leben in der anthropologischen gewendeten Welt. Es ist im Hintergrund Solchen Gedankens von Rahner das Denke von J.Marechal, M.Heidegger und st.Thomas.
      Der religionsphilosophischer Buch Rahners, 《Hörer des Wortes》, behandelt die apriorische Bedingung eines Offenbarungsempfangs im Menschen auf der höreren Ebene einer wirklich ergangenen Offenbarung. Es handelt sich bei transzendeltaler Offenbarung um Transzendentalität des menschlichen Geistes. Der Mensch ist Bei Rahner metaphysischen Wesen, weil die Seinfrage ständig und notwendig zum Dasein des Menschen gehört. es ist daher zu sagen die ursprüngliche Identität von Sein und Erkennen in einem Bei-sich-sein, der Gelichtetheit des Seins. Das Wesen des Menschen ist absolute Offenheit für Sein überhaupt, um dies mit einem Wort zu sagen, der Mensch ist Geist. Der menschlichen Seinssuchendenwille ist das innerer Moment des menschlichen Eerkenntnis. Der Mensch wird sehen sich das Sein zu eröffnen, als er seine eigene kontingente Endlichkeit bejaht. Dabei ist es gegeben, daß er dem absoluten Sein Gottes als dem Horizont seienes Vorgriffs gegenüberstehet, als eienem freien Selbstmächtigen. Er wird den Gott durch das ganze Leben hindurch unthematisch erfahren. Der Mensch als Kompositum des Körper und der Seele, und zwar, wegen seiner wesentlich geschichtlichen Grundverfassung, ist ein die Offenbarung Gottes zu hören notwendig in seine Geschchte Hineinhorchender.
      Durch ontologischer Interpretation von Gnade möchte Rahner in sener Theologie das sachliche Verstehen von Gnade vermeiden. Er bestimmt die unbeschaffene Gnade als Gottesselbstmitteilung. Er kann das nächstes Verhältnis zwischen Gott und Menschen festsetzen, indem die Natur gerade eine Schüssel der Gnade is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für alle wird in aller Zeit und in allem Ort gegeben. Daher koexistiert die transzendentalen Offenbarungsgeschchte zusammen mit der Heilsgeschchte und der Weltgeschchte.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ist universal. Wegen des allgemeinen Heilswillen Gottes für alle Mnschen führt der Mensch sein eigenes Leben von übernatürliches Existential. Was der Mensch auch immer tue, er lebe in Gott zu allen Zeiten. Ob er es wisse oder nicht, sei all der menschliche Vollzug von Handlrung und Denken eine Antwort auf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Gottes. Daher gibt es annonymen Christen, die welche dem durch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ihnen gegebenen Gotteswort gehorchende non-Christen sind.
      Die transzendentale Theologie von Heilsgeschchte wolle das Ereignis von Menscwerdung Christi in Bezug auf die evolutionäre Weltanschauung verstehen. Da handelt es sich um den christozentrischen Grund von Schöpfung, Gnade und Gmeinschaf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Karl Rahners läßt sich weltliche und kosmische Regierung Gottes bedeuten. So wegen der Gottesliebe zur Welt gibt die tanszendentale Offenbarung dem Bereich von Ministerium und Spiritualität die weitreichenden Visionen.
      번역하기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besagt Selbstmitteilung Gottes an die menschliche geistliche Transzendenz. Gott selbst ist ein Bestandteil des menschlichen Geistes fṻr Transzendentalität, und so wird zu a priori menschlicher Erkenttnis und Freihei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besagt Selbstmitteilung Gottes an die menschliche geistliche Transzendenz. Gott selbst ist ein Bestandteil des menschlichen Geistes fṻr Transzendentalität, und so wird zu a priori menschlicher Erkenttnis und Freiheit. Karl Rahner will es zeigen im Gespräch mit neuzeitlicher Philosophen, daß Gott zu Menschen in nächster Nähe sein. Er wendt sich an Methodik der modernen Philosophie auf seine Philosophie und Theologie, und so entfaltet seines transzendeltalen Denken. Dies ist zu helfen die modernen Menschen, die leben in der anthropologischen gewendeten Welt. Es ist im Hintergrund Solchen Gedankens von Rahner das Denke von J.Marechal, M.Heidegger und st.Thomas.
      Der religionsphilosophischer Buch Rahners, 《Hörer des Wortes》, behandelt die apriorische Bedingung eines Offenbarungsempfangs im Menschen auf der höreren Ebene einer wirklich ergangenen Offenbarung. Es handelt sich bei transzendeltaler Offenbarung um Transzendentalität des menschlichen Geistes. Der Mensch ist Bei Rahner metaphysischen Wesen, weil die Seinfrage ständig und notwendig zum Dasein des Menschen gehört. es ist daher zu sagen die ursprüngliche Identität von Sein und Erkennen in einem Bei-sich-sein, der Gelichtetheit des Seins. Das Wesen des Menschen ist absolute Offenheit für Sein überhaupt, um dies mit einem Wort zu sagen, der Mensch ist Geist. Der menschlichen Seinssuchendenwille ist das innerer Moment des menschlichen Eerkenntnis. Der Mensch wird sehen sich das Sein zu eröffnen, als er seine eigene kontingente Endlichkeit bejaht. Dabei ist es gegeben, daß er dem absoluten Sein Gottes als dem Horizont seienes Vorgriffs gegenüberstehet, als eienem freien Selbstmächtigen. Er wird den Gott durch das ganze Leben hindurch unthematisch erfahren. Der Mensch als Kompositum des Körper und der Seele, und zwar, wegen seiner wesentlich geschichtlichen Grundverfassung, ist ein die Offenbarung Gottes zu hören notwendig in seine Geschchte Hineinhorchender.
      Durch ontologischer Interpretation von Gnade möchte Rahner in sener Theologie das sachliche Verstehen von Gnade vermeiden. Er bestimmt die unbeschaffene Gnade als Gottesselbstmitteilung. Er kann das nächstes Verhältnis zwischen Gott und Menschen festsetzen, indem die Natur gerade eine Schüssel der Gnade is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für alle wird in aller Zeit und in allem Ort gegeben. Daher koexistiert die transzendentalen Offenbarungsgeschchte zusammen mit der Heilsgeschchte und der Weltgeschchte.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ist universal. Wegen des allgemeinen Heilswillen Gottes für alle Mnschen führt der Mensch sein eigenes Leben von übernatürliches Existential. Was der Mensch auch immer tue, er lebe in Gott zu allen Zeiten. Ob er es wisse oder nicht, sei all der menschliche Vollzug von Handlrung und Denken eine Antwort auf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Gottes. Daher gibt es annonymen Christen, die welche dem durch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ihnen gegebenen Gotteswort gehorchende non-Christen sind.
      Die transzendentale Theologie von Heilsgeschchte wolle das Ereignis von Menscwerdung Christi in Bezug auf die evolutionäre Weltanschauung verstehen. Da handelt es sich um den christozentrischen Grund von Schöpfung, Gnade und Gmeinschaf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Karl Rahners läßt sich weltliche und kosmische Regierung Gottes bedeuten. So wegen der Gottesliebe zur Welt gibt die tanszendentale Offenbarung dem Bereich von Ministerium und Spiritualität die weitreichenden Vision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1
      • 1. 연구의 의도와 목표 /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 2
      • Ⅰ부 초월론적 계시 이해를 위한 입문 / 5
      • 1장 라너의 사상적 배경 / 7
      • 서론 / 1
      • 1. 연구의 의도와 목표 / 1
      • 2. 연구 방법 및 범위 / 2
      • Ⅰ부 초월론적 계시 이해를 위한 입문 / 5
      • 1장 라너의 사상적 배경 / 7
      • 1.1 마레샬 / 8
      • 1.1.1 칸트와 새로운 형이상학의 요청 / 10
      • 1.1.2 마레샬의 칸트비판 / 12
      • 1.1.3 인식의 역동성 / 13
      • 1.1.4 절대존재를 향한 지성의 역동성 / 15
      • 1.1.5 인간의 초자연적 운명 / 17
      • 1.2 마틴 하이데거 / 18
      • 1.2.1 인간과 존재의 관계 : 현존재 / 19
      • 1.2.2 현존재의 존재양식 : 실존 / 20
      • 1.3 토마스 / 22
      • 1.3.1 제1원형인 하느님 / 22
      • 1.3.2 영혼과 육신의 합일체인 인간 / 24
      • 1.3.3 능동지성 / 26
      • 1.3.4 하느님에 대한 인식 / 29
      • 2장 라너의 방법론 / 32
      • 2.1 초월론적 방법론 / 35
      • 2.2 라너의 초월철학의 방법론 / 37
      • 2.3 라너의 초월신학의 방법론 / 41
      • 2.3.1 초월신학의 가능성 / 43
      • 2.3.2 초월신학의 전개 방식 / 46
      • 2.3.3 초월신학 방법의 간단한 예 / 49
      • 2.4 신학의 인간학적 전향 / 51
      • 2.5 신학과 철학의 관계 / 54
      • 2.6 신학의 해석학적 원리 / 56
      • Ⅱ부 미지의 하느님 앞에 서 있는 인간 / 58
      • 3장 초월로서의 정신인 인간 / 61
      • 3.1 존재와 인식의 원천적 동일성 / 62
      • 3.2 존재 소유의 유비 / 64
      • 3.3 정신의 초월 / 67
      • 4장 인식의 내적 요소인 의지 / 73
      • 4.1 유한한 실존의 의지적 긍정 / 73
      • 4.1.1 인간 자신의 우연에 대한 의지적 긍정 / 74
      • 4.1.2 유한자와 대면하고 있는 절대적 인격자 / 75
      • 4.2 사랑에 기초한 인식 / 77
      • 4.2.1 자기와-함께-있는 자유로운 행위인 사랑 / 77
      • 4.2.2 초월 가운데 생기는 하느님을 향한 사랑 / 78
      • 4.2.3 스스로 사랑의 척도를 세우는 인간 / 80
      • 5장 세계 내 정신 / 83
      • 5.1 질료적 존재인 인간 / 85
      • 5.1.1 존재론적 타자와 함께 있음 / 85
      • 5.1.2 수용적 인식 / 87
      • 5.1.3 판단 안의 질료 / 89
      • 5.2 정신의 역사성 / 90
      • 5.2.1 질료의 공간성과 시간성 / 90
      • 5.2.2 인간의 역사성 / 92
      • 5.3 초월의 역사적 중재 / 94
      • 5.3.1 감성의 발출 / 95
      • 5.3.2 초월과 외현의 관계 / 96
      • 5.3.3 가능한 계시의 장 / 99
      • Ⅲ부 사랑의 하느님과 함께 살아가는 인간 / 104
      • 6장 초자연적 인간 실존 / 105
      • 6.1 하느님의 보편적 구원의지 / 106
      • 6.2 하느님의 자기전달 / 111
      • 6.2.1 창조되지 않은 은총 / 112
      • 6.2.1.1 지복직관의 존재론 / 115
      • 6.2.1.2 창조되지 않은 은총과 창조된 은총의 관계 / 120
      • 6.2.2 본성과 은총 / 123
      • 6.2.2.1 은총과 본성의 직접적인 긴밀한 짜임새 / 125
      • 6.2.2.1.1 삼중 하느님의 자기전달의 직접성 / 126
      • 6.2.2.1.2 인간의 전 실존을 지배하는 은총 / 129
      • 6.2.2.1.3 은총으로 실현되는 인간 본성 / 131
      • 6.2.2.2 은총의 무상성 / 135
      • 6.2.3 삼위일체 하느님의 자기전달 / 138
      • 6.3 초자연적인 인간 실존 / 141
      • 7장 초월론적 계시와 구원의 역사 / 143
      • 7.1 초월론적 계시의 보편성 / 143
      • 7.1.1 초자연적인 하느님 체험 / 144
      • 7.1.2 초자연적인 초월론적 신앙 / 148
      • 7.1.2.1 하느님에 의해 지탱 되는 신앙 / 149
      • 7.1.2.2 익명의 신앙 / 150
      • 7.2 초월론적 계시의 역사 / 152
      • 7.3 초월론적 구원역사 신학 / 154
      • 7.3.1 구원역사의 그리스도중심적 기획 / 155
      • 7.3.1.1 창조 / 156
      • 7.3.1.2 은총 / 157
      • 7.3.1.3 인간 공동체 / 158
      • 7.3.2 진화론적인 구원역사적 세계관 / 159
      • 7.3.3 아들과 영의 파견 / 161
      • 8장 초월론적 계시의 의의와 교회의 역할 / 163
      • 요약 및 결론 / 166
      • 참고문헌 / 17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