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홍동허스토리의 방법과 의미 = On the Hongdong Her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5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gdong Herstory in an narrative-based archival activities. This Herstory Workshop designed by a facilitator who is using her love for language and storytelling to empower all voices. Herstory Workshop has been opened at winter every year for a month. The place where the workshop opened is located at farming area. Hongdong Herstory Workshop has been the field wher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having a talk together. 20 women have been participated at the Herstory Workshop. Herstory projects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This essay is an trial for rearchiving the herstory projects. This essay focused on the narrative function of archives.
      번역하기

      Hongdong Herstory in an narrative-based archival activities. This Herstory Workshop designed by a facilitator who is using her love for language and storytelling to empower all voices. Herstory Workshop has been opened at winter every year for a month...

      Hongdong Herstory in an narrative-based archival activities. This Herstory Workshop designed by a facilitator who is using her love for language and storytelling to empower all voices. Herstory Workshop has been opened at winter every year for a month. The place where the workshop opened is located at farming area. Hongdong Herstory Workshop has been the field where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having a talk together. 20 women have been participated at the Herstory Workshop. Herstory projects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This essay is an trial for rearchiving the herstory projects. This essay focused on the narrative function of arch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홍동허스토리’는 여성들의 삶을 이야기 형식에 담아 기록하는 아카이브 활동이다. 일단의 여성들이 야밤에 집결하여 유쾌하게 대화를 나누며 이야기를 생산, 공유, 체화하는 식이다. 이 활동은 충남 홍성군 홍동면(이하 홍동)에서 홍동허스토리를 창안한 아카이브 활동가, 그녀의 동료들로 구성된 기획팀, 그리고 홍성여성농업인센터의 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매년 한 해 농사가 마무리 되는 늦가을, 초겨울에 열린다. 2016년~2019년 4년 동안, 20명의 여성들이 참여하였다. 그 과정과 결과는 3권의 책으로 정리되어 출판되었다. 이 글은 홍동허스토리라는 익숙하면서도 독특한 아카이브 활동을 다시 아카이빙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지역적, 사상적 배경을 먼저 살펴본 후, 홍동허스토리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아카이브의 서사적 기능과 정치적 기능에 주목하였다. '아카이브의 문화'를 논의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아카이브의 직접적 정보서비스, 돌봄의 윤리, 쾌락의 추구를 제시했다.
      번역하기

      ‘홍동허스토리’는 여성들의 삶을 이야기 형식에 담아 기록하는 아카이브 활동이다. 일단의 여성들이 야밤에 집결하여 유쾌하게 대화를 나누며 이야기를 생산, 공유, 체화하는 식이다. 이 ...

      ‘홍동허스토리’는 여성들의 삶을 이야기 형식에 담아 기록하는 아카이브 활동이다. 일단의 여성들이 야밤에 집결하여 유쾌하게 대화를 나누며 이야기를 생산, 공유, 체화하는 식이다. 이 활동은 충남 홍성군 홍동면(이하 홍동)에서 홍동허스토리를 창안한 아카이브 활동가, 그녀의 동료들로 구성된 기획팀, 그리고 홍성여성농업인센터의 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매년 한 해 농사가 마무리 되는 늦가을, 초겨울에 열린다. 2016년~2019년 4년 동안, 20명의 여성들이 참여하였다. 그 과정과 결과는 3권의 책으로 정리되어 출판되었다. 이 글은 홍동허스토리라는 익숙하면서도 독특한 아카이브 활동을 다시 아카이빙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지역적, 사상적 배경을 먼저 살펴본 후, 홍동허스토리의 구성과 특징을 분석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아카이브의 서사적 기능과 정치적 기능에 주목하였다. '아카이브의 문화'를 논의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아카이브의 직접적 정보서비스, 돌봄의 윤리, 쾌락의 추구를 제시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충남발전연구원, "홍동마을 이야기" 한티재 2014

      2 이찬갑, "풀무학교를 열며" 그물코 2010

      3 이번영, "풀무학교는 어떻게 지역을 바꾸나" 그물코 2018

      4 홍순명, "풀무학교 이야기" 부키 2006

      5 윤택림, "질적 연구 방법론" 아르케 2013

      6 마을공동체문화연구소, "지역과 학교, 2013년 가을 통권 27호"

      7 문지영, "자유" 책세상 2009

      8 이관률, "우리는 왜 농촌 마을 홍동을 찾는가" 그물코 2017

      9 홍성씨앗도서관, "우리 동네 씨앗 도서관" 들녘 2019

      10 오토 루트비히, "쓰기의 역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1 충남발전연구원, "홍동마을 이야기" 한티재 2014

      2 이찬갑, "풀무학교를 열며" 그물코 2010

      3 이번영, "풀무학교는 어떻게 지역을 바꾸나" 그물코 2018

      4 홍순명, "풀무학교 이야기" 부키 2006

      5 윤택림, "질적 연구 방법론" 아르케 2013

      6 마을공동체문화연구소, "지역과 학교, 2013년 가을 통권 27호"

      7 문지영, "자유" 책세상 2009

      8 이관률, "우리는 왜 농촌 마을 홍동을 찾는가" 그물코 2017

      9 홍성씨앗도서관, "우리 동네 씨앗 도서관" 들녘 2019

      10 오토 루트비히, "쓰기의 역사"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3

      11 윤대석, "민주적 공공성" 이음 2009

      12 김영선, "마을로 간 인문학" 당대 2014

      13 조민지, "디지털 기억 시대의 기록과 정보서비스" 정보·기록학연구소 (10) : 181-215, 2020

      14 이경래, "동시대 ‘대항기억’의 기록화 :용산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53) : 45-77, 2017

      15 이승진, "돌아보니 모두 은혜"

      16 홍성여성농업인센터, "그녀들의 홍동이야기 : 홍동허스토리(2019)" 홍성여성농업인센터 2019

      17 홍성여성농업인센터, "그녀들의 홍동이야기 : 홍동허스토리(2017-2018)" 홍성여성농업인센터 2018

      18 홍성여성농업인센터, "그녀들의 홍동이야기 : 홍동허스토리(2016)" 홍성여성농업인센터 2017

      19 교육농연구소, "교육농" 교육공동체 벗 2019

      20 이현정, "공동체아카이빙 윤리의 모색" 2017

      21 이영남, "공동체아카이브, 몇 가지 단상" 한국기록학회 (31) : 3-42, 2012

      22 조한혜정,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또 하나의 문화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chival Studies ->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14 1.767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