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박인우(1995...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19523
2024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045-1062(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박인우(1995...
목적 본 연구는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 및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박인우(1995)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모형에 근거하여 총 12회기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였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의 중등교사 310명을 대상으로 교사 심리적 소진검사(TBI)를 실시하여 심리적 소진 결과 및 하위영역에서 ‘교권에 대한 위기감’ 영역이 경계(T≥55)이상 결과를 보인 40명 중 각 10명씩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에 구안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대인관계능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인관계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처음관계맺기, 자기노출, 권리주장, 정서적지지, 갈등다루기 등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검토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긍정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심리적으로 소진된 중등교사의 동료 및 관리자와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소진된 중등교사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In this study,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psychologically exhausted secondary teachers' interpersonal skills with colleagues and managers to analyze their effects. Methods To this end, 310 secondary s...
Objectives In this study, a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psychologically exhausted secondary teachers' interpersonal skills with colleagues and managers to analyze their effects.
Methods To this end, 310 secondary school teachers nationwide were subjected to a teacher psychological exhaustion test (TBI), and 10 out of 40 people who showed more than a boundary (T≥55) in psychological exhaustion results and sub-area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Results In order to measure interpersonal skills for 20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 modified interpersonal skills test was conduct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changes in the five sub-areas of pre-post interpersonal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Mixed ANOVA.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psychologically exhausted secondary teachers with colleagues and manage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xperience reports of the group members and the observations of the counselor,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gram was positive for improving the interpersonal skills of psychologically exhausted secondary teachers.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seen 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terpersonal skills of psychologically exhausted secondary teachers with colleagues and managers.
목차 (Table of Contents)
한·중 반의어 비교 연구: 한국어 학습용 반의어를 중심으로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설계 방법 탐색 및 인식 변화 연구: A 교육대학원 사례를 중심으로
총론과 각론 연계성 제고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