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지털 및 소셜미디어 역량이 개인의 정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디지털 격차의 조절효과 분석 =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divide on the impact of digital and social media capabilities on individual political attitude and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53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modern society transitions to a hyperconnected society, individuals are suffering in many areas as the digital divide brings differential access to the Internet and new media of certain groups. Meanwhile, as mobile became an important Internet medi...

      As modern society transitions to a hyperconnected society, individuals are suffering in many areas as the digital divide brings differential access to the Internet and new media of certain groups. Meanwhile, as mobile became an important Internet medium, social media secured the position of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for individuals, and learn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YouTube through digital capabilities, especially mobile capabilities, affected individual information life.
      This study aims to test whether individuals' digital capabilities and the use of YouTube, a new media, affect individual political attitud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the self-efficacy and digital use of individual digital capabilities.
      To this end, it primarily test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gital gap in Korea, that is, whether there is a digital gap according to gender, age, region, urban size, and political orientation, that is, a difference in individual digital capabilities. Next, this digital gap tests whether the use of YouTube, which is available to individuals for digital capabilities and social networks, affects political attitudes and participation through individual digital personal efficacy and mobile us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esigned a research model with a path through which mobile capabilities and YouTube use affect political attitudes and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individual digital self-efficacy and mobile use. To this end, nine basic hypotheses, two mediating effect hypotheses, and five moderating effect hypotheses were designed.
      This study prepared a survey to test the hypothesis designed by the research model and conducted a survey of 200 people nationwide through a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ion. Using the data from the survey, the research model was converted into a structural equation, and the hypothesis was tested using AMOS and SmartPLS.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digital gap according to some demographic variables in Korea. By region, there was a gap in digital capabilities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difference according to party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gap in age.
      The impact of this gap on individual mobile capabilities on political attitude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mobile use was identified. Based on age standard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mobile capabilities and YouTube use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50s and in the 40s and 60s i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political participation. Looking at the area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the self-efficacy in digital activities was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and the use of YouTube was also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litical behavior.
      Based on the size of cities in large cities and small cities,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in large cities were receiving more political influence from mobile use and digital capabilities.
      Based on political orien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in the impact of YouTube use on mobile use, but there was a high level of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s and moderates, and conservative respondents were more influenced. It turns out that a group with a clear political orientation is influenced by greater political action.
      From a gender perspective, the impact of mobile activities on political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ale respondents, and women were more affected by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self-efficacy gained from mobile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digital competency is greater in men, an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political behavior is greater in women. This means that men are more politically influenced by their high digital capabilities, but the influence of female respondents who have internally gained self-efficacy is hig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가 초연결 사회로 전환되면서, 디지털 격차가 특정 집단의 인터넷과 뉴미디어에 대한 차등적 접근을 가지고 옴에 따라 개인들이 많은 분야에서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현대 사회가 초연결 사회로 전환되면서, 디지털 격차가 특정 집단의 인터넷과 뉴미디어에 대한 차등적 접근을 가지고 옴에 따라 개인들이 많은 분야에서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이 중요한 인터넷 매체가 되면서 소셜미디어가 개인에게 중요한 정보원의 위치를 확보하게 되고, 디지털 역량, 특히 모바일 활용역량을 통해 유튜브를 사용한 학습과 지식획득이 개인의 정보 생활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개인의 디지털 역량과 소셜미디어 역량인 뉴미디어의 유튜브 사용이 개인의 정보 생활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관점에서, 개인의 디지털 역량이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을 통해, 개인의 정치적 태도와 정치 참여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검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의한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는가를 선행연구들이 사용하고 있는 인구통계학적 요인, 즉, 성별, 연령, 지역, 도시규모, 그리고 정치성향에 따른 디지털 격차, 즉, 개인의 디지털 역량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검정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디지털 격차가 개인들의 디지털 역량과 소셜네트워크에 이용할 수 있는 유튜브 사용이 개인의 디지털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을 통해 정치적 태도와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정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역량, 유튜브 사용이 개인의 디지털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을 매개로 정치적 태도와 정치참여에 미치는 경로를 가진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9개의 기본가설과 2개의 매개효과 가설, 그리고 5개 조절효과 가설을 설계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모형이 설계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설문을 작성하고 전문조사기관을 통해 전국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구조방정식으로 전환하여, AMOS와 SmartPLS를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일부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디지털 격차가 존재함을 밝혔다. 지역별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 디지털 역량의 격차가 있었고, 정당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도 유의했으며, 연령에도 유의한 격차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격차가 개인의 디지털 역량이 모바일 사용을 통해 정치적 태도와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령을 기준을 볼 때, 디지털 역량과 유튜브 사용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50대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정치참여 영향에 있어 40대와 60대에 대해 유의차를 보이고 있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을 볼 때, 디지털 활동에 있어 자기효능감이 비수도권이 더 높게 나타났고, 유튜브 이용도 비수도권이 높게 나타났다. 그렇지만 정치적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도시와 소도시의 도시규모별 기준으로 볼 때, 대도시 응답자들이 모바일 사용과 디지털 역량으로부터 더 많은 정치적 영향을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정치 성향을 기준으로 볼 때, 유튜브 사용이 모바일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보수와 진보 간에는 유의차가 없지만, 보수와 중도 간에는 높은 수준의 유의차가 발생하여, 보수 응답자가 더 높은 영향력을 받고 있었다. 정치적 성향이 분명한 집단에서 더 큰 정치적 행동에 영향을 받고 있음이 밝혀졌다.
      성별의 관점에서 보면, 모바일 활용역량이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 응답자의 경우가 더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는 모바일 활용역량에서 얻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정치적 참여에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디지털 역량이 미치는 영향력은 남성의 경우에 더 크며, 자기효능감이 정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남성이 디지털 역량이 높아서 정치적 영향을 더 받고 있지만, 내부적으로 자기효능감을 얻은 여성 응답자의 정치적 영향력이 높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2
      • 3. 연구 방법과 구성 3
      • I. 서 론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2
      • 3. 연구 방법과 구성 3
      • II. 이론적 배경 5
      • 1. 디지털 역량 5
      • 1) 디지털 역량 5
      • 2) 디지털화 역량 5
      • 2. 디지털 격차 6
      • 1) 디지털 격차의 개념 6
      • 2) 디지털 격차의 정의 7
      • 3) 디지털 격차의 측도 연구 8
      • 3. 소셜미디어 9
      • 1) 소셜미디어의 역할 9
      • 2) 소셜미디어 역량 10
      • 3) 유튜버의 정치사회성 10
      • 4. 미디어 학습 11
      • 1) 소셜미디어 학습 11
      • 2) 사회적 학습기술 12
      • 3) 인터넷 수용도 결정 13
      • 5. 모바일 디지털 격차 17
      • 1) 모바일 격차 17
      • 2) 모바일 격차 모형 18
      • 6. 자기 효능감 21
      • 1) 자기 효능감의 선행연구 21
      • 2) 인터넷 이용이 참여에 미치는 영향 22
      • 3) 소셜미디어 효능감 24
      • 4) 인터넷 효능감 24
      • 5) 정치적 효능감 25
      • 7. 온라인 정치 효능감 26
      • 1) 정치적 효능감 26
      • 2) 온라인 집단 정치 효능감 28
      • 3) 온라인 행동주의와 온라인 효능감 29
      • 4) 온라인 집단행동주의와 온라인 집단 정치 효능감 30
      • 8. 정치적 태도 31
      • 1) 개인의 정치적 요소 31
      • 2) 동기부여와 정치적 태도 33
      • 3) 내부정치 효능감 34
      • 9. 정치적 참여 34
      • 1) 온라인 미디어의 정치 영향 35
      • 2) 인터넷 사용과 온라인 정치 참여 37
      • 3) 정치 참여의 인구통계학적 선행요인 38
      • III. 연구모형 설계 41
      • 1. 연구모형의 설계 41
      • 2. 기본 가설의 설계 43
      • 1) 디지털 격차 43
      • 2) 소셜미디어의 영향 44
      • 3)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 45
      • 4) 자기효능감과 정치적 태도 46
      • 5) 자기효능감과 정치적 참여 46
      • 6) 소셜미디어 역량과 정치적 태도 47
      • 7) 소셜미디어 역량과 정치적 참여 48
      • 8) 디지털 역량과 자기 효능감 49
      • 9) 디지털 역량과 모바일 사용 50
      • 3. 매개효과 설계 51
      • 1) 디지털 역량과 정치적 태도와 참여 그리고 자기효능감 51
      • 2) 디지털 역량과 정치적 태도와 참여 그리고 모바일 활용 52
      • 4. 조절효과 설계 53
      • 1) 연령의 조절효과 53
      • 2) 지역의 조절효과 55
      • 3) 도시규모의 조절효과 56
      • 4) 정치성향의 조절효과 57
      • 5) 성별의 조절효과 58
      • 5. 변인의 조작적 정의와 측도 59
      • IV. 실증 연구 61
      • 1. 연구조사의 설계 61
      • 2. 사전 분석 63
      • 1) 신뢰도 분석 63
      • 2) 타당도 분석 64
      • 3. 모형 적합도 분석 66
      • 4. 기본 가설 검정 72
      • 1) 디지털 격차 72
      • 2) 소셜미디어 역량의 영향 74
      • 3) 자기효능감과 모바일 사용 75
      • 4) 자기효능감과 정치적 태도 75
      • 5) 자기효능감과 정치적 참여 75
      • 6) 소셜미디어 역량과 정치적 태도 76
      • 7) 소셜미디어 역량과 정치적 참여 76
      • 8) 디지털 역량과 자기효능감 77
      • 9) 디지털 역량과 모바일 사용 77
      • 5. 매개효과 검정 78
      • 1) 자기효능감 매개효과 78
      • 2) 모바일 활용의 매개효과 78
      • 6. 조절효과 검정 79
      • 1) 연령의 조절효과 79
      • 2) 지역의 조절효과 81
      • 3) 도시규모의 조절효과 83
      • 4) 정치 성향의 조절효과 85
      • 5) 성별의 조절효과 88
      • V. 결 론 91
      • 1. 연구 요약 91
      • 2. 분석 결과 92
      • 1) 디지털 격차 92
      • 2) 디지털 역량과 소셜미디어 역량 93
      • 3) 자기효능감과 디지털 사용의 매개효과 93
      • 4) 조절효과 94
      • 5) 연구의 의의 96
      • 6) 향후 연구방향 96
      • 참고문헌 98
      • 영문초록 1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