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효담 김한순의 예술혼과 예능 활동 = Hyo-Dam Kim Han-Soon's artistic spirit and entertainment activit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16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yo-Dam Kim Han-soon (1936-2006) was a person who inherited and organized Ami Nongak in Busan, contributing greatly to its designation as Bus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6 "Busan Nongak.". Also, he is a folk artist who has influenced the discov...

      Hyo-Dam Kim Han-soon (1936-2006) was a person who inherited and organized Ami Nongak in Busan, contributing greatly to its designation as Bus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6 "Busan Nongak.". Also, he is a folk artist who has influenced the discovering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s in Busan such as Gobundori Gulip(2011), Dadaepo Hurisori(1987), Gudeok Mangkae(20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Kim Han-sun's artistic spirit and activities, limited to his activities as a folk artist during his life. Kim Han-soon's artistic spirit is rooted in sorrow. He gets in high spirits and sublimation to resolve the sorrow formed by the separation of family arise from the turbulent history of the Korean such as the Korean War and Japanese occupation. In regard to folk artistic activities, Kim Han-sun gets in high spirits and sublimation. The high spirit was related to his artistic activities to unravel the deep sorrow of Nongak, and the sublimation was revealed in 1976 in the process of his immersion in the excavation and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Oral data have basic problems. it is a lack of objectivity due to the narrator's subjective argument and memory error. Therefore, content on a particular issue often contradicts each other depending on the narrator. This is the inevitable limitation of studying the life of a character through oral data. An individual's life develops sequentially, but memories are organized around a person or event regardless of it and can be deliberately reconstructed in the process. In these respects, the text still leaves much roo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효담 김한순(1936-2006)은 부산지역의 아미농악을 계승하고 체계화하여 그것이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부산농악’으로 지정되는 데 크게 공헌한 인물이다. 또한 다대포후리소리(1987년...

      효담 김한순(1936-2006)은 부산지역의 아미농악을 계승하고 체계화하여 그것이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6호 ‘부산농악’으로 지정되는 데 크게 공헌한 인물이다. 또한 다대포후리소리(1987년 지정)와 구덕망깨소리(2001년 지정), 고분도리걸립(2011년 지정) 등의 부산지역 무형문화재 발굴에 영향을 끼친 민속 예능인이다. 전통예술 공연기획과 연출에서도 탁월한 재능을 발휘한 그는 대성종을 창건한 승려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러한 김한순의 생애 중 민속 예능인으로서의 활동에 국한하여 그의 예술혼과 예능 활동의 가치와 의의를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그의 평전(김익두, 2019)을 주된 텍스트로 삼고 여기에 필자와 기존 연구자들의 구술 채록 자료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였다. 그런데 이들 자료는 특정 사안에 대한 구술 내용이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구술을 통한 인물의 생애를 연구하는 데 따르는 필연적 한계이다. 한 개인의 일상은 순차적으로 전개되지만, 그것에 대한 타인의 기억은 인물이나 사건을 중심으로 편재화 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재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한순의 예술혼은 한(恨)에 근거하고 있는데, 그것은 자신의 뿌리에 대한 갈망과 혈육과의 반복된 단절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는 아버지의 부재 속에서 출생한다. 부재는 곧 결핍을 의미하며 결핍은 한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이후 한국전쟁으로 인한 가족의 해체와 누이와의 생이별을 반복적으로 겪게 되면서 그의 한은 더욱 강화된다. 그는 이러한 한을 풀기 위해 신명과 승화의 길을 걷게 된다. 신명의 길은 자신에게 맺힌 한을 농악의 신명으로 풀어내는 그의 예능 활동과 연관된 것이며, 승화의 길은 1976년을 기점으로 그가 무형문화재의 발굴과 지정에 몰두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익두, "효담 김한순 평전" 문예원 2019

      2 류종목, "효담 김한순 스님의 생애와 구덕민속예술 사랑" 구덕민속예술보존회 29-32, 2016

      3 황경숙, "초기 아미농악단의 형성과정과 연희기반"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8 : 188-221, 2012

      4 김국희, "이향과 경계의 땅 부산의 아미동 아미동 사람들" 부산구술사연구회 225-239, 2011

      5 차철욱, "이향과 경계의 땅 부산의 아미동 아미동 사람들" 부산구술사연구회 63-74, 2011

      6 황경숙, "이향과 경계의 땅 부산의 아미동 아미동 사람들" 부산구술사연구회 179-205, 2011

      7 부산광역시 서구청, "삶과 낭만이 머무는 곳 내 사랑 서구를 되새기며(상편)" 405-406, 2017

      8 "박종환 대담, 2020. 5. 22"

      9 "김귀엽·무애스님 대담, 2020. 5. 19"

      10 황경숙, "구술로 보는 전승자의 생애와 전승활동"

      1 김익두, "효담 김한순 평전" 문예원 2019

      2 류종목, "효담 김한순 스님의 생애와 구덕민속예술 사랑" 구덕민속예술보존회 29-32, 2016

      3 황경숙, "초기 아미농악단의 형성과정과 연희기반"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8 : 188-221, 2012

      4 김국희, "이향과 경계의 땅 부산의 아미동 아미동 사람들" 부산구술사연구회 225-239, 2011

      5 차철욱, "이향과 경계의 땅 부산의 아미동 아미동 사람들" 부산구술사연구회 63-74, 2011

      6 황경숙, "이향과 경계의 땅 부산의 아미동 아미동 사람들" 부산구술사연구회 179-205, 2011

      7 부산광역시 서구청, "삶과 낭만이 머무는 곳 내 사랑 서구를 되새기며(상편)" 405-406, 2017

      8 "박종환 대담, 2020. 5. 22"

      9 "김귀엽·무애스님 대담, 2020. 5. 19"

      10 황경숙, "구술로 보는 전승자의 생애와 전승활동"

      11 오세길, "구덕 망깨소리의 전승자와 전승활동, 구덕망깨소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