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遼寜~西北韓 地域 墓制와 土器의 組合 關係 및 變動을 통하여 본 古朝鮮과 그 周邊 = Go-Joseon and its periphery as seen through the association relations of burials and pottery and their transformation in the Liaoning-Northwest Korea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05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lat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of Liaoning and Northwestern Korea there were many material cultures in formation. Of these material cultures, there were two which brought about profound changes in the material cultures of surrounding re...

      During the late Bronze age and early Iron age of Liaoning and Northwestern Korea there were many material cultures in formation. Of these material cultures, there were two which brought about profound changes in the material cultures of surrounding regions in or around the begininning of the 3rd century B.C., especially when seen through burials and pottery. One was the Shiertaiyingzi culture and the other was the Warring States Yan culture of the Meiyangou type. Of the culture types of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ere were the Shiertaiyingzi type(B.C. 9th-7th century), Nandonggou type(B.C. 6th-4th century), Zhengjiawazi type(B.C. 6th-4th century) and the Gushanli type(B.C. 4th-3rd century). Of these types, the Shiertaiyingzi type, Zhengjiawazi type and the Gushanli type comprised the central component of Go-Joseon whereas the Nandonggou type was a Liaoxi area Go-Joseon coalition which briefly co-existed with the Liaodong Go-Joseon coalition centered on the Zhengjiawazi type.
      The Shiertaiyingzi culture, which was Go-Joseon culture, brought about profound transformations not only in Liaodong but also in the Northwest Korea region. This influence was increased by the mutual interaction sphere centered on the Shiertaiyingzi culture. Partially, it brought about the spread of certain Shiertaiyingzi culture artifacts to surrounding material cultures. Actively, it encroached upon the space of certain indigenous cultures and caused the all-out transformation of indigenous cultures. The periphery of Go-Joseon can be divided into the primary periphery and secondary periphery. The primary periphery includes the centers of the many types of Shiertaiyingzi culture and the material aspects of the surrounding areas. The secondary periphery includes the many cultures other than the Shiertaiyingzi culture and the indigenous burials and pottery such as the jisukmyo, piled stone tombs and Misongri type pott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후기 청동기시대~초기 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에는 여러 물질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 물질문화는 묘제와 토기를 중심으로 볼 때,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그 전후에 주변 물질...

      후기 청동기시대~초기 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에는 여러 물질문화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 물질문화는 묘제와 토기를 중심으로 볼 때, 기원전 3세기를 기점으로 그 전후에 주변 물질문화에 커다란 변모와 변동을 불러일으킨 2개의 문화 계통이 확인되는데, 첫째는 십이대영자문화 계통이고, 둘째는 전국연문화 미안구유형이다. 십이대영자문화 계통으로는 십이대영자유형(기원전 9~7세기), 남동구유형(기원전 6~4세기), 정가와자유형(기원전 6~4세기), 고산리유형(기원전 4~3세기)이 있는데, 십이대영자유형·정가와자유형·고산리유형은 고조선의 핵심 줄기를 이루고 있고, 남동구유형은 잠시 정가와자유형 중심의 요동 고조선연맹체와 병존하고 있던 요서 고조선연맹체에 해당된다.
      고조선문화라 할 수 있는 십이대영자문화는 요동은 물론 서북한 등지에 커다란 변화와 변동을 발생시켰다. 이러한 영향은 십이대영자문화 중심의 상호 작용 관계망에 의해 가속화되었는데, 부분적으로는 십이대영자문화의 일부 유물을 주변 물질문화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고, 적극적으로는 일부 토착 문화의 공간을 잠식하고 토착 문화가 전면적으로 변동되게 하였다. 고조선문화의 주변은 1차적 주변(문화-내)과 2차적 주변(문화-외)으로 대분할 수 있는데, 1차적 주변으로는 십이대영자문화 여러 유형 중심지의 주변과 주변 지역의 물질 양상을, 2차적 주변으로는 십이대영자문화 이외의 여러 문화와 지석묘·적석묘·미송리형호 등의 토착 묘제와 토기 등을 들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遼寧省博物館, "遼寧凌源縣三官甸靑銅短劍墓" (2) : 1985

      2 遼寧省西豊縣文物管理所, "遼寧西豊縣新發現的幾座石棺墓" (2) : 1995

      3 徐家國, "遼寧省撫順市渾河流域石棚調査" (10) : 1990

      4 許玉林, "遼寧省岫岩縣太老墳發掘簡報" (3) : 1995

      5 許玉林, "遼寧盖縣伙家窩堡石棚發掘簡報" (9) : 1993

      6 淸原縣文化館, "遼寧淸原縣近年發現一批石棺墓" (2) : 1982

      7 朱貴, "遼寧朝陽十二臺營子靑銅短劍墓" (1) : 1960

      8 佟達, "遼寧撫順大伙房水庫石棺墓" (2) : 1989

      9 旅順博物館, "遼寧大連新金縣碧流河大石盖墓" (8) : 1984

      10 傅宗德, "遼寧喀左縣出土戰國器物" (7) : 1988

      1 遼寧省博物館, "遼寧凌源縣三官甸靑銅短劍墓" (2) : 1985

      2 遼寧省西豊縣文物管理所, "遼寧西豊縣新發現的幾座石棺墓" (2) : 1995

      3 徐家國, "遼寧省撫順市渾河流域石棚調査" (10) : 1990

      4 許玉林, "遼寧省岫岩縣太老墳發掘簡報" (3) : 1995

      5 許玉林, "遼寧盖縣伙家窩堡石棚發掘簡報" (9) : 1993

      6 淸原縣文化館, "遼寧淸原縣近年發現一批石棺墓" (2) : 1982

      7 朱貴, "遼寧朝陽十二臺營子靑銅短劍墓" (1) : 1960

      8 佟達, "遼寧撫順大伙房水庫石棺墓" (2) : 1989

      9 旅順博物館, "遼寧大連新金縣碧流河大石盖墓" (8) : 1984

      10 傅宗德, "遼寧喀左縣出土戰國器物" (7) : 1988

      11 遼寧省博物館, "遼寧喀左南洞溝石槨墓" (6) : 1977

      12 오강원, "遼寧 地域의 靑銅器․初期 鐵器時代 複合社會의 形成과 社會 變動" 한국고대학회 (38) : 139-192, 2013

      13 遼陽市文物管理所, "遼陽二道河子石棺墓" (5) : 1977

      14 許玉林, "遼東半島石棚群中發現人骨和隨葬品-從而證明石棚是一種古代墓葬" (43) : 1988

      15 遼寧省博物館, "遼東半島石棚的新發現" (2) : 1985

      16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遼東半島石棚" 遼寧科學技術出版社 1994

      17 沈陽故宮博物館, "沈陽鄭家窪子的兩座靑銅時代墓葬" (1) : 1975

      18 沈陽市文物工作組, "沈陽地區出土的靑銅短劍資料" (1) : 1964

      19 황기덕, "황해북도 황주군 긴동 고인돌 발굴 보고(I)" (3) : 1961

      20 황기덕, "황해도 봉산군 송산리 솔뫼골 돌돌림무덤" 과학원출판사 3 : 1962

      21 황기덕, "황해 남도 룡연군 석교리 원시 유적 간략 보고" (5) : 1960

      22 황기덕, "황주군 심촌리 청동기시대 유적 발굴보고" (3) : 1966

      23 천선행, "한반도 무문토기문화 형성기의 중국동북지역과의 관계" 호남고고학회 48 : 5-33, 2014

      24 리원근, "평양시 승호 구역 립석리 원시 유적 발굴 간략 보고" (4) : 1962

      25 리규태, "평양부근과 황해남북도일대에서 알려진 좁은놋단검관계유물"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6 : 1983

      26 김기웅, "평안남도 개천군 묵방리 고인돌 발굴 중간 보고" (2) : 1961

      27 박광자, "파이데라스티아(소년애)와 헤세의 소설" 한국헤세학회 (16) : 23-42, 2006

      28 황기덕, "최근에 새로 알려진 비파형단검과 좁은놋단검 관계의 유적유물: 5. 배천군 석산리에서 나온 유물" 과학,백과사전출판사 4 : 1974

      29 황기덕, "최근에 새로 알려진 비파형단검과 좁은놋단검 관계의 유적유물: 4. 신천군 청산리에서 나온 좁은놋단검" 사회과학출판사 4 : 1974

      30 황기덕, "최근에 새로 알려진 비파형단검과 좁은놋단검 관계의 유적유물: 3. 재령군 고산리 성황동에서 나온 유물" 과학,백과사전출판사 4 : 1974

      31 이제현,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압록강 중․상류역 남안의 물질문화와 사회"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32 오강원, "청동기~철기시대 요령·서북한 지역 물질문화의 전개와 고조선" 동양학연구원 (53) : 173-222, 2013

      33 백련행, "천곡리 돌상자 무덤" (1) : 1966

      34 조중 공동 고고학 발굴대, "중국 동북 지방의 유적 발굴 보고(1963~1965)"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35 유정준, "자강도 내 원시유적 및 옛날 돈이 발견된 유적" (5) : 1958

      36 리기련, "유적발굴보고 제12집: 석탄리유적발굴보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37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유적 발굴 보고 제6집: 강계시 공귀리 원시 유적 발굴 보고" 과학원출판사 1959

      38 오강원, "요령~서북한 지역 청동기(동검) 제작 기술의 전개를통하여 본 고조선과 그 주변" 한국학연구소 47 : 1-52, 2017

      39 吳江原, "요동과 길림 지역의 지석묘 문화와 사회"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40 吳江原, "오녀산과 환인지역의 청동기문화와 사회" 3 : 2005

      41 배진성, "압록강~청천강유역 무문토기 편년과 남한 –조기~전기를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4 (64): 5-24, 2009

      42 서국태, "신흥동 팽이그릇 집자리" (3) : 1964

      43 라명관, "신계군 정봉리 돌곽무덤" 과학,백과사전출판사 6 : 1983

      44 박선훈, "석탄리 유적 발굴 중간 보고" (3) : 1965

      45 문수균, "서북한지역 角形土器문화의 전개양상 - 주거지출토 토기를 중심으로 -" 중부고고학회 10 (10): 33-72, 2011

      46 吳江原, "서단산문화와 길림 지역의 청동기문화" 학연문화사 2008

      47 김지철, "새로 알려진 비파형단검과 좁은놋단검관계 유적유물에 대하여" (1) : 1988

      48 리주형, "새로 발굴조사된 오산리 고인돌무덤들에 대하여" (4) : 1997

      49 吳江原, "삼국시대 국가의 성장과 물질문화 1"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50 吳江原, "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 지역의 청동기문화" 청계 2006

      51 김동일, "비파형·세형동검의 검신과 검병 조립 방식에 대한 고찰" 한국상고사학회 79 (79): 69-108, 2013

      52 김동일, "마산리, 반궁리, 표대유적발굴보고" 사회과학출판사 2002

      53 吳江原,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학연문화사 2004

      54 오강원, "기원전 8~7세기 요서 지역의 비파형동검 제작과 역내 지역성" 부산고고학회 (12) : 1-29, 2013

      55 吳江原, "기원전 3~1세기 중국 동북과 서북한 지역의 물질문화와 燕·秦·漢" 한국상고사학회 2016

      56 오강원, "기원전 3세기 遼寧地域의 燕나라 遺物共伴 遺蹟의 諸괮型과 燕文化와의 관계"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32, 2011

      57 왕성수, "개성부근에서 나온 고조선관계 유물" (1) : 1988

      58 이숙임, "강원지역의 점토대토기문화 고찰" 한국대학박물관협회 (69) : 63-89, 2007

      59 김용간, "강계시 공귀리 원시 유적에 대하여" (4) : 1958

      60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馬城子-太子河上游洞穴遺存" 文物出版社 1994

      61 오강원, "靑銅器文明周邊集團의 墓制와 君長社會 -遼東과 吉林地域의 支石墓와 社會" 호서고고학회 (26) : 110-151, 2012

      62 吳江原, "遼寜~韓半島地域 琵琶形銅劍과 細形銅劍의 劍柄頭飾 硏究" 2 : 2004

      63 遼寜省文物考古硏究所, "遼寜建昌縣東大杖子墓地2001年發掘簡報" (12) : 2014

      64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趙家墳石棚發掘簡報" (2) : 2007

      65 江陵大學校博物館, "襄陽池里住居址" 江陵大學校博物館 2001

      66 三上次男, "滿鮮原始墳墓の硏究: 東北アジア史硏究 第1" 吉川弘文館 1977

      67 王成生, "槪述近年遼寧新見靑銅短劍" (1) : 1991

      68 梁志龍, "桓仁大梨樹溝靑銅時代墓葬調査" (2) : 1991

      69 曾昭藏, "桓仁大甸子發現靑銅短劍墓" (1) : 1981

      70 齊俊, "本溪地區發現靑銅短劍墓" (2) : 1994

      71 藤田亮策, "朝鮮發見の明刀錢と其遺跡" 高桐書院 1948

      72 谷豊信, "朝鮮史硏究會論文集" 朝鮮史硏究會 1968

      73 小泉顯夫, "朝鮮古代遺跡の遍歷" 六興出版 1986

      74 梅原末治, "朝鮮出土銅劍銅鉾の新資料" 48 (48): 1934

      75 榧本杜人, "朝鮮の考古學" 同朋社 1980

      76 遼寜省文物考古硏究所, "朝陽袁臺子-戰國西漢遺址和西周至十六國時期墓葬-" 文物出版社 2010

      77 朝陽市博物館, "朝陽歷史與文物" 遼寧大學出版社 1995

      78 田立坤, "朝陽吳家杖子發掘簡報" 科學出版社 2 : 2010

      79 許明綱, "新金雙房石棚和石盖石棺墓" (1) : 1980

      80 許玉林, "新金雙房石棚和石盖石棺墓" 7 : 1983

      81 撫順市博物館考古隊, "撫順地區早晩兩類靑銅文化遺存" (9) : 1983

      82 이후석, "尹家村類型의 변천과 성격" 중앙문화재연구원 (19) : 1-32, 2016

      83 梅原末治, "大同大寶面反川里出土一括遺物" 養德社 1 : 1947

      84 靳楓毅, "大凌河流域出土的靑銅時代遺物" (11) : 1988

      85 劉大志, "喀左老爺廟鄕靑銅短劍墓" (2) : 1993

      86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省遼源市高古村石棺墓發掘簡報" (6) : 1993

      87 國家文物局, "中國文物地圖集: 遼寜分冊(下)" 西安地圖出版社 2009

      88 金旭東, "1987年吉林東豊南部盖石墓調査與淸理" (2) :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