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orean Economic Crisis  :  Causes, Prescriptions and Refo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06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경제위기는 단순한 외환위기나 유동성위기가 아닌 단기부채, 비효율적인 금융부문, 빈약하게 규정된 금융체계 및 기업의 취약한 재무구조 등과 같은 구조적 위약점들이 문제의 핵심이었다. 1997년 12월 3일 한국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이 금융원조의 조건에 협의한 후 한국의 구조개혁의 노력은 IMF를 포함한 많은 국제기구들로 성공적이라고 평가되어 한국의 투자신용등급이 계속 상향조정되어 왔다.
      거시경제정책은 한국의 경제위기를 해결하는데 특히 초기 단계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환율이 크게 조정되었다. 원화자산에 대한 수익을 올려 자본유출을 줄이고 투기를 억제함으로서 원화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높은 이자율 정책을 유지하였다. 1998년 2월 확대기조로 전환하였지만 경제위기 직후에는 과도한 긴축재정정책을 시행하였다. 노사정위원회는 국민들의 결집을 저해하지 않고 합의를 도출하여 구조조정을 하는데 어느정도 기여하였으나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 같다.
      한국의 금융위기의 주원인은 국제기준에 맞게 국내제도를 개혁하지 못한 정책실패이기 때문에, 경제구조개혁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하고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한국은 세계의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어떠한 외부충격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만큼 경제구조를 유연하게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시장경제와 민주적 공동체를 확립하기 위하여 정부는 법규를 제정하고 경제주체들의 행위를 감독하는데 초점이 두어져야 한다. 빠르게 변하는 세계적 문제를 대처하기 위하여 정부의 역할은 약화되기보다 오히려 강화되어야 한다. 제도적 및 정책 개혁은 경제개혁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경제주체들의 사고방식이 적절하게 개혁되지 못하면 한국의 개혁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개혁주체들은 국가경쟁력이 해외경쟁력에 노출되지 않은 부문의 경쟁력에 의하여 결정된 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교역부문은 이미 자유화조치가 이미 취하여 졌으므로, 미래의 개혁은 정치와 공공부문과 같은 비교역부문의 경쟁력 강화에 초점이 되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의 경제위기는 단순한 외환위기나 유동성위기가 아닌 단기부채, 비효율적인 금융부문, 빈약하게 규정된 금융체계 및 기업의 취약한 재무구조 등과 같은 구조적 위약점들이 문제의 핵심...

      한국의 경제위기는 단순한 외환위기나 유동성위기가 아닌 단기부채, 비효율적인 금융부문, 빈약하게 규정된 금융체계 및 기업의 취약한 재무구조 등과 같은 구조적 위약점들이 문제의 핵심이었다. 1997년 12월 3일 한국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이 금융원조의 조건에 협의한 후 한국의 구조개혁의 노력은 IMF를 포함한 많은 국제기구들로 성공적이라고 평가되어 한국의 투자신용등급이 계속 상향조정되어 왔다.
      거시경제정책은 한국의 경제위기를 해결하는데 특히 초기 단계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환율이 크게 조정되었다. 원화자산에 대한 수익을 올려 자본유출을 줄이고 투기를 억제함으로서 원화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높은 이자율 정책을 유지하였다. 1998년 2월 확대기조로 전환하였지만 경제위기 직후에는 과도한 긴축재정정책을 시행하였다. 노사정위원회는 국민들의 결집을 저해하지 않고 합의를 도출하여 구조조정을 하는데 어느정도 기여하였으나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 같다.
      한국의 금융위기의 주원인은 국제기준에 맞게 국내제도를 개혁하지 못한 정책실패이기 때문에, 경제구조개혁의 노력은 지속되어야 하고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한국은 세계의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어떠한 외부충격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을만큼 경제구조를 유연하게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시장경제와 민주적 공동체를 확립하기 위하여 정부는 법규를 제정하고 경제주체들의 행위를 감독하는데 초점이 두어져야 한다. 빠르게 변하는 세계적 문제를 대처하기 위하여 정부의 역할은 약화되기보다 오히려 강화되어야 한다. 제도적 및 정책 개혁은 경제개혁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경제주체들의 사고방식이 적절하게 개혁되지 못하면 한국의 개혁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
      개혁주체들은 국가경쟁력이 해외경쟁력에 노출되지 않은 부문의 경쟁력에 의하여 결정된 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교역부문은 이미 자유화조치가 이미 취하여 졌으므로, 미래의 개혁은 정치와 공공부문과 같은 비교역부문의 경쟁력 강화에 초점이 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was not a simple liquidity crisis. The culmination of structural weakenesses were at the core of the problem which were buildup in short-term debt, inefficient financial sector, poorly regulated financial system, and highly leveraged corporates. Korea's sovereign rating to investment grade was continously upgraded since early 1999, reflecting positive assessments on Korea's structural reform efforts.
      Macroeconomic policy was an integral to resolve Korea's economic crisis, particularly in early stage. Exchange rate was drastically adjusted before it was allowed to freely float in the market. High interest rate was maintained to stabilize the Korean currency by raising returns on won assets and thereby slowing capital outflows and limiting speculation. Fiscal policy was tightened immediately after the crisis, although it was reverted to an expansionary stance in February 1998.
      Efforts for economic structural reforms have to be maintained and even strengthened further since the policy failure to reform our domestic institutions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was the main 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It is imperative for Korea to make her economic structure flexible enough to absorb any external shocks owing to the uncertainties of the global financial market.
      In order to establish a genuinely market-driven economy and democratic society, the role of the government has to focus on setting rules and monitoring activities of agents. The role of the government should be strengthened rather than weakened to deal with the rapidly evolving global issues. Institutional and policy reforms are important parts of economic reforms. But Korea's reforms will not succeed unless the way of thinking of economic agents is reformed appropriately. Finally, reformers have to realize that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s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ctors that are not open to foreign competition. Adequate liberalization measures were already taken for the tradable sectors. Future reforms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nontradable sectors whose typical examples are public servants and politicians.
      번역하기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was not a simple liquidity crisis. The culmination of structural weakenesses were at the core of the problem which were buildup in short-term debt, inefficient financial sector, poorly regulated financial system, and hig...

      Korean Economic Crisis in 1997 was not a simple liquidity crisis. The culmination of structural weakenesses were at the core of the problem which were buildup in short-term debt, inefficient financial sector, poorly regulated financial system, and highly leveraged corporates. Korea's sovereign rating to investment grade was continously upgraded since early 1999, reflecting positive assessments on Korea's structural reform efforts.
      Macroeconomic policy was an integral to resolve Korea's economic crisis, particularly in early stage. Exchange rate was drastically adjusted before it was allowed to freely float in the market. High interest rate was maintained to stabilize the Korean currency by raising returns on won assets and thereby slowing capital outflows and limiting speculation. Fiscal policy was tightened immediately after the crisis, although it was reverted to an expansionary stance in February 1998.
      Efforts for economic structural reforms have to be maintained and even strengthened further since the policy failure to reform our domestic institutions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was the main cause of the financial crisis. It is imperative for Korea to make her economic structure flexible enough to absorb any external shocks owing to the uncertainties of the global financial market.
      In order to establish a genuinely market-driven economy and democratic society, the role of the government has to focus on setting rules and monitoring activities of agents. The role of the government should be strengthened rather than weakened to deal with the rapidly evolving global issues. Institutional and policy reforms are important parts of economic reforms. But Korea's reforms will not succeed unless the way of thinking of economic agents is reformed appropriately. Finally, reformers have to realize that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s determined by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ctors that are not open to foreign competition. Adequate liberalization measures were already taken for the tradable sectors. Future reforms should focus on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nontradable sectors whose typical examples are public servants and politicia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 2. Causes and Prescriptions of Economic Crisis
      • 1) The causes of Economic Crisis
      • 2) The Prescriptions for the Crisis
      • 3) Structural Reforms :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 1. Introduction
      • 2. Causes and Prescriptions of Economic Crisis
      • 1) The causes of Economic Crisis
      • 2) The Prescriptions for the Crisis
      • 3) Structural Reforms : Financial and Corporate Sectors
      • 3. Major Policy Debates and Issues
      • 4. Lessons from the Korean Crisis and the IMF-Supported Program
      • 5. Concluding Remark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