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 현황과 과제 = ‘마을민속’ 연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35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0년부터 안동대 민속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된 ‘마을민속’ 연구의 성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전망이라는 주제 아래 어촌 연구에 주목한다. 『민속연구』에 게재된 어촌 ...

      이 연구는 2000년부터 안동대 민속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진행된 ‘마을민속’ 연구의 성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전망이라는 주제 아래 어촌 연구에 주목한다. 『민속연구』에 게재된 어촌 관련 민속문화 논문들을 중심으로 어촌 사회와 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전개된 논지는 세 가지다. 첫째. 한국 문화 연구에서 어촌 사회가 상대적으로 주변화된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둘째, 『민속연구』에 실린 논문들을 검토하여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의 현황을 살펴본다. 셋째, 어촌의 마을민속 또는 민속문화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토대로 연구 지역의 확대, 연구 주제의 다양화, 언어 연구의 강화, 총체적 이해에 기반한 마을 민속지의 지향, 그리고 최종적으로 지역 또는 해역 간 비교연구의 필요성 등 다섯 가지 과제를 제시한다. 어촌의 민속문화 연구에서 어촌의 해양문화적 특수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주제에 대한 연구 관심과 내부자적 관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folkloristic studies of fishing village cultures ba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olklore Studies under the theme of critical review and prospect of the results of ‘village folklore’ studies. I develop the argume...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folkloristic studies of fishing village cultures ba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olklore Studies under the theme of critical review and prospect of the results of ‘village folklore’ studies. I develop the argument in three parts. First, I raise the problem that fishing communities have been relatively marginalized from Korean cultural studies. Second, I review the papers in the journal and examine the status of folk culture research in fishing villages. Third, based on the critical review of village folklore or folk culture of fishing villages, I suggest five tasks: expanding the research area, diversifying the research topic, strengthening the language research, orienting the village ethnography based on the holistic perspective, and the comparative studies among the sea areas. I emphasize an insider point of view and the research interest that can show the marine cultural specificity of fishing villages in the fishing village folklo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한국 문화 연구에서 어촌 사회의 위상
      • 3. 어촌의 마을민속 연구 현황
      • 4. 어촌의 마을민속 연구 과제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한국 문화 연구에서 어촌 사회의 위상
      • 3. 어촌의 마을민속 연구 현황
      • 4. 어촌의 마을민속 연구 과제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아키미치 토모야, "해양인류학 : 해양의 박물학자들" 민속원 2005

      2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3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 한상복, "한국의 낙도민속지" 집문당 1992

      5 전경수, "한국어촌의 저발전과 적응" 집문당 1992

      6 박구병, "한국어업사" 정음사 1975

      7 안승택, "한국문화인류학반세기" 소화 2008

      8 高槁銃一, "한․일 어촌의 근대화와 문화전통: 경북 울진 죽변과 島根縣 大浦의 사례 비교"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8 : 1998

      9 정연학, "한․일 뱃기 장식 비교 연구" 민속학연구소 (35) : 295-336, 2017

      10 이남식, "총론: 삶의 역사적 환경․공간유산․어촌사회"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8 : 1998

      1 아키미치 토모야, "해양인류학 : 해양의 박물학자들" 민속원 2005

      2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전라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3 왕한석, "한국의 언어 민속지: 경상남북도 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 한상복, "한국의 낙도민속지" 집문당 1992

      5 전경수, "한국어촌의 저발전과 적응" 집문당 1992

      6 박구병, "한국어업사" 정음사 1975

      7 안승택, "한국문화인류학반세기" 소화 2008

      8 高槁銃一, "한․일 어촌의 근대화와 문화전통: 경북 울진 죽변과 島根縣 大浦의 사례 비교"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8 : 1998

      9 정연학, "한․일 뱃기 장식 비교 연구" 민속학연구소 (35) : 295-336, 2017

      10 이남식, "총론: 삶의 역사적 환경․공간유산․어촌사회"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8 : 1998

      11 권삼문, "죽변항 이주민의 삶과 그 민속: 이른바 ‘아바이 촌(村)’ 주민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8 : 1998

      12 이남식, "죽변 어업기지의 형성과정과 문화접변"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8 : 1998

      13 조숙정, "조기의 민족어류학적 접근: 서해 어민의 토착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45 (45): 239-278, 2012

      14 서종원, "조기 어로민속을 통해 본 서해안의 문화적 특징"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15 김월덕, "전북지역 마을 유형별 마을굿의 전승양상"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1 : 2010

      16 천혜숙, "울진 해촌의 신화와 제의"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8 : 1998

      17 오선화, "울진 사람들 이렇게 산다"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8 : 1998

      18 조정현, "울릉도 배상삼 전설의전승담론과 설화문화학" 민속학연구소 (32) : 35-58, 2016

      19 김준, "어촌의 재인식과 갯벌인식 증진을 위한 연구: 갯살림과 어촌공동체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20 조정현, "어촌의 공유자원과 마을굿의 함수관계"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21 김준수, "어촌사회 항법지식에 나타난 지식주권"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4

      22 권삼문, "어촌민속전시관은 민속 전승의 방안이 될까"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3 : 2004

      23 임재해, "어촌민속의 세계와 어업" 민속원 2013

      24 권삼문, "어촌민속의 세계와 어업" 민속원 2013

      25 권삼문, "어촌 문화관광의 지속 가능한 개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0 : 2000

      26 이중구, "어업활동을 통해 본 경북 동해안지역 어업노동요의 사설과 기능"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27 권삼문, "어업민속 연구의 지형과 전망: 어업민속지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28 송기태, "어경(漁耕)의 시대, 바다 경작의 단계와 전망"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29 조경만, "소안도 촌락의 생태․경제적 적응과 변화 과정: 진산리 주민들의 생업활동을 대상으로"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11 : 1993

      30 강성복, "서해 도서지역 전통어로지식의 전승양상과 변화-보령 외연도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소 (31) : 239-268, 2015

      31 박혜영, "서남해 도서연안 생물문화다양성의 활용과 민속지식의 확장가능성" 민속학연구소 (33) : 149-182, 2016

      32 김재호, "생태조건을 고려한 마을민속 새로 보기"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 : 2009

      33 박혜영, "백일도의 생태변화와 내백마을 풍물 전승의 현재"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5 : 2012

      34 방종현, "방위의 이름" 한글학회 64 : 1939

      35 조숙정, "바람에 관한 서해 어민의 민속지식" 비교문화연구소 21 (21): 291-328, 2015

      36 김지숙, "바람 명칭 '새'에 대한 재고찰 -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32) : 1-28, 2016

      37 조숙정, "바다 생태환경의 민속구분법 : 서해 어민의 문화적 지식에 관한 인지인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38 이윤선, "민속학적 전통과 문화콘텐츠적 변통: 도서해양 기반의 문화원형 기획사례를 소재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6 : 2007

      39 강정원, "민속학과 비교 연구: 마을 민속문화 비교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5 : 2006

      40 한양명, "몇 사례를 통해 본 울진 줄당기기의 지역성"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8 : 1998

      41 배영동, "머리말"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3 : 2004

      42 배영동, "머리말"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4 : 2005

      43 임재해, "머리글: 다시 마을 민속 조사를 시작하면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1 : 2002

      44 임재해, "마을민속 조사연구 방법" 민속원 2007

      45 김창민, "마을 조사와 연구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민속학회 47 : 7-28, 2008

      46 최명환, "마을 유형에 따른 여신설화 전승 양상: ‘다자구할미설화’와 ‘개양할미설화’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1 : 2010

      47 조정현, "마을 유형별 별신굿의 유형"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1 : 2010

      48 나승만, "마을 민속 조사․연구의 실제와 문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1 : 2002

      49 임재해, "마을 민속 조사,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1 : 2002

      50 오창현, "동해의 전통어업기술과 어민" 국립민속박물관 2012

      51 윤동환, "동해안별신굿의 연행요소와 유형"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9 : 2009

      52 심상교, "동해안별신굿과 오구굿의 구조와제의성 비교연구" 민속학연구소 (32) : 233-265, 2016

      53 전성희, "동해안별신굿 ‘맞이굿’ 춤판의 다양성과 그 의미" 민속학연구소 (34) : 285-322, 2017

      54 김재호, "농사짓다 고기 잡는 창포마을의 민속" 민속원 2008

      55 권삼문, "농사짓다 고기 잡는 창포마을의 민속" 민속원 2008

      56 안동대학교 한국학연구원 민속학연구소, "농사짓다 고기 잡는 창포마을의 민속" 민속원 2008

      57 배영동, "농사짓다 고기 잡는 창포마을의 민속" 민속원 2008

      58 유경자, "남해군 도깨비담의 전승양상과 성격" 민속학연구소 (34) : 115-145, 2017

      59 유경자, "남해 지역 민요의 전승요인과 특질-‘한국구비문학대계 사이트 남해군’의 민요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소 (30) : 31-61, 2015

      60 小澤康則, "기후에 관한 俗信語의 한․일 비교: 竹邊調査와 五十猛調査를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8 : 1998

      61 왕한석, "국어학 연구: 남천 박갑수 선생 화갑 기념 논문집" 태학사 1994

      62 한양명, "국립민속박물관의 마을민속지 작업에 관한 검토 - 제주․전북․경북․충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민속학연구소 (32) : 203-231, 2016

      63 방종현, "東西南北과 바람" 조선어학회 2 : 1931

      64 권삼문, "東海 沿岸村落의 自治慣行: 老班會의 構成과 機能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4 : 1994

      65 김미영, "‘제사 모셔가기’에 나타난 유교이념과 양반지향성"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9 : 1999

      66 조정현, "‘열린마을형’ 공동체 제의 연구방법: 별신굿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14 : 2005

      67 Casson, Ronald W, "Language, Culture, and Cognition: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Macmillan Publishing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