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은 녹문 임성주의 성리학적 인간형성의 시각에서 이해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밝혔다. 첫째, 율곡 이이의 리통기국(理通氣局)에 대한 녹문의 비판을 분석함으로써 녹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22443
2004
-
37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27(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글은 녹문 임성주의 성리학적 인간형성의 시각에서 이해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밝혔다. 첫째, 율곡 이이의 리통기국(理通氣局)에 대한 녹문의 비판을 분석함으로써 녹문 ...
이글은 녹문 임성주의 성리학적 인간형성의 시각에서 이해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밝혔다. 첫째, 율곡 이이의 리통기국(理通氣局)에 대한 녹문의 비판을 분석함으로써 녹문 성리학설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둘째, 담일기(湛一氣)에 따른 심성일치(心性一致)를 바탕으로 녹문의 성범심동론(聖凡心同論)에 내재된 인간 형성의 가능성을 밝혔다. 셋째, 녹문의 수양론에서 제기되는 존존감(存存龕)의 유래와 그 의미를 기의 ‘자연’(自然)과 연계시켜 해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도덕적 행위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다루었던 녹문 임성주의 인간 형성이론에 대한 이해를 요약하고 그에 따른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Web을 활용한 대학생들의 학습기술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사립 고등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 운영과정에 관한 미시 정치적 사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