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저온버퍼의 원료공급비 변화가 GaN 박막의 극성에 주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nfluence of the Source-Supplying Ratio during Low-Temperature Buffer Growth on the Polarity of GaN Fil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62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the growth conditions for a low-temperature GaN (LT-GaN) buffer on the polarity of the GaN layer grown on c-plane sapphire by using gas-source molecular beam epitaxy has been investigated. We have observed a change in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low-temperature buffer with changing V/III supply ratios and a related polarity change in the high-temperature GaN layer. The raman shift and the electron-backscatter diffraction (EBSD) pole figure measuremen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rystalline phase of LT-GaN. We found that the GaN layer with Ga polarity was only obtained for the hexagonal phase of the LT-GaN buffer. We explained this observation in terms of a change in the atomic arrangement induced by the stacking faults formed during the growth of the low-temperature buffer layer.
      번역하기

      The effect of the growth conditions for a low-temperature GaN (LT-GaN) buffer on the polarity of the GaN layer grown on c-plane sapphire by using gas-source molecular beam epitaxy has been investigated. We have observed a change in the crystal structu...

      The effect of the growth conditions for a low-temperature GaN (LT-GaN) buffer on the polarity of the GaN layer grown on c-plane sapphire by using gas-source molecular beam epitaxy has been investigated. We have observed a change in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low-temperature buffer with changing V/III supply ratios and a related polarity change in the high-temperature GaN layer. The raman shift and the electron-backscatter diffraction (EBSD) pole figure measuremen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rystalline phase of LT-GaN. We found that the GaN layer with Ga polarity was only obtained for the hexagonal phase of the LT-GaN buffer. We explained this observation in terms of a change in the atomic arrangement induced by the stacking faults formed during the growth of the low-temperature buffer lay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가스소스 분자선 에피택시로 성장한 질화갈륨(GaN) 저온버퍼층의 성장조건에 따른 고온에서 성장된 GaN의 박막의 극성 변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저온버퍼 성장 시 V/III 공급비 변화가 저온버퍼의 결정구조를 결정하며, 저온버퍼의 결정구조가 고온에서 성장한 GaN의 극성(polarity)에 영향을 줌을 관찰하였다. 성장된 시료를 라만분광법(Raman spectroscopy)과 전자반사회절(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의 극성도 (pole figure), 반사고속전자선회절 (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 RHEED)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저온버퍼 성장 시 육방정계 (Hexagonal)상과 입방정계 (cubic)상이 혼재된 경우에는 질소-극성을 갖는 GaN가 형성되며, 육방정계 (Hexagonal)상이 주도적인 경우에는 갈륨-극성을 갖는 GaN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저온버퍼층 성장 시 발생한 적층결함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가스소스 분자선 에피택시로 성장한 질화갈륨(GaN) 저온버퍼층의 성장조건에 따른 고온에서 성장된 GaN의 박막의 극성 변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저온버퍼 성장 시 V/III 공급비 ...

      본 연구에서는 가스소스 분자선 에피택시로 성장한 질화갈륨(GaN) 저온버퍼층의 성장조건에 따른 고온에서 성장된 GaN의 박막의 극성 변화에 관해 연구하였다. 저온버퍼 성장 시 V/III 공급비 변화가 저온버퍼의 결정구조를 결정하며, 저온버퍼의 결정구조가 고온에서 성장한 GaN의 극성(polarity)에 영향을 줌을 관찰하였다. 성장된 시료를 라만분광법(Raman spectroscopy)과 전자반사회절(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의 극성도 (pole figure), 반사고속전자선회절 (reflection high energy electron diffraction, RHEED)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저온버퍼 성장 시 육방정계 (Hexagonal)상과 입방정계 (cubic)상이 혼재된 경우에는 질소-극성을 갖는 GaN가 형성되며, 육방정계 (Hexagonal)상이 주도적인 경우에는 갈륨-극성을 갖는 GaN 박막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저온버퍼층 성장 시 발생한 적층결함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고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 Morkoc, 76 : 1363-, 1994

      2 D. Huang, 78 : 4145-, 2001

      3 S. Nakamura, 68 : 2105-, 1996

      4 O. Ozgur, 31 : 1389-, 1995

      5 H. Okumura, 178 : 113-, 1997

      6 S. Strite, 10 : 1237-, 1992

      7 E. S. Hellman, 3 : e11-, 1998

      8 A. R. Smith, 72 : 2114-, 1998

      9 K. Xu, 228 : 523-, 2001

      10 K. Xu, 237-239 : 1003-, 2002

      1 H. Morkoc, 76 : 1363-, 1994

      2 D. Huang, 78 : 4145-, 2001

      3 S. Nakamura, 68 : 2105-, 1996

      4 O. Ozgur, 31 : 1389-, 1995

      5 H. Okumura, 178 : 113-, 1997

      6 S. Strite, 10 : 1237-, 1992

      7 E. S. Hellman, 3 : e11-, 1998

      8 A. R. Smith, 72 : 2114-, 1998

      9 K. Xu, 228 : 523-, 2001

      10 K. Xu, 237-239 : 1003-, 2002

      11 T. Zywietz, 3 : e26-, 1998

      12 A. R. Smith, 79 : 3934-, 1997

      13 A. Kikuchi, 39 : L330-, 2000

      14 X. Q. Shen, 218 : 155-, 2000

      15 S. Keller, 68 : 1525-, 1996

      16 A. Bykhovski, 74 : 6734-, 1993

      17 M. Seelmann-Eggebert, 71 : 2635-, 1997

      18 B. Daudin, 69 : 2480-, 1996

      19 M. Sumiya, 75 : 674-, 1999

      20 R. Collazo, 287 : 586-, 2006

      21 T. Matsuoka, 243 : 1446-, 2006

      22 A. Georgakilas, 188 : 567-, 2001

      23 L. K. Li, 76 : 1740-, 2000

      24 U. Karrer, 77 : 2012-, 2000

      25 M. J. Murphy, 75 : 3653-, 1999

      26 S. D. Lester, 66 : 1249-, 1995

      27 H. Okumura, 189/190 : 364-, 1998

      28 X. H. Wu, 80 : 3228-, 1996

      29 K. Lorenz, 77 : 3391-, 2000

      30 V. Narayanan, 78 : 1544-, 2001

      31 X. H. Wu, 189/190 : 231-, 1998

      32 A. Béré, 365 : 241-, 2004

      33 M. Jamila, 310 : 4947-, 2008

      34 H. F. Liu, 218 : 191-, 2000

      35 A. Tabata, 79 : 4137-, 1996

      36 X. Du, 107 : 543-, 1998

      37 T. Lia, 235 : 103-, 2002

      38 D. Li, 180 : 357-, 2000

      39 F. Karouta, 28 : 1448-, 1999

      40 H. Kato, 275 : e2459-, 2005

      41 S. Mikroulis, 80 : 2886-, 2002

      42 최성국, "가스소스 MBE에서 원료공급량이 결정성장 기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6 (26): 446-45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6-09-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ae Mulli(New Physics) -> New Physics: Sae Mulli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5 0.14 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