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랑이 홍콩을 구할 수 있을까?: 배타적 정체성과 본질주의를 넘어서 = Can Love Save Hong Kong?: Beyond Exclusive Identities and Essent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89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년 홍콩 송환법 반대시위와 그 이후의 정치적 변화 속에서 홍콩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사랑’의 틀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홍콩과 중국 간 관계에 대한 기존의 두 가지 주요 내러티브인 중앙정부의 담론과 홍콩 우익 본토파의 담론은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듯 보이지만 본질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거울상 관계에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홍콩인들이 이러한 본질주의적 내러티브를 넘어서는 정체성을 어떻게 실천적으로 형성해왔는지에 주목한다.
      송환법 반대시위와 국가안전법 도입을 겪으며 홍콩에서 생겨나는 많은 변화에 대해 국내외에서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시위 과정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표현 중 하나 인‘사랑’에 주목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논문은 정부가 요구하고 허용하는 유일한 사랑인‘나라 사랑’에 대해 고찰한 후, 홍콩인들이 일상 속에서 새로운 연결을 통해 배타적이지 않은 사랑을 실천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정체성과 민족주의 연구에 기여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9년 홍콩 송환법 반대시위와 그 이후의 정치적 변화 속에서 홍콩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사랑’의 틀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홍콩과 중국 ...

      본 연구는 2019년 홍콩 송환법 반대시위와 그 이후의 정치적 변화 속에서 홍콩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연구에서 다뤄지지 않은‘사랑’의 틀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홍콩과 중국 간 관계에 대한 기존의 두 가지 주요 내러티브인 중앙정부의 담론과 홍콩 우익 본토파의 담론은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듯 보이지만 본질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거울상 관계에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홍콩인들이 이러한 본질주의적 내러티브를 넘어서는 정체성을 어떻게 실천적으로 형성해왔는지에 주목한다.
      송환법 반대시위와 국가안전법 도입을 겪으며 홍콩에서 생겨나는 많은 변화에 대해 국내외에서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시위 과정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표현 중 하나 인‘사랑’에 주목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논문은 정부가 요구하고 허용하는 유일한 사랑인‘나라 사랑’에 대해 고찰한 후, 홍콩인들이 일상 속에서 새로운 연결을 통해 배타적이지 않은 사랑을 실천하고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정체성과 민족주의 연구에 기여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Hong Kong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2019 anti-extradition bill protests and subsequent political changes through the lens of “love,” a concept largely overlooked in existing research. The two dominant narrativ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 Kong and China — Beijing’s discourse and the rhetoric of Hong Kong’s right-wing localists — appear starkly opposed. Sharing an essentialist conceptualization of identity, however, they ar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s Hongkongers’ active construction of an identity transcending such essentialist narratives. On the one hand, the government has imposed a notion of unconditional love as patriotism. On the other, Hongkongers have redefined and practiced love in a non-exclusive manner through everyday connections and solidarity. In highlighting how love functions as a critical force in reshaping narratives of belonging in contemporary Hong Kong, this study contributes to broader discussions on identity and nationalism.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Hong Kong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2019 anti-extradition bill protests and subsequent political changes through the lens of “love,” a concept largely overlooked in existing research. The two dominant narratives concerning...

      This study examines Hong Kong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2019 anti-extradition bill protests and subsequent political changes through the lens of “love,” a concept largely overlooked in existing research. The two dominant narratives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 Kong and China — Beijing’s discourse and the rhetoric of Hong Kong’s right-wing localists — appear starkly opposed. Sharing an essentialist conceptualization of identity, however, they ar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s Hongkongers’ active construction of an identity transcending such essentialist narratives. On the one hand, the government has imposed a notion of unconditional love as patriotism. On the other, Hongkongers have redefined and practiced love in a non-exclusive manner through everyday connections and solidarity. In highlighting how love functions as a critical force in reshaping narratives of belonging in contemporary Hong Kong, this study contributes to broader discussions on identity and nationalis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