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大邱).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문제되는 젖소의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에 관한 연구(硏究) = Studies on Chronic Mastitis of Dairy Cattle in Taegu-Kyungpook Provinc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4년(年) 10월(月)부터 1985년(年) 8월말(月末)사이에 대학부속가축병원(大學附屬家畜病院)에 검진의뢰(檢診依賴)된 대구(大邱)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한 83례(例)의 만성(慢性) 유...

      1984년(年) 10월(月)부터 1985년(年) 8월말(月末)사이에 대학부속가축병원(大學附屬家畜病院)에 검진의뢰(檢診依賴)된 대구(大邱)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발생(發生)한 83례(例)의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의 원인균(原因菌)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하고 이 분리균(分離菌)의 각종(各種) 항생제(抗生劑)에 대한 감수성(感受性)을 disc diffusion technique로 조사(調査)하였다. 대구(大邱)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문제되는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은 포도구균성 유방염(乳房炎)이 전체의 48.2%(83례중(例中) 40례(例))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대장균군(大腸菌群) 유방염(乳房炎)으로 18.1%(83례중(例中) 15례(例))를 차지하였다. 효모양진균에 의한 유방염(乳房炎)도 10.8%(83례중(例中) 9례(例))나 되었다. Corynebacterium spp.에 의한 유방염(乳房炎)은 8.4%였으나 연쇄구균성 유방염(乳房炎)은 3.6%에 지나지 않았다. Bacillus spp.와 pseudomonad에 의한 것은 각각 3.6%와 8.4%이었으며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의 원인균(原因菌)을 밝힐 수 있었던 것은 4.8%(83 례중(例中) 4례(例))이였다. 만성(慢性) 유방염(乳房炎)에 관여한 포도구균과 대장균(大腸菌)은 공시(供試)한 항상제(抗生劑)에 대하여 내성(耐性)을 나타내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포도구균은 penicillin, methicillin, linocomycin, novobiocin, ampicillin, tetracycline에는 각각 87.2%, 78.7%, 68.1%, 61.7%, 57.4%가 내성(耐性)인 반면에 gentamicin, cephaloth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등에는 각각 78.7%, 76.6%, 74.5%, 63.7%가 감수성(感受性)이었다. 대장균(大腸菌)은 streptomycin과 cephalothin에는 72.2%, tetracycline에 66.7%, ampicillin에 61.1%가 내성(耐性)인 반면에 colistin, gentamicin, chloramphenicol, neomycin에는 각각 83.3%, 77.8%, 66.7%, 55.6%가 감수성(感受性)이었다. Corynebacterium spp.는 ampicill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oleandomycin, tetracycline에는 감수성(感受性)이었으나 novobiocin과 penicillin 등에는 내성(耐性)이었다. 한편 pseudomonas aeruginosa는 공시(供試)한 모든 항생제(抗生劑)에 내성(耐性)이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me investigations on chronic mastitis in dairy cattle in Taegu-Kyungpook Provinces from the beginning of October, 1984 till the end of August, 1985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ular regard to the causative agents and their drug susceptibility. Milk...

      Some investigations on chronic mastitis in dairy cattle in Taegu-Kyungpook Provinces from the beginning of October, 1984 till the end of August, 1985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ular regard to the causative agents and their drug susceptibility. Milk samples from 83 isolated cases of chronic mastitis cattle were investigated bacteriologically and the causative organisms recovered were examined for their antibiotic susceptibility by using disc diffusion susceptibility technique against the major antibiotics of current veterinary use. Major causative agents involved in chronic mastitis in Taegu-Kyungpook Provinces were in order of prevalence Staphylococcus spp. (48.2 %), Escherichia coli (18.1 %), Candida spp. (10.8 %) and Corynebacterium spp. (8.4 %), Streptococcus agalactiae (3.6 %), Bacillus cereus (3.6 %) and Pseudomonas aeruginosa (2.4 %) were found to be one of the minor agents. The majority of staphylococcal isolates and E. coli were highly resistant to the most antibiotics tested. The percentages of staphylococcal cultures resistant to penicillin, methicillin, lincomycin, novobiocin, ampicillin and tetracycline were 87.2 %, 78.7 %, 68.1 %, 61.7% and 57.4 %, respectively, while the majority of them were susceptible to gentamicin(78.7 %), cephalothin(76.6 %) and chloramphenicol (74.5%). E. coli isolates were found to be highly resistant to streptomycin, cephalothin, tetracycline and ampicillin while the majority of them were susceptible to colistin (83.3 %), gentamicin (77.8 %) and chloramphenicol (66.7 %). Corynebacterium spp. were susceptible to ampicill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gentamicin, oleandomycin and tetracycline although they showed resistance to novobiocin and penicillin. Two cultures of Pseudomonas aeruginosa recovered from mastitis milk were highly resistant to the antibiotic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