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샵 소비자의 소비가치가 점포 선택기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s on Selection Criteria and Purchase Intention of Lifestyle Shopp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2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Lifestyle Shop` becomes a cultural space of consumption trend while it is highlighted as a new distribution form, the study started from problematic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on lifestyle shopp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s on selection criteria and purchase intention of lifestyle shopp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 and male consumers in their 20~ 40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who purchased the products in lifestyle shops.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14 to Oct. 19, 2013. Finally, survey sheets of 316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on shop selection criteria, functional value affected selection criteria of `shop` and `product.`Exotic value affected selection criteria of `reputation/fashion.` Hedonic value g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selection criteria of `shop`only. Also, the value of pursuing fashion affected selection criteria of reputation/fashion.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nfluences of shop selection criteria of shoppers on purchase intention, only `shop`selection criteria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n value to purchase intention; exotic value and hedonic value gave direct influences.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f the functional value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shop`selection cri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of lifestyle shop which is an emerging retailing channel.
      번역하기

      As `Lifestyle Shop` becomes a cultural space of consumption trend while it is highlighted as a new distribution form, the study started from problematic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on lifestyle shopp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

      As `Lifestyle Shop` becomes a cultural space of consumption trend while it is highlighted as a new distribution form, the study started from problematic recognition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on lifestyle shopp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s on selection criteria and purchase intention of lifestyle shopp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 and male consumers in their 20~ 40s living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who purchased the products in lifestyle shops.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14 to Oct. 19, 2013. Finally, survey sheets of 316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on shop selection criteria, functional value affected selection criteria of `shop` and `product.`Exotic value affected selection criteria of `reputation/fashion.` Hedonic value g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selection criteria of `shop`only. Also, the value of pursuing fashion affected selection criteria of reputation/fashion.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influences of shop selection criteria of shoppers on purchase intention, only `shop`selection criteria affecte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in regard to the relationship of consumption value to purchase intention; exotic value and hedonic value gave direct influences.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f the functional value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shop`selection criteria.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of lifestyle shop which is an emerging retailing chann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영주, "할인점 의류제품의 구매의도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37-52, 2002

      2 김태형, "패션유통시장의 신 트렌드"

      3 이정연, "패션에서 삶으로, 편집숍의 진화"

      4 최윤경, "토탈 인테리어 샵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외 브랜드와의 차별화 전략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5

      5 고은별,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에 관한 연구 - Ikea, 무인양품, Kosney의 VMD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9-37, 2009

      6 나윤규,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신뢰가 지각된 유용성, 태도 및 패션상품 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2 (32): 834-845, 2008

      7 류은정, "의복소비가치가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161-169, 2002

      8 박혜정, "의복소비가치, 독특성 욕구, 정보원 활용이 의류제품속성 및 점포속성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 분석" 한국의류학회 36 (36): 802-813, 2012

      9 김선희, "의복 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선도력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0 허유형, "왜 지금, 패션 유통시장의 키워드는 메가, 토털, 멀티, 편십샵인가?"

      1 정영주, "할인점 의류제품의 구매의도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37-52, 2002

      2 김태형, "패션유통시장의 신 트렌드"

      3 이정연, "패션에서 삶으로, 편집숍의 진화"

      4 최윤경, "토탈 인테리어 샵 브랜드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국내외 브랜드와의 차별화 전략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5

      5 고은별, "체험마케팅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샵의 VMD에 관한 연구 - Ikea, 무인양품, Kosney의 VMD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9-37, 2009

      6 나윤규,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신뢰가 지각된 유용성, 태도 및 패션상품 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 32 (32): 834-845, 2008

      7 류은정, "의복소비가치가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2 (52): 161-169, 2002

      8 박혜정, "의복소비가치, 독특성 욕구, 정보원 활용이 의류제품속성 및 점포속성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구조 분석" 한국의류학회 36 (36): 802-813, 2012

      9 김선희, "의복 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선도력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0 허유형, "왜 지금, 패션 유통시장의 키워드는 메가, 토털, 멀티, 편십샵인가?"

      11 박정권, "쇼핑가치에 따른 점포선택기준과 패션점포 유형별 방문정도의 차이" 복식문화학회 20 (20): 883-894, 2012

      12 김소영,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점포애고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13 홍금희, "소비자의 의복 쇼핑동기와 관여도에 따른 점포 선택기준과 점포에 대한 태도" 한국의류산업학회 5 (5): 363-371, 2003

      14 박시은, "생활 속 아이템을 한 자리에 ‘라이프스타일숍’"

      15 박태희,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3 (53): 83-94, 2003

      16 차인숙, "백화점 소비자의 의복쇼핑 성향과 점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23 (23): 284-295, 1999

      17 전영한, "무인양품 “브랜드 찾던 한국 소비자, 이젠 스타일 보고 사요”"

      18 범경기, "마케팅믹스요인이 점포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체험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92-300, 2010

      19 최호규,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대형할인점의 점포선택 기준과 고객만족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4 (24): 361-385, 2010

      20 김혜진, "단순 패션숍을 뛰어넘어‘라이프스타일 복합공간’으로"

      21 김수연, "국내 패션 멀티브랜드 스토어의 개념 및 진화과정"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31 (31): 325-338, 2011

      22 한지형, "“패션+생활” 라이프스타일숍이 대세"

      23 Sheth, J. N., "Why we buy what we buy :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22 : 160-, 1991

      24 Schwartz, S. H., "Toward a universal psychological structure of human value" 53 (53): 550-562, 1987

      25 Xiong, J. Y., "The relationship among store’s physical environment, store image,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 intention" Paichai University 2011

      26 Braithwaite, V. A.,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The Academic Press 1991

      27 Engel J .F., "Consumer Behavior" The Dryden Press 1995

      28 Cha, I. S., "A study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store choice criteria on department stores consumers" 23 (23): 284-295, 1999

      29 이가나, "20-30대 여성 소비자들의 소비가치 유형에 따른 해외 패션명품 브랜드 가방 구매행동"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554-56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