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어 ‘순간’ 동사의 사건 구조와 의미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29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larified to semantic structure, especially event one, which moment verbs have specific features, that make the other type except four type of verbs on the basis of Pustejovsky(1991a, 1995) approach in which he suggests with the same stand of Vendler(1967).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 summarizes the approach of Pustejovsky(1991a, 1995) which he present the theory of generative lexicon with character of Vendler(1967). The theory of generative lexicon have manifestation of four type as the structure of argument, the event structure, the feature structure and the inherit of lexeme. This paper focuses especially on the second one. Pustejovsky(1991a, 1995) also suggests that the structure of event divided into three as process, state, transition. But I suggest the moment verb type in order to explain moment type I compare the “dochakhada” of achievement verb to it For justifying my suggest with which induce the two type have different features.
      번역하기

      This study clarified to semantic structure, especially event one, which moment verbs have specific features, that make the other type except four type of verbs on the basis of Pustejovsky(1991a, 1995) approach in which he suggests with the same stand ...

      This study clarified to semantic structure, especially event one, which moment verbs have specific features, that make the other type except four type of verbs on the basis of Pustejovsky(1991a, 1995) approach in which he suggests with the same stand of Vendler(1967).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I summarizes the approach of Pustejovsky(1991a, 1995) which he present the theory of generative lexicon with character of Vendler(1967). The theory of generative lexicon have manifestation of four type as the structure of argument, the event structure, the feature structure and the inherit of lexeme. This paper focuses especially on the second one. Pustejovsky(1991a, 1995) also suggests that the structure of event divided into three as process, state, transition. But I suggest the moment verb type in order to explain moment type I compare the “dochakhada” of achievement verb to it For justifying my suggest with which induce the two type have different fea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서술어의 사건 구조와 순간 동사
      • 3. 순간 동사의 사건 구조
      • 4. 결론
      • Abstract
      • 1. 서론
      • 2. 서술어의 사건 구조와 순간 동사
      • 3. 순간 동사의 사건 구조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양, "현대국어의 시상형태에 대한 연구" 51 : 1982

      2 이호승, "현대국어의 상황유형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 油谷幸利, "현대 한국어의 동사 분류 : asoect를 중심으로" 87 : 1978

      4 김원경, "한국어의 격" 박문사 2009

      5 조민정, "한국어에서 상의 두 양상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사 2007

      6 선지성, "한국어 필수 부사어 연구 : 서술어와의 통사·의미적 상관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정문수, "한국어 풀이씨의 상적속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8 남승호,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 구조와 논항 교체" 39 (39): 11-145, 2003

      9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10 이지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시제와 상의 이해 -현재완료상과 과거시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연구학회 18 (18): 163-180, 2013

      1 이지양, "현대국어의 시상형태에 대한 연구" 51 : 1982

      2 이호승, "현대국어의 상황유형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 油谷幸利, "현대 한국어의 동사 분류 : asoect를 중심으로" 87 : 1978

      4 김원경, "한국어의 격" 박문사 2009

      5 조민정, "한국어에서 상의 두 양상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사 2007

      6 선지성, "한국어 필수 부사어 연구 : 서술어와의 통사·의미적 상관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7 정문수, "한국어 풀이씨의 상적속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2

      8 남승호,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 구조와 논항 교체" 39 (39): 11-145, 2003

      9 남승호,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인문학연구원 (52) : 75-124, 2004

      10 이지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시제와 상의 이해 -현재완료상과 과거시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연구학회 18 (18): 163-180, 2013

      11 임지룡, "의미론의 이해" 한국문화사 2010

      12 강범모, "의미론 2" 한국문화사 2013

      13 이정민, "의미 구조의 표상과 실현" 소화출판사 113-183, 2000

      14 남승호, "의미 구조의 표상과 실현" 소화출판사 229-281, 2000

      15 이하규, "의미 구조의 표상과 실현" 소화출판사 283-341, 2000

      16 강범모, "의미 구조의 표상과 실현" 소화출판사 185-228, 2000

      17 임지룡, "언어의 의미: 의미·화용론 개론" 태학사 2002

      18 유현주, "언어의 보편성과 미명세 원리" 4 : 351-389, 2002

      19 이성범, "언어와 의미" 태학사 1999

      20 김종복, "생성어휘론" 박이정 2002

      21 홍윤기, "상황유형과 부사의 상적 의미 표시 기능" 한국어의미학회 13 : 207-228, 2003

      22 정문수, "상적특성에 따른 한국어 풀이씨의 분류" 5 : 1984

      23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3

      24 유혜원, "국어의 격 교체 구문의 연구 : 한영 기계 번역 시스템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5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2010

      26 이익환, "국어 심리동사의 상적특성" 15 : 25-45, 1994

      27 옥태권, "국어 상조동사의 의미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1988

      28 홍윤기, "국어 문장의 상적 의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29 남용우, "격문법이란 무엇인가?" 을유문화사 1986

      30 우창현, "濟州 方言의 相 硏究" 西江大學校 大學院 1998

      31 Dowty. D., "Word Meaning and Montague Grammar" Reidel 1979

      32 Puestejovsky. J, "The syntax of event structure" 41 : 47-81, 1991

      33 Smith. C. S.,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4

      34 Smith. C. S., "The Parameter of Aspec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1

      35 Puestejovsky. J., "The Generative Lexicon" The MIT Press 1995

      36 Z. Vendler., "Linguistics in Philosophy" Cornell University Press 1967

      37 양창용, "A Discourse Marker keymey in the Language of Jeju: Its pragmatically-controlled functions and use" 한국언어연구학회 21 (21): 149-164,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제주국제언어학회 -> 한국언어연구학회
      영문명 :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Society of Jeju -> The Korean Association of Language Studies
      2008-04-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제주언어학회 -> 제주국제언어학회
      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Cheju ->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Society of Jeju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9 0.78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