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에 따른 비유 중기 유산양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Milk Production in Saanen Dairy Goats in Mid Lac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62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기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57.5±10.8 ㎏ BW)를 이용하여 4 × 4 ...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기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57.5±10.8 ㎏ BW)를 이용하여 4 × 4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에너지 공급수준과 단백질 공급수준을 10.59 (T1), 10.14 (T2), 9.45 (T3) 및 8.75 (T4) MJ/㎏과 11.90 (T1), 12.73 (T2), 15.19 (T3) 및 16.60% (T4)로 달리하였으며, 조농비율은 49:51 (T1), 59:41 (T2), 74:26 (T3) 및 90:10 (T4)의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은 모든 처리구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량은 T3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T2 및 T4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유지방함량과 생산량은 T4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 (p<0.05). 유단백질과 유당 생산량은 T1 (61.29 및 70.95 g/일)과 T3 (60.52 및 75.82 g/일)구에서 T2 (50.49 및 59.64 g/일)와 T4 (52.49 및 59.82 g/일)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산양의 유생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에너지 공급수준은 최소 9 MJ/㎏ 이상과 단백질 공급수준은 최소 15% 이상을 공급해 주어야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milk production in Saanen (Capra hircus) dairy goats fed the diets with the different ratio of forage and concentrate. Four lactating goats in mid lactation (57....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milk production in Saanen (Capra hircus) dairy goats fed the diets with the different ratio of forage and concentrate. Four lactating goats in mid lactation (57.5±10.79 ㎏ BW) were used in a 4 × 4 Latin square with 21-d periods. Animal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four groups; 10.59 MJ ME/kg and 11.90% CP (T1), 10.14 MJ ME/㎏ and 12.73% CP (T2), 9.45 MJ ME/㎏ and 15.19% CP (T3), 8.75 MJ ME/㎏ and 16.60% CP DM (T4). Also ratio of forage to concentrate was 49 : 51 (T1), 59 : 41 (T2), 74 : 26 (T3) and 90 : 10 (T4). Intakes of forage and concentrate were linearly increased (p<0.05) with their increasing energy levels in the die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otal dry matter intake and body weight between treatments. Milk yield in T3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Relative to other treatments, T4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content of milk fat. The yields of milk protein and lactose in T1 (61.29 and 70.95 g/d) and T3 (60.52 and 75.82 g/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2 (50.49 and 59.64 g/d) and T4 (52.49 and 59.82 g/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nimum dietary level of energy and protein was 9 MJ ME/kg and 15% CP in mid lactation Saanen dairy goa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재료 및 방법
      • Ⅲ. 결과 및 고찰
      • Ⅳ. 요약
      • Ⅴ. 사사
      • Ⅵ.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농림부, "한국사양표준(젖소)" 상록사 2007

      2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염소유를 이용한 농가형 유제품 개발연구. 최종연구보고서" 91-, 2000

      3 최순호, "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7 (47): 783-788, 2005

      4 안병홍,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한국재래산양의 비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15): 33-42, 1990

      5 최순호,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9 (49): 509-514, 2007

      6 농림수산식품부, "농림통계연보" 2008

      7 Agricultural and Food Research Council, "The nutrition of goats" CAB International 1998

      8 Danfaer, A., "The effect of the level of dietary protein on milk production" Beret. st. Husdyrbrugsforg. 492-, 1980

      9 Sachdeva, K.K., "Studies on goats. 1. Effect of plane of nutrition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oes" 80 : 375-379, 1973

      10 Dubeuf, J.P., "Situation, changes and future of goat industry around the world" 51 : 165-173, 2004

      1 농림부, "한국사양표준(젖소)" 상록사 2007

      2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염소유를 이용한 농가형 유제품 개발연구. 최종연구보고서" 91-, 2000

      3 최순호, "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7 (47): 783-788, 2005

      4 안병홍,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한국재래산양의 비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15 (15): 33-42, 1990

      5 최순호, "사료의 에너지 수준이 육성기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9 (49): 509-514, 2007

      6 농림수산식품부, "농림통계연보" 2008

      7 Agricultural and Food Research Council, "The nutrition of goats" CAB International 1998

      8 Danfaer, A., "The effect of the level of dietary protein on milk production" Beret. st. Husdyrbrugsforg. 492-, 1980

      9 Sachdeva, K.K., "Studies on goats. 1. Effect of plane of nutrition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does" 80 : 375-379, 1973

      10 Dubeuf, J.P., "Situation, changes and future of goat industry around the world" 51 : 165-173, 2004

      11 SAS,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Inc. 2003

      12 Haenlein, G.F.W., "Role of goat meat and milk in human nutrition" 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Publishers 575-580, 1992

      13 박승용,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oat milk products in Korea" 24 (24): 39-45, 2006

      14 Haenlein, G.F.W.,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of small ruminant dairy research" 84 : 2097-2115, 2001

      15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gricultural Chemists 1990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Nutrient Requirements of Dairy cattle. Seventh Revised Edition" National Academy Press 2001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Nutrient Require- ments of goats: Angora, Dairy and Meat Goats in Temperate and Tropical Countries" National Academy Press 1981

      18 Duncan, D.B.,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11 (11): 1955

      19 Rubino, R., "Milk production of goats grazing native pasture under different supplementation regimes in southern Italy" 17 : 213-221, 1995

      20 Razafindrakoto, O., "Le lait de chevre peutil remplacer le lait de vache chez l’'enfant malnutri?" 73 : 601-611, 1993

      21 Agreste, A., "Lait et produits laitiers en 2000, vol. 103" INRA Publication 127-, 2001

      22 Singh, S.N., "Investigation on milk and meat potentialities of Indian goats, 1965-70. Final Techn" Raja Balwant Singh College 1970

      23 Ivey, D. S., "Growth and cashmere production by Spanish goats consuming ad libitum diets differing in protein and energy levels" 35 : 133-139, 2000

      24 MAFF, "Feeding Dairy Goats, booklet produced by ADAS Nutrition Chemistry Section"

      25 Rapetti, L., "Energy utilization of diets with different hay proportions in lactating goats" 23 : 317-328, 1997

      26 Sahoo, B., "Effect of feeding undegradable protein with energy on nutrient utilization,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of crossbred goats" 75 : 36-42, 2008

      27 Hachelaf, W., "Digestibilite des graisses du lait de chevre chez des infants presentant unemalnutrition d’'origine digestive. Comparaison avec le lait de vache" 73 : 593-599, 1993

      28 Goetsch, A.L., "Dairy goat perfor- mance with different dietary concentrate levels in late lactation" 41 : 117-125, 2001

      29 기광석, "CP TDN 수준이 육성기 유산양의 건물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269-276, 2009

      30 Van Soest, P.J., "Analysis of forage and fibrous feeds"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Cornell University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