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 및 검사 기간 등에 관해 지적측량 의뢰인, 접수담당자, 측량수행자, 측량검사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고, 이의 분석결과를 토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65873
2021
-
320
KCI등재
학술저널
85-103(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 및 검사 기간 등에 관해 지적측량 의뢰인, 접수담당자, 측량수행자, 측량검사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고, 이의 분석결과를 토대...
본 연구에서는 지적측량 및 검사 기간 등에 관해 지적측량 의뢰인, 접수담당자, 측량수행자, 측량검사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시행하고, 이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적측량 및 검사의 적정 처리 기간 관련 내용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조사를 실시한 후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각 집단 모두 현행 지적측량 및 검사 기간에 대해 실제 업무환경에 부합하도록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측량과 검사 기간 모두 현실성 있게 현재의 기간보다 더 연장하여 적정 기간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만일, 기간을 연장하여 규정하기가 어렵다면 의뢰인과의 협의에 의한 기간에 대해 각종 외부변수의 영향으로 부득이하게 연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기간 연장을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cadastral surveying clients, receptionists, surveyors, and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urveying inspection on cadastral surveying and inspection period, and based on th...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cadastral surveying clients, receptionists, surveyors, and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urveying inspection on cadastral surveying and inspection period,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intend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items were composed with contents related to the appropriate processing period of cadastral surveying and surveying inspection, and survey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each group felt the need for improvement to match the actual work environment for the current cadastral surveying and inspection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listically extend the period for both cadastral surveying and inspection to an appropriate period. If it is difficult to define by extending the period, it is judged that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that can additionally extend the period when it is unavoidably necessary due to the influence of various external variables for agreed period with the cli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우섭, "한국 지적측량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24 (24): 207-216, 2008
2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지적학회, "최신 지적측량" 구미서관 2020
3 김유미, "지적측량성과관리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25 (25): 127-140, 2009
4 신동현, "지적측량동시검사제도를 통한 지적행정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39 (39): 121-135, 2009
5 홍성언, "지적측량 처리기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적학회 37 (37): 133-146, 2021
6 국토교통부, "지적측량 성과결정방법의 표준화방안" 2016
7 최춘성, "지적측량 검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6 (16): 2000
8 강태석, "지적측량 검사의 실효성 향상을 위한 검사제도 개선 연구" 한국지적학회 22 (22): 67-83, 2006
9 이동하, "정밀측량기술을 이용한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 9 : 2011
10 임성하, "드론항공사진측량을 활용한 지적측량 성과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51 (51): 79-95, 2021
1 심우섭, "한국 지적측량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24 (24): 207-216, 2008
2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지적학회, "최신 지적측량" 구미서관 2020
3 김유미, "지적측량성과관리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25 (25): 127-140, 2009
4 신동현, "지적측량동시검사제도를 통한 지적행정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39 (39): 121-135, 2009
5 홍성언, "지적측량 처리기간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적학회 37 (37): 133-146, 2021
6 국토교통부, "지적측량 성과결정방법의 표준화방안" 2016
7 최춘성, "지적측량 검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6 (16): 2000
8 강태석, "지적측량 검사의 실효성 향상을 위한 검사제도 개선 연구" 한국지적학회 22 (22): 67-83, 2006
9 이동하, "정밀측량기술을 이용한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 9 : 2011
10 임성하, "드론항공사진측량을 활용한 지적측량 성과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51 (51): 79-95, 2021
11 홍성언, "도해지역에서의 합리적인 지적측량 성과결정을 위한 표준절차의 정립 연구" 한국지적학회 27 (27): 143-153, 2011
Study on the Estimation of Land Price based on the Homogeneous Land Price Area
프롭테크 서비스에 대한 부동산 시장 소비자의 수용의도 형성에 관한 연구
지역특성화사업의 경제적 성과와 의의 : 폐광지역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4 | 0.428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