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evinson, S, "화용론" 한신문화사 1992
2 Mey, L., "화용론" 한신문화사 1996
3 김정숙,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281-303, 2008
4 이경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우호적 청자반응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지영,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 분석" 민족어문학회 (69) : 383-410, 2013
6 김지영, "한국어 숙달도 평가의 문제은행 도입을 위한 문항 일반 정보 구축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54) : 75-98, 2014
7 강현주,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구인으로서 상호작용능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8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5-144, 2003
9 이원표, "토크쇼에서의 말 끼어들기: 담화 기능과 사회적 요인" 담화・인지언어학회 6 (6): 23-59, 1999
10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3~4" 교보출판 2010
1 Levinson, S, "화용론" 한신문화사 1992
2 Mey, L., "화용론" 한신문화사 1996
3 김정숙, "한국어와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281-303, 2008
4 이경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우호적 청자반응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김지영, "한국어 중급 교재의 대화문에 나타난대인관계적 기능과 그 구현 양상 분석" 민족어문학회 (69) : 383-410, 2013
6 김지영, "한국어 숙달도 평가의 문제은행 도입을 위한 문항 일반 정보 구축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54) : 75-98, 2014
7 강현주,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구인으로서 상호작용능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8 김정숙, "통합 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수요목 설계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5-144, 2003
9 이원표, "토크쇼에서의 말 끼어들기: 담화 기능과 사회적 요인" 담화・인지언어학회 6 (6): 23-59, 1999
10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3~4" 교보출판 2010
11 장수희, "일상 대화에 나타난 청자 반응 연구" 한남대 대학원 2004
12 강현주, "인터뷰 면접자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활성화' 발화 연구" 이중언어학회 (47) : 1-22, 2011
13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3~4"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1
14 전영옥, "의사소통의 기법" 박이정 2005
15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3~4"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16 김정숙, "숙달로 배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리 및 모형" 이중언어학회 (15) : 103-118, 1998
17 김은호, "비선호 응답으로서의 코드스위칭 - 한국어 수업의 토론 상황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37) : 73-104, 2015
18 박용익, "대화분석론. 재개정 3판" 백산서당 2010
19 송경숙, "담화 화용론" 한국문화사 2003
20 김중섭 외,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21 장경희, "국어의 대화 구조" 한국언어문화학회 16 : 211-236, 2009
22 소미영, "‘관계 지향적 듣기’와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화법학회 (20) : 141-170, 2012
23 Brown, P.,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4 Halliday, M. A. 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Routledge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