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경화, "효율적인 토론 수업의 설계: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49-169, 2009
2 이창덕, "화법교육론" 역락 2010
3 이정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토론 수업 방안-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토론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8) : 315-348, 2010
4 고영준, "한국어 토론 교재 개발 방안 연구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정보연구원 33 : 213-243, 2014
5 이선영, "한국어 발표 수행을 위한 담화능력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6 지현숙, "한국어 구어 교육에서의 토론 수업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3 : 201-225, 2008
7 안정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습 기술 향상 방안 연구 : 학습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지용, "학문 목적 한국어 토론 교육 방안: 논증 범주를 중심으로" 한국어정보학회 14 (14): 89-114, 2012
9 이동은, "학구적 목적의 한국어 토론 수업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0-260, 2003
10 Brinker, K,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역락 2004
1 안경화, "효율적인 토론 수업의 설계: 내용과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5 (5): 149-169, 2009
2 이창덕, "화법교육론" 역락 2010
3 이정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토론 수업 방안-모국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자 토론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국제어문학회 (48) : 315-348, 2010
4 고영준, "한국어 토론 교재 개발 방안 연구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정보연구원 33 : 213-243, 2014
5 이선영, "한국어 발표 수행을 위한 담화능력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6 지현숙, "한국어 구어 교육에서의 토론 수업 연구"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3 : 201-225, 2008
7 안정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학습 기술 향상 방안 연구 : 학습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이지용, "학문 목적 한국어 토론 교육 방안: 논증 범주를 중심으로" 한국어정보학회 14 (14): 89-114, 2012
9 이동은, "학구적 목적의 한국어 토론 수업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4 (14): 10-260, 2003
10 Brinker, K,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역락 2004
11 오성록, "주제의 친숙도와 독해전략을 통한 영어독해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3 (53): 279-305, 2009
12 조윤경, "입력강화 주제 친숙도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이 목표문법학습 및 지문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8 (18): 129-159, 2013
13 이지용,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의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앙어문학회 50 : 91-120, 2012
14 지슬기, "문항 유형과 지문 친숙도가 영어 읽기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1 (21): 215-239, 2014
15 Renkema, J,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1997
16 이미혜,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토론 수업 방안" 이중언어학회 (30) : 311-340, 2006
17 김윤정, "The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ability on L2 lexical inferencing" 한국응용언어학회 26 (26): 313-338, 2010
18 Leeser, M. J., "The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mode, and pausing on second language learners’ comprehension focus on form" 26 (26): 587-615, 2004
19 Schumidt-Rinehart, B., "The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on second language listening comprehension" 1994
20 Pulido, D. C., "The Effects of Topic Familiarity and Passage Sight Vocabulary on L2 Lexical Inferencing and Retention through Reading" 28 (28): 66-86, 2007
21 Overstreet, M., "Text enhancement and content familiarity: The focus of learner attention" 2 : 229-258, 1998
22 Peretz, S, "Testing reading comprehension in LSP; Does topic familiarity in Second language incidental vocabulary acquisition through reading" 7 (7): 447-455, 1990
23 Leeser, M. J., "Learner-based factors in L2 reading comprehension and processing grammatical form: Topic familiarity and working memory" 57 (57): 229-270, 2007
24 Anderson, R. C.,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Longman 1984
25 Johnson, P.,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of building background knowledge" 16 (16): 503-516, 1982
26 Lee, S. K., "Effect of textual enhancement and Topic Familiarity on Korean EF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learning of passive form" 57 (57): 87-118, 2007
27 Thornbury, S., "Beyond the sentence : Introducing Discourse Analysis" Macmillan Education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