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소비 자의 K-POP 그룹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 분석: 소비자-브랜드 관계 관점의 정성적 연구 = Do Chinese consumers have Loyalty with the K-POP group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frame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15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중국에서의 K-POP 유행이 문화상품의 수출을 넘어 소비재 수출을 증가시키는 신한류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중국에서의 K-POP 유행이 문화상품의 수출을 넘어 소비재 수출을 증가시키는 신한류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류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를 망설이고 있는데, 이는 K-POP이 주도하는 신한류가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POP 그룹에 열광하는 중국 젊은이들이 가진 브랜드 충성도의 본질은 무엇이며 충성도의 지속성을 강화할 수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Fournier(1998)의 "소비자-브랜드 관계" 이론을 적용한 정성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수행하였다. 8명의 20대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인터뷰(phenomenological interviewing)를 실시하여 K-POP 그룹에 대한 그들의 다양한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유형을 탐색하였으며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관계의 질적 차원(Brand Relationship Quality)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에 대한 사용빈도를 기준으로 충성도를 판단하는 전통적 관점에서는 동일하게 충성고객으로 분류되는 조사 대상자들이 K-POP 그룹과 맺고 있는 관계의 유형 및질적 차원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정 K-POP 그룹음악의 청취빈도로 판단되는 외면적 충성도(apparent loyalty)와 그들이 맺고 있는 특정 K-POP 그룹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파악된 본질적 충성도(underlying loyalty)의 상관관계가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대상자 개별 사례분석 및 교차 사례분석결과를 바탕으로 K-POP 그룹에 대한 충성도의 지속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적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pop music (i.e., K-POP) has been popular in China since late 2000`s, and now takes the lead in the spread of Korean culture throughout the China. Many companies believe that Korean wave (or Hallyu) by K-POP has contributed to their business, bu...

      Korean pop music (i.e., K-POP) has been popular in China since late 2000`s, and now takes the lead in the spread of Korean culture throughout the China. Many companies believe that Korean wave (or Hallyu) by K-POP has contributed to their business, but they still have a doubt about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wave. It results in hesitating to invest actively into a variety of businesses related to Korean wave in Chin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much Chinese young people are loyal to K-POP groups and uncover how to reinforce their loyalt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ory by Fournier(1998), this research conducted phenomenological in-depth interviews among eight Chinese young peoples who have preferences for K-POP groups. Previous studies on brand loyalty have mainly classified customers into "Loyal" or "Nonloyal" according to their usage(or purchase) rates, which causes a problem of overlooking the dynamic aspect of brand loyalty. Accordingly, this research employed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framework to investigate the types of relationships between interviewees and K-POP groups, and also analyze their brand relationship quality (BRQ). Interviewees who identically classified as loyal customer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s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types of brand relationships with K-POP groups in strength and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findings of analyses reveal that apparent loyalty (usage rates) and underlying loyalty (relationship quality) were not highly correlated. Based on the findings, strate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increasing or sustaining Chinese peoples` loyalty to K-POP grou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현, "한류의 재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7 : 73-87, 2007

      2 한충민, "한류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광고 vs. 국가이미지 효과" 한국경영학회 40 (40): 1055-1074, 2011

      3 최문성, "한류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상정보학회 14 (14): 67-86, 2012

      4 고정민,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09

      5 김홍재, "한류 문화상품 100弗 수출땐, 소비재 수출 412弗 증가한다"

      6 양유동,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중국 대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6 (36): 206-217, 2012

      7 박미희, "은유 추출 기법을 활용한 중국인의 한류 인식" 30 : 254-284, 2011

      8 윤성준, "소비재 제품의 제품 추구혜택, 구매체험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화장품 제품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13 (13): 1-26, 2011

      9 김정현,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선행 후행 변인들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33-57, 2008

      10 김재일, "소비자의 구매 및 소비 경험에 대한 연구: 해석학적 연구 방법의 적용" 35 (35): 23-48, 2001

      1 박상현, "한류의 재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7 : 73-87, 2007

      2 한충민, "한류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광고 vs. 국가이미지 효과" 한국경영학회 40 (40): 1055-1074, 2011

      3 최문성, "한류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상정보학회 14 (14): 67-86, 2012

      4 고정민,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009

      5 김홍재, "한류 문화상품 100弗 수출땐, 소비재 수출 412弗 증가한다"

      6 양유동,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패션상품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중국 대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6 (36): 206-217, 2012

      7 박미희, "은유 추출 기법을 활용한 중국인의 한류 인식" 30 : 254-284, 2011

      8 윤성준, "소비재 제품의 제품 추구혜택, 구매체험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화장품 제품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13 (13): 1-26, 2011

      9 김정현,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선행 후행 변인들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0 (10): 33-57, 2008

      10 김재일, "소비자의 구매 및 소비 경험에 대한 연구: 해석학적 연구 방법의 적용" 35 (35): 23-48, 2001

      11 김재일, "소비자와 상표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36 (36): 25-64, 2002

      12 김유경,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의 질적요인(BRQ)에 관한 연구: 제품 및 커뮤니케이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7 (47): 8-219, 2003

      13 최민욱,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적차원에 관한 연구: 브랜드 자산 요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7 (7): 127-168, 2005

      14 박성연,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적차원(BRQ)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20 (20): 57-70, 2002

      15 김재일,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6 (6): 27-58, 2004

      16 박성연,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소비자 만족과 상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1 (21): 24-45, 2003

      17 김유경, "소비자-브랜드 관계(Brand Relationship)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실증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54 : 7-32, 2002

      18 양해림, "문화의 교류와 한류문화(hallyu culture) 그리고 그 미래 - 문화의 자본화와 탈상업주의화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39 (39): 381-406, 2012

      19 Thompson, C., "Speaking of fashion: consumers' uses of fashion dicourses and the appropriation of countervailing cultural meanings" 24 : 15-42, 1997

      20 Sirgy, M. J., "Self-concept in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9 (9): 287-300, 1982

      21 Fournier, S., "Reviving brand loyalty: a reconceptualiz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14 : 451-472, 1997

      22 조혜정, "Reading the "Korean Wave" as a Sign of Global Shift" 유네스코한국위원회 45 (45): 147-182, 2005

      23 Kuehn, A., "Probability models of consumer buying behavior" 28 (28): 27-31, 1964

      24 Belk, R. W., "Possessions and extended self" 15 : 139-169, 1988

      25 Yoon Linda, "Korean Pop, with Online Help Goes Global" Time 2010

      26 Jim D., "Korea as the Wave of a Future: The Emerging Dream Society of Icons and Aesthetic Experience" 9 (9): 31-44, 2004

      27 Shim Doobo,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Asia" 28 (28): 25-44, 2006

      28 Aaker, J. L.,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34 (34): 347-356, 1997

      29 Dick, A. S.,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22 : 99-113, 1994

      30 Fournier, S., "Consumers and Their Brands: Developing Relationship Theory in Consumer Research" 24 : 343-373, 1998

      31 Ji, M. 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brands: ‘True Love’ or ‘One-night’ stand?" 19 (19): 369-387, 2002

      32 Jacoby, J., "Brand loyal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1978

      33 Blackstone, M.,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Advertising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113-124, 1993

      34 Lee, Keehyeung, "Assessing and situating the Korean Wave (Hallyu) through a cultural studies lens" 9 : 5-22, 2005

      35 Fournier, S., "A consumer-brand relationship framework for strategic brand management" University of Florida 1994

      36 이영경, "4년 내 종식 예고. 한류, 어디까지 갔을까? 60%, 4년 이내 한류 열풍 끝날 것, 11%, 이미 한류는 끝났다" 21 :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고객만족경영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3 2.04 2.19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