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강화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환경교육 내용 분석틀 개발을 중심으로 =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Content Analysis of Environment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49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차기 국가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강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 교육과정에서 그 현황을 일차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내용 및 반영 수준...

      차기 국가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 강화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 교육과정에서 그 현황을 일차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내용 및 반영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여, 차기 국가교육과정에 환경교육 내용의 포함, 정량적, 정성적 개선 및 강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환경교육은 지속가능성을 포함하거나 지향하는 광의의 환경교육 또는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전제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대만, 호주, 핀란드 등 외국의 교육과정내 환경교육, 국내 교육과정 내 환경교육 내용 분석 관련 연구와 OECD Learning Framework(OECD, 2018), Sustainability Framework of Australia(DEWHA, 2010), Environmental Literacy Framework by NAAEE(Hollweg et al., 2011) 등과 우리나라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환경과 교육과정 등의 교육에서의 프레임워크를 탐색하여 환경교육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 분석틀에는 환경지식, 환경가치·태도, 환경역량, 환경실천과 참여의 네 가지 범주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범주는 서로 분리되어 고립적으로 존재하기보다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환경실천과 참여를 강조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과정을 하위 요소로 제시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 환경교육 분석틀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면, 학교 현장에서 어떠한 형태의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는 추후 보완되어야 할 내용과 방식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상준, "환경교육론" 대학사 1995

      2 황세영, "학술지“환경교육”논문 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224-241, 2012

      3 최석진, "학교 환경교육 내용 체계화" 한국환경교육학회․환경부 1999

      4 강운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측면에서 2007 개정 중학교 「환경」 교과서의 내용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339-354, 2010

      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교사 지침서"

      6 주수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79-93, 2016

      7 교육부, "중학교 선택 교과 교육과정"

      8 최성연,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 내용과 관련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1 (31): 115-136, 2019

      9 오윤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89-104, 2012

      10 서우석,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 분석" 12 : 164-182, 2000

      1 남상준, "환경교육론" 대학사 1995

      2 황세영, "학술지“환경교육”논문 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224-241, 2012

      3 최석진, "학교 환경교육 내용 체계화" 한국환경교육학회․환경부 1999

      4 강운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측면에서 2007 개정 중학교 「환경」 교과서의 내용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8 (18): 339-354, 2010

      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교사 지침서"

      6 주수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8 (28): 79-93, 2016

      7 교육부, "중학교 선택 교과 교육과정"

      8 최성연,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주생활’ 단원 내용과 관련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1 (31): 115-136, 2019

      9 오윤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한국환경교육학회 25 (25): 89-104, 2012

      10 서우석,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 분석" 12 : 164-182, 2000

      11 최영분,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과서의 환경 관련 내용 분석" 한국환경교육학회 15 (15): 115-124, 2002

      12 유선희, "유치원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33-254, 2010

      13 김태현, "생태학적 관점에 입각한 환경교육과정 개발연구 : 사회․윤리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분석" 12 (12): 245-263, 1999

      14 이재열, "사회통계 프레임워크 작성 : 총괄체계" 통계개발원 2014

      15 정은영, "국가 환경교육 표준 지침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환경부 2007

      16 최석진, "국가 수준 환경교육 기준 개발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환경부 2014

      17 한준, "교육․훈련 통계 프레임워크 작성 및 국가 주요 지표체계 진단연구" 통계개발원 2017

      18 교육부, "고등학교 교양 교과 교육과정"

      19 오영재,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분석- ‘지역개발과 환경보전’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교육학회 27 (27): 217-238, 2014

      20 Palmer, J., "The Handbook of Environmental Education" Routledge 1994

      21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22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UNESCO

      23 DEWHA, "Sustainability Curriculum Framework:A Guide for Curriculum Developers and Policy Makers"

      24 UNESCO Regional Office in Asia and Oceania, "Learning to Change: Report of a Regional Training Workshop on Systems Approach for Education- Teacher In-Service Programme (SAFE-TIP)"

      25 UNESC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Learning Objectives" UNESCO 2017

      26 Hollweg, K. S.,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ing Environmental Literacy"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011

      27 최석진, "2015년 개정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의 환경교육 강화 방안" 한국환경교육협회․환경부 2015

      28 모주순,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단원 내용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8 (18): 22-40,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5-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8-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4-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환경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2 0.94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