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의례(儀禮)>를 통하여 선진유가의 상복예제, 즉 오복복식(五服服飾)과 상기(喪期), 및 그 인문적 의의를 논하였다. 고대의 상례는 주로 상(喪), 장(葬), 제(祭) 세 부분을 그 대표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28902
공병석 (계명대학교)
2014
Korean
선진 ; 유가 ; 의례 ; 상례 ; 오복 ; 상복예제 ; pre-Qin Dynasty ; Confucianist ; Eulye (儀禮) ; mourning ; five funeral garments
KCI등재
학술저널
349-389(4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의례(儀禮)>를 통하여 선진유가의 상복예제, 즉 오복복식(五服服飾)과 상기(喪期), 및 그 인문적 의의를 논하였다. 고대의 상례는 주로 상(喪), 장(葬), 제(祭) 세 부분을 그 대표적...
본고는 <의례(儀禮)>를 통하여 선진유가의 상복예제, 즉 오복복식(五服服飾)과 상기(喪期), 및 그 인문적 의의를 논하였다. 고대의 상례는 주로 상(喪), 장(葬), 제(祭) 세 부분을 그 대표적인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상」은 살아있는 자가 상기 동안의 행위규범을 규정하는 것, 즉 상복제도를 말 한다. 이것은 상례의 핵심내용이다. 「장」은 망자가 받을 대우를 규정하는 것으로서 대체로 장식(葬式)제도와 묘식(墓式)제도로 나눌 수 있다. 「제」는 상기 동안에 살아있는 자와 망자를 연계해주는 매개의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동안의 제사(상기가 끝난 후의 제사는 오례(五禮) 중 길례(吉禮) 범주에 속하므로 여기서는 상제(喪祭)를 말한다.)를 말 한다. 이 세 부분 중 특히 「상」은 상례의 핵심내용이다. 상복(喪服)이란 망자를 애도하기 위해 입는 특별한 의복과 관 등의 복식을 말한다. 즉 상복제도는 살아있는 자와 망자의 친소(親疎)와 원근(遠近)의 혈연관계에 따라 제정된 일련의 엄격한 상장등급제도로서 친족관계를 대체로 다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러므로 상복제도 역시 다섯 등급으로 나누는데 이를 「오복(五服)」이라 칭한다. 이것은 중국고대 신분등급제도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선진유가 상례의 중요한 구성성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진유가의 <의례>를 통해 상복의 다섯 가지 등급예제를 분별하여 논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discusses the manners and systems of funeral garments in the pre-Qin Dynasty, more specifically, five types of funeral garments, period of mourning, and humanistic significance. The funeral rites of ancient times mainly consisted of mou...
This research discusses the manners and systems of funeral garments in the pre-Qin Dynasty, more specifically, five types of funeral garments, period of mourning, and humanistic significance. The funeral rites of ancient times mainly consisted of mourning(상喪), burial(장葬), and the memorial ceremony( 제祭). Generally, mourning indicates the system of funeral garments, which regulates people’s behavioral norms during the mourning period. This is the purpose of funeral manners. The burial describes the way the deceased are treated, and includes the burial and decoration of tombs. Memorial ceremonies regulate the association of living persons with the deceased during the funeral period. Referred to here are memorial ceremonies during the mourning period, as post-mourning ceremonies belong to the category of fortunate ceremonies. Mourning especially is the key aspect of these three aspects. Funeral garments refer to various types of clothing that should be worn when mourning the dead. They comprise a series of clothing in a strict ranking system based on the blood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and living.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thus, they are referred to as five funeral garments (오복五服). We may consider them the miniature version of the ancient Chinese social status system, and they are significant parts of funeral rites in the pre-Qin Dynasty. Therefore, in this paper, five manners and systems of funeral garments specified in “Eulye (儀禮)" are discussed in detai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集解" 中華書局 1998
2 "禮記" 藝文印書館 1985
3 周何, "禮學槪說" 三民書局 73-109, 1998
4 "論語" 藝文印書館 1985
5 김동천, "중국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 동과서 30-102, 2007
6 "白虎通疏證" 中華書局 1997
7 "左傳" 藝文印書館 1985
8 林素英, "喪服制度的文化意義" 文津出版社 66-265, 2000
9 "周禮" 藝文印書館 1985
10 周何, "古禮今談" 萬卷樓 123-190, 1992
1 "禮記集解" 中華書局 1998
2 "禮記" 藝文印書館 1985
3 周何, "禮學槪說" 三民書局 73-109, 1998
4 "論語" 藝文印書館 1985
5 김동천, "중국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 동과서 30-102, 2007
6 "白虎通疏證" 中華書局 1997
7 "左傳" 藝文印書館 1985
8 林素英, "喪服制度的文化意義" 文津出版社 66-265, 2000
9 "周禮" 藝文印書館 1985
10 周何, "古禮今談" 萬卷樓 123-190, 1992
11 晁福林, "先秦民俗史" 上海人民出版社 22-41, 2001
12 章景明, "先秦喪服制度考" 中華書局 49-294, 1986
13 "儀禮鄭注句讀" 學海出版社 1997
14 "儀禮通論"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8
15 "儀禮正義" 江蘇古籍出版社 1993
16 "儀禮" 藝文印書館 1985
17 徐吉軍, "中國喪葬史" 江西高校出版社 168-192, 1998
18 丁凌華, "中國喪服制度史" 上海人民出版社 9-160, 2000
19 康韻梅, "中國古代死亡觀之硏究" 198-216, 1994
『마쿠라노 소시(枕草子)』에 나타난 별(星)에 대한 신론(新論) - 「별은(hosiwa: 星は)」을 중심으로 -
『헤이케 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서의 와카(和歌)의 역할과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5-05-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東아시아古代學 -> 동아시아고대학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9 | 0.686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