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 안전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content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5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내용과 적합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방법을 알아보고 유아교사가 담당하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21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50명이다. 분석기준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하거나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안전교육 내용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는 '대인관계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미디어 안전'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안전교육 방법의 적합성을 살펴본 결과, 활동유형은 '바깥놀이 활동'과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가장 적합하게, '음률영역'은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역할은 '모범 보이기'를 가장 적합하게, '촉진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법은 '시뮬레이션'을 가장 적합하게, '토의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내용과 적합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방법을 알아보고 유아교사가 담당하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내용과 적합하게 인식하는 안전교육 방법을 알아보고 유아교사가 담당하는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21개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50명이다. 분석기준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제작하거나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안전교육 내용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는 '대인관계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미디어 안전'을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유아 안전교육 방법의 적합성을 살펴본 결과, 활동유형은 '바깥놀이 활동'과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가장 적합하게, '음률영역'은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의 역할은 '모범 보이기'를 가장 적합하게, '촉진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법은 '시뮬레이션'을 가장 적합하게, '토의하기'는 상대적으로 덜 적합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in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appropriateness of related instructional methods with regard to the ages of children they teach. It also looks into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related to such variables as the types of institution the teachers work for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in their charge. Subjects were 350 teachers at 21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Jeollabuk-do and Chungcheongnam-do. Using related bibliographies and previous studies as reference materials, the researchers prepared new analysis tools and revised existing ones for us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content, the teachers perceived "safety in 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most important, and "media safety" as the least important. Second, as fo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the teachers perceived "outdoor play activities" and "connections between homes and local communities" as the most appropriate, while recognizing the "area of melody" as the least appropriate. Regarding the teacher's role, the teachers perceived "model demonstration" as the most appropriate, and "promotion" as the least appropriate.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methods, the teachers recognized "simulation" as the most appropriate, and "discussion" as the least appropriate. The study provides significant basic data necessary for preparing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in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appropriateness of related instructional methods with regard to the ages of children they teach. It also ...

      This study examine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content in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appropriateness of related instructional methods with regard to the ages of children they teach. It also looks into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s related to such variables as the types of institution the teachers work for and the ages of the children in their charge. Subjects were 350 teachers at 21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Jeollabuk-do and Chungcheongnam-do. Using related bibliographies and previous studies as reference materials, the researchers prepared new analysis tools and revised existing ones for us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safety education content, the teachers perceived "safety in 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most important, and "media safety" as the least important. Second, as for safety education activities, the teachers perceived "outdoor play activities" and "connections between homes and local communities" as the most appropriate, while recognizing the "area of melody" as the least appropriate. Regarding the teacher's role, the teachers perceived "model demonstration" as the most appropriate, and "promotion" as the least appropriate.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methods, the teachers recognized "simulation" as the most appropriate, and "discussion" as the least appropriate. The study provides significant basic data necessary for preparing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광석, "학교 안전사고 실태분석 및 그 대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2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여성가족부 2007

      3 중앙보육정보센터, "평가인증조력프로그램: 영역 6(안전)" 중앙보육정보센터 2006

      4 유선희, "통합적 교육활동을 통한 교통한전교육이 유아의 교통안전 지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2 (42): 149-160, 2004

      5 교육인적자원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6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환경 구비 실태 및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51-173, 2004

      7 고미경, "유치원의 설립유형 및 지역에 따른 안전실태" 7 : 87-108, 2006

      8 김경옥, "유치원·초등학교 교통안전 교육 실태 비교 분석" 6 (6): 61-76, 2000

      9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6: 건강과 안전" (주)두산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주)두산 2008

      1 한광석, "학교 안전사고 실태분석 및 그 대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1987

      2 여성가족부, "표준보육과정" 여성가족부 2007

      3 중앙보육정보센터, "평가인증조력프로그램: 영역 6(안전)" 중앙보육정보센터 2006

      4 유선희, "통합적 교육활동을 통한 교통한전교육이 유아의 교통안전 지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2 (42): 149-160, 2004

      5 교육인적자원부, "제 6차 유치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6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놀이환경 구비 실태 및 실외놀이시설 안전점검 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151-173, 2004

      7 고미경, "유치원의 설립유형 및 지역에 따른 안전실태" 7 : 87-108, 2006

      8 김경옥, "유치원·초등학교 교통안전 교육 실태 비교 분석" 6 (6): 61-76, 2000

      9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지도서 6: 건강과 안전" (주)두산 2009

      10 교육과학기술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Ⅰ): 총론" (주)두산 2008

      11 조명선, "유치원 교사의 교통안전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00

      12 곽은복, "유아의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14 : 107-122, 1999

      13 곽은복, "유아의 안전능력 향상을 위한 사고예방 교육프로그램의 모형 설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8 (8): 63-79, 2004

      14 윤진주, "유아의 문식성 발달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 태도와 교실내 문식성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4 (44): 129-151, 2006

      15 이종경,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16 이자형, "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13 (13): 31-46, 2001

      17 교육인적자원부, "유아를 위한 안전 교육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3

      18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1996

      19 장영희,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 17 (17): 23-44, 1997

      20 이순자, "유아교육기관의 안전 환경에 관한 실태 연구: 대구광역시 중심으로" 19 : 55-70, 2006

      21 이희선,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 시설 설비 실태와 안전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5 (45): 97-111, 2007

      22 윤선화, "유아교사의 화재안전 실천에 관한 연구" 15 (15): 99-113, 2002

      23 정미라, "유아교사의 안전지식의 정도에 대한 연구" 19 (19): 189-205, 1997

      24 이영환, "유아교사의 안전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실태" 7 (7): 59-71, 2004

      25 한국산업안전공단, "유아교사용 안전교육 지도서" 한국산업안전공단 1996

      26 이은경, "유아교사들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사고예방실천과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5-22, 2006

      27 곽은복, "유아 안전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28 박수자, "유아 교통안전교육이 교통안전지식 및 교통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9 김영실, "유아 교통안전 교육에서 토의 중심과 시범 중심 교수법이 유아의 교통안전 지식 및 실천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97-419, 2009

      30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유아 교통 안전 지도서"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한국산업안전공단 2003

      31 진명희, "유아 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태도측정 및 관련변인 탐색" 21 (21): 51-68, 2001

      32 채영란, "유아 교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과 교실환경 안전실태와의 관계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397-412, 2009

      33 강희숙, "우발사고 요인 및 행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3

      34 소방방재청, "우리는 안전 어린이" 소방방재청 2003

      35 박성옥,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 창지사 2003

      36 이기숙,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과 응급처치" 양서원 2004

      37 이순형, "영유아 교수법" 학지사 2007

      38 이현옥, "영유아 교수방법" 공동체 2007

      39 이한용, "아동의 안전에 관한 인식과 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8 (18): 59-75, 2001

      40 김일옥, "아동안전관리" 양서원 2006

      41 곽은복, "아동안전관리" 학지사 2006

      42 문혁준, "아동안전관리" 창지사 2009

      43 이화영, "실외놀이시설 놀이안전규칙에 대한 유아의 인식 및 행동"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47): 133-150, 2006

      44 신현정, "생활 안전에 대한 유아의 지식, 행동, 위험요소예측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273-293, 2007

      45 양진희, "상황중심 안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학회 26 (26): 367-383, 2005

      46 보건복지가족부, "보육프로그램 총론"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47 이세나,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역할수행능력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25-54, 2006

      48 이인숙, "동화 짓기 활동을 통한 유아안전교육이 유아들의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89-110, 2006

      49 임승지, "교통안전 교육 전·후의 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50 송남기, "교통사고 운전자와 부모의 지각을 통한 어린이 교통태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4

      51 "교육법 제146조"

      52 유광찬, "교육방법 신강" 교육과학사 1997

      53 이성호, "교수방법론" 학지사 1999

      54 박성익, "교수·학습 방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7

      55 곽은복, "교사를 위한 아동안전교육" 창지사 2008

      56 차경순, "공립유치원 교사의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실천"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163-178, 2006

      57 조부경, "공립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 한국아동학회 27 (27): 81-96, 2006

      58 한영숙, "경험중심 안전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안전지식 및 안전문제해결사고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47-79, 2006

      59 Bredekamps, S., "Reaching potentials through appropriate curriculum: Conceptual frameworks for applying guidelines. in: Reaching potentials: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NAEYC 1992

      60 Scott, R. J., "Preventing injury: A safety curriculum for preschool-kindergarten" Alabama University 1992

      61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OECD 회원국 교통사고 비교"

      62 Pickle, B., "Increasing safety awareness of preschoolers through a safety education program" Nova University 1989

      63 D'Agostino, C. T., "Healthy Start: A New comprehensive preschool health education program" 30 (30): 9-12, 1999

      64 Coppen, N. M., "Cognitive characteristics as predictor of children's understanding of safety and prevention" 11 : 189-202, 1986

      65 Clark, E. A., "Can preschool children learn safety skill?: Evaluation of the sage at home curriculum" 1986

      66 교육과학기술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주)두산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