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7세기 후반 월성 외곽의 공간적 재편과 그 의미 - 월지 주변과 발천 유적을 중심으로 = Spatial rearrangement of the exterior of Wolseong Fortress in late 7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 With a focus on the sites surrounding Wolji Pond and the Balcheon Strea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Wolji Pond was built in 674 (the 1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mu of Silla). However, traces indicating the existence of the pond before the late seventh century were identified during the excavation. Samguk sagi (1146...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Wolji Pond was built in 674 (the 1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mu of Silla). However, traces indicating the existence of the pond before the late seventh century were identified during the excavation. Samguk sagi (1146,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ingdoms) states that a dragon appeared in the pond to the east of Wolseong Fortress in the mid-third century, which suggests that a pond already existed in the area where Wolji Pond is located. In this regard, researchers also pay attention to Dongji Pond, which dates from the eighth century and is mentioned in Samguk yusa (1281,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ere are also stories about the appearance of a dragon at this pond, and it is said that around 50kan* of the inner buildings of the fortress was once flooded when the pond overflowed. As a result of the surveys conducted so far, the only place in or outside Wolseong Fortress that could contain enough water to flood an area the size of 50 kan is Wolji Pond, and the only place where inner buildings of the fortress could have been located is the area close to Wolji Pond; as such,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pond to the east of the fotress where the dragon is said to have appeared, namely, Dongji Pond, and Wolji Pond refer to one and the same thing.
      Now, some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group of buildings to the west of Wolji Pond is associated with a king rather than a crown prince. Furthermore, judging by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s of the group of buildings situated to the west of Wolji Pond and their spatial layout, it seems clear that the three buildings lying along a vertical line were used for official meetings and the king's private purposes. Interestingly, it has been ascertained -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relevant materials - that Wolji Pond was closely associated with a dragon. As the dragon symbolizes a king, and as there are many stories about the appearance of a dragon at Wolji Pond dating from the mid-third century, the areas around the pond are recognized as being associated with a king. This may be why important buildings associated with state affairs, including those used for official meetings, were built near to Wolji Pond in the late seventh century.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dragon was viewed as a water deity. The area outside Wolseong Fortress, including Wolji Pond, mostly consisted of swampland, so much work had to be done to control the water and to form solid ground on which to build. It is thought that in the course of such work, a water deity came to be identified with a king and that the buildings used for official meetings were built near Wolji Pond.
      Recently, the remains of facilities possibly related with sacrificial rites, including the site of an open space under a roof supported with columns outside the original section of a building, which is assumed to date from the late seventh century, as well as stone facilities and a brick drainage were excavated at the historic site at the Balcheon Stream, about 250 meters west of the group of buildings situated to the west of Wolji Pond. This discovery may indicate that the repairs of King Munmu's royal palace in the late seventh century, which are mentioned in Samguk sagi, included the construction of state facilities for sacrificial rites and the renovation of the buildings of the royal palace. The spatial rearrangement of the buildings in the areas close to Wolji Pond and the Balcheon Stream may be interpreted as a planned relocation of the central axis of governance of the kingdom from inside Wolseong Fortress to the area near Wolji Pond. Meanwhile, the area south of Hwangryongsa Temple was developed into a town as a part of the spatial rearrangement of the areas outside Wolseong Fortress in the later seventh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정석, "황룡사지 남쪽광장의 역사적 의미와 역할"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0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황룡사지 1976~1983(도록)" 2016

      3 김숙경, "황룡사 건축과 남쪽광장"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0

      4 윤선태,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도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5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전통목조건축물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6 여호규, "한국의 도성 -都城 造營의 傳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3

      7 이현태, "특집1논문: 신라 '남궁(南宮)'의 성격- '남궁지인(南宮之印)'명 기와의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81) : 139-174, 2011

      8 안계복, "통시적 관점에서 바로본 신라왕경 연못" 문화재청 ․ 경상북도 ․ 경주시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1

      9 이근직, "천년의 왕도, 천년의 기억" 학연문화사 2013

      10 강문식, "종묘와 사직-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책과함께 2011

      1 양정석, "황룡사지 남쪽광장의 역사적 의미와 역할"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0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황룡사지 1976~1983(도록)" 2016

      3 김숙경, "황룡사 건축과 남쪽광장"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0

      4 윤선태,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도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5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전통목조건축물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6 여호규, "한국의 도성 -都城 造營의 傳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03

      7 이현태, "특집1논문: 신라 '남궁(南宮)'의 성격- '남궁지인(南宮之印)'명 기와의 출토지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역사연구회 (81) : 139-174, 2011

      8 안계복, "통시적 관점에서 바로본 신라왕경 연못" 문화재청 ․ 경상북도 ․ 경주시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1

      9 이근직, "천년의 왕도, 천년의 기억" 학연문화사 2013

      10 강문식, "종묘와 사직-조선을 떠받친 두 기둥-" 책과함께 2011

      1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월성 고환경 복원 연구" 2018

      12 하정룡, "용, 그 신화와 문화(한국편)" 민속원 2002

      13 강영경, "용, 그 신화와 문화(한국편)" 민속원 2002

      14 조법종, "용, 그 신화와 문화(한국편)" 민속원 2002

      15 손태진, "연풍향교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忠州大學校 産業科學技術硏究所 7 : 1999

      16 정태열, "역사적 지리정보를 활용한 경관복원에 관한 연구, In 撥川 신라왕경의 옛물길" 문화재청 신라왕경핵심유적복원정비사업추진단 ․ 경주시 ․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 2021

      17 고경희, "안압지" 대원사 1989

      18 최광식, "신라왕경의 사찰과 원지 유적의 역사적 의미 -芬皇寺와 九皇洞 원지 유적을 중심으로-" 문화재청 ․ 경상북도 ․ 경주시 ․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1

      19 이진주, "신라왕경 내 유적의 미지형 개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8

      20 전덕재, "신라 왕경의 역사" 새문사 2009

      21 허의행, "신라 왕경 내 발천과 주변의 고고 지형학적 비교 연구, In 撥川 신라왕경의 옛물길" 문화재청신라왕경핵심유적복원정비사업추진단 ․ 경주시 ․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 2021

      22 이동주, "신라 동궁의 구조와 범위" 한국고대사학회 (100) : 145-178, 2020

      23 홍보식, "신라 도성의 구조 성격과 백제 도성과의 비교 -신라 도성과 사비도성을 중심으로-, In 백제 도성제와 주변국 도성제의 비교연구" 백제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추진단 ․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3

      24 이현태, "신라 臨海殿과 月池宮의 성격 재론" 한국사학회 (140) : 45-84, 2020

      25 이현태, "신라 月池宮의 성격과 太子宮의 위치" 한국고대사학회 (100) : 179-222, 2020

      26 차순철, "발천 정비와 월성 외곽공간 영역설정" 신라문화연구소 55 : 45-73, 2020

      2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못 속에서 찾은 신라 -45년 전 안압지 발굴조사 이야기-" 2020

      28 이상준, "동궁과 월지 조사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고대사학회 (100) : 27-50, 2020

      2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다양한 시선에서 본 고환경 연구" 2021

      30 김상태, "고대 동아시아 궁궐의 입지와 배치전개에 관한 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45-69, 2014

      31 심현철, "경주분지의 고지형과 대릉원 일원신라고분의 입지" 국립문화재연구소 51 (51): 234-253, 2018

      3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월성과 신라왕경의 고지형" 2019

      33 최병현, "경주 월성과 신라 왕성체제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98) : 48-91, 2016

      3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월성 발굴조사 마스터플랜 수립 보고서" 2015

      35 황상일, "경주 왕경 및 월성지역의 지형발달" 國⽴慶州文化財硏究所 2010

      36 이민형, "경주 동부사적지대 발천 유적 조사성과, In 撥川 신라왕경의 옛물길" 문화재청 신라왕경핵심유적복원정비사업추진단 ․ 경주시 ․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 2021

      37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동부사적지대 발천 수로정비복원사업부지 내 유적 학술자문회의 자료집"

      38 장은혜, "경주 동궁과 월지 ․ 월성 발굴성과와 향후계획" 문화재청 신라왕경사업추진단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6

      3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2020(브로슈어)"

      4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건축조영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복원 세부계획 수립 및 기본설계-" 경주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4

      41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경주 東宮과 月池 서편 건물지 복원고증연구 및 실시설계" 2019

      42 韓炳三, "雁鴨池名稱에 關하여" 韓國美術史學會 153 : 1982

      43 趙由典, "雁鴨池 發掘調査와 復元" 新羅文化宣揚會 2 : 1981

      44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 1978

      45 安啓福, "雁鴨池 景觀造成의 背景原理에 관한 硏究(Ⅰ) -歷史的 사실에 기초한 時代的 背景-" 韓國庭園學會 17 (17): 1999

      46 양정석, "皇⿓寺의 造營과 王權" 서경 2004

      47 崔永禧, "歷史的背景, in 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78

      48 최영성, "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東宮은 太子宮이 아니다 —" 동양고전학회 (55) : 173-192, 2014

      49 朴⽅⿓, "新羅都城" 학연문화사 2013

      50 윤선태, "新羅王宮과 國家寺刹 - 그 분포와 도로 체계를 중심으로 -" 신라문화연구소 57 : 93-119, 2020

      51 尹武炳, "新羅王宮考" 대한민국 학술원 49 (49): 2010

      52 李珍柱, "新羅王京의 微地形에 對應하는 古代土木技術 -유적 내 層과 地盤整地를 중심으로-" 嶺南大學校 大學院 2015

      53 여호규, "新羅 都城의 空間構成과 王京制의 성립과정" 서울학연구소 (18) : 35-79, 2002

      54 鄭在鑂, "新羅 東宮의 苑囿에 對한 考察" 韓國美術史學會 138 ․ 139 : 1978

      55 윤선태,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신라사학회 (46) : 127-154, 2019

      56 高敬姬, "新羅 月池 出土 在銘遺物에 대한 銘文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4

      57 ⾦洛中, "新羅 月城의 性格과 變遷" 27 : 1998

      5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皇南洞 大形建物址 -皇南洞 123-2番地 遺蹟-" 2009

      59 신라문화유산연구원, "慶州 皇⿓寺 廣場과 都市Ⅱ -방 도로와 광장-" 2020

      6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東宮과 月池Ⅰ 발굴조사보고서" 2012

      6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 東宮과 月池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보고서 -A건물지-" 2018

      62 조성윤, "慶州 新羅 雁鴨池 내 中心 建物의 創建時期" 國⽴中央博物館 17 : 2011

      63 國⽴慶州文化財硏究所, "慶州 九⿈洞 皇⿓寺址展⽰館 建⽴敷地內 遺蹟(九⿈洞 苑池 遺蹟)" 2008

      64 國⽴慶州文化財硏究所, "感恩寺 發掘調査報告書" 1997

      65 奈良縣⽴橿原考古學硏究所, "史跡․ 名勝 飛鳥京跡苑池 第13次調査(飛鳥京跡 第182次調査) 現地說明會資料" 2019

      66 姜仁求, "『譯註 三國遺事』 Ⅰ~Ⅳ" 以會文化社 2002

      67 이현태, "1974년 국립경주박물관 부지의 발굴조사와 성과 -도로 유구를 중심으로-" 國⽴中央博物館․ 東垣考古美術硏究所 20 :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0 통합 KCI등재
      2020-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of Research for Silla Culture Dongguk University -> The Research Institute for Silla Culture of Dongguk Universit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9 1.45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