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성분 분석을 활용한 자연가뭄지수 산정 및 평가 =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natural drought index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187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수공시설물을 고려하지 않는 자연상태의 가뭄해석을 위해 자연가뭄지수(NDI)를 산정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자연가뭄지수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위적 수공시설물을 고려하지 않는 자연상태의 가뭄해석을 위해 자연가뭄지수(NDI)를 산정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자연가뭄지수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입력자료는 3개월 누적강수량, 자연유량, 토양수분량 자료이다. 강수량은 ASOS 59개 지점 자료이고, 자연유량 및 토양수분량은 지표수문해석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였다. 가뭄지수의 평가기간은 1977~2012년이며, 활용성 평가를 위해 시계열 분석, 지역별 분석 및 가뭄특성인자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계열 분석결과, 자연가뭄지수는 가뭄의 시작과 끝에 대한 평균절대오차는 0.85로 가장 정확하게 나타났다. 과거 가뭄사례와 가뭄특성인자를 분석한 결과, 자연가뭄지수의 지속기간과 발생간격의 평균절대오차는 각각 1.3, 1.0으로 가뭄의 지속기간 및 발생간격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별 분석결과, 자연가뭄지수는 단일변량 가뭄지수의 지역별 가뭄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여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뭄의 시작, 끝, 지속기간, 발생간격에 대한 자연가뭄지수, 표준강수지수, 표준유출지수, 표준토양수분지수의 순위를 분석한 결과 자연가뭄지수가 가장 높은 순위로 산정되었다. 자연가뭄지수는 기존 단일변량 가뭄지수의 상이한 가뭄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며, 가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mputing the Natural Drought Index (NDI) that does not consider man-made drought facilit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used to estimate the NDI. Three monthly moving cumulative runo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computing the Natural Drought Index (NDI) that does not consider man-made drought facilit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used to estimate the NDI. Three monthly moving cumulative runoff, soil moisture and precipitation were selected as input data of the NDI during 1977~2012. Observed precipit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KMA ASOS (Korea Meteorological Association Automatic Synoptic Observation System), while model-driven runoff and soil moisture from Variable Infiltration Capacity Model (VIC Model) were used. Time series analysis, drought characteristic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utilization of NDI and compare with existing SPI, SRI and SSI. The NDI precisely reflected onset and termination of past drought events with mean absolute error of 0.85 in time series analysis. It explained well duration and inter-arrival time with 1.3 and 1.0 respectively in drought characteristic analysis. Also, the NDI reflected regional drought condition well in spatial analysis. The accuracy rank of drought onset, termination, duration and inter-arrival time was calculated by using NDI, SPI, SRI and SSI. The result showed that NDI is more precise than the others. The NDI overcomes the limitation of univariate drought indices and can be useful for drought analysis as representative measure of different types of drought such as meteorological, hydrological and agricultural drough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덕효, "한반도·동아시아 지역의 실시간 가뭄 감시 및 전망 시스템 개발" 한국기상학회 22 (22): 267-277, 2012

      2 손경환,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한 국내 가뭄해석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4 (44): 667-681, 2011

      3 배덕효, "수문기상 정보에 따른 국내 가뭄판단기준 제시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6 (46): 287-299, 2013

      4 김광섭,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4 (44): 639-652, 2011

      5 Shraddhanand Shukla, "Use of a standardized runoff index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drought" Wiley-Blackwell 35 (35): 2008

      6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Three Years and Counting: What's New with the Drought Monitor"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2002

      7 Mckee, T. B.,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17 (17): 1993

      8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urvey Report of drought history"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1995

      9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urvey Report of drought history"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2

      10 권형중, "SWSI를 이용한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 평가" 한국농공학회 48 (48): 37-43, 2006

      1 배덕효, "한반도·동아시아 지역의 실시간 가뭄 감시 및 전망 시스템 개발" 한국기상학회 22 (22): 267-277, 2012

      2 손경환,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한 국내 가뭄해석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4 (44): 667-681, 2011

      3 배덕효, "수문기상 정보에 따른 국내 가뭄판단기준 제시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6 (46): 287-299, 2013

      4 김광섭,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4 (44): 639-652, 2011

      5 Shraddhanand Shukla, "Use of a standardized runoff index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drought" Wiley-Blackwell 35 (35): 2008

      6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Three Years and Counting: What's New with the Drought Monitor"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2002

      7 Mckee, T. B.,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17 (17): 1993

      8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urvey Report of drought history"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1995

      9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urvey Report of drought history"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2

      10 권형중, "SWSI를 이용한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 평가" 한국농공학회 48 (48): 37-43, 2006

      11 Yoo, J.Y., "Regional Characterization Analysis of Drought in Korea using Multivariate Analyses" KWRA 1462-1466, 2009

      12 Hao, Z., "Multivariate standardized drought Index: A parametric multi-index model" 57 : 12-18, 2013

      13 Rajekhar, D., "Multivariate drought index: An information theory based approach for integrated drought assessment" 526 : 164-182, 2015

      14 Palmer, W. C., "Meteorologic drought"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45-58, 1965

      15 Abramowitz, M., "Handbook of Mathematical Functions"

      16 Sheffield, J., "Global trends and variability in soil moisture and drought characteristics, 1950-2000, from observation-driven simulations of the terrestrial hydrologic cycle" 21 (21): 432-458, 2008

      1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Establishment of National Drought Disaster Information System"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18 Sepulcre-Canto, G., "Development of a Combined Drought Indicator to detect agricultural drought in Europe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EGU 12 : 3519-3531, 2012

      1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Development of Hyd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20 Jeon, C. H., "Data Min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 Hannarae Publishing Co 2012

      21 소재민, "Copula 함수 기반의 이변량 결합가뭄지수 산정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47 (47): 171-182, 2014

      22 Yevjevich, V., "A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Colorado State University 1967

      23 Keyantash, J. A., "An aggregate drought index: Assessing drought severity based on fluctuations in the hydrologic cycle and surface water storage." 40 (40): 2004

      24 Barnes, S., "A technique for maximizing details in numerical map analysis" 3 (3): 395-409, 1964

      25 Liang, X., "A simple hydrologically based model of land surface water and energy fluxes for General Circulation Models" AGU 99 : 14415-14428,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