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옹기의 생성이미지에 의한 색채 및 형태 분석 = Analysis of Onggi creation image on color and for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397509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檀國大学校,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31.3 판사항(4)

      • DDC

        738.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163 p. : 삽화(일부천연색),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56-15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고유의 전통적 용기인 옹기의 생성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옹기는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발효식품과 관련되어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와 정서를 반영한 생활용품으로, 우...

      본 연구는 한국 고유의 전통적 용기인 옹기의 생성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옹기는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발효식품과 관련되어 우리나라의 독특한 문화와 정서를 반영한 생활용품으로, 우리나라의 전통 도자기에서 볼 수 있는 미려한 자연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잊혀져가는 우리나라 옹기의 아름다움을 정립하고자, 생활용기라는 기능성과 함께 스스로 지니고 있는 미적형상을 색채, 형태, 패턴이미지의 범주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옹기는 기능적 도자기로 자연의 소박함을 드러내는 저장용기를 의미한다. 하지만 옹기는 결코 저장용기로써만 사용된 게 아니라 우리 선조들의 생활 곳곳에서 그 쓰임을 발휘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옹기는 소성방법, 태토의 굳기, 유약, 굽는 방법과 온도, 크기, 기능, 지역 혹은 시대 등에 따라 그 명칭과 분류가 다르다. 이렇게 옹기에는 그 종류가 다양하듯이 다양한 과학적인 지혜가 함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지역의 일조량과 강우량에 따라 입구의 크기가 다른데, 강우량과 일조량이 적은 북쪽으로 갈수록 입구가 커지는 특징과도 같은 것들이다. 이 외에도 옹기는 다른 도자기와는 달리 흙으로의 환원이 빠르므로 자연친화적이다. 이 처럼 일일이 열거할 수 없는 우리나라 옹기의 우수성은 세계적으로 그 사례를 찾을 수 없으며, 특히 최근 들어 그 우수성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는 물론 해외에서도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옹기의 생성이미지 중에서 색채이미지는 옹기 자체가 지닌 수수하고, 전통적이고, 오래된 색채라는 것이다. 옹기 표면에서 뿜어져 나오는 갈색 또는 흙색은 옹기를 만들 때부터 사용한 흙과 옹기 특유의 유약 같은 재료들이 순차적으로 포함되어야지만 그 고유의 빛을 발할 수 있다. 이처럼 오랜 과정에 의해 표출된 옹기 고유색을 추출하기 위해 연구자는 2007년과 2008년, 각 계절마다 팬톤(사)의 ‘컬러큐’라는 하드웨어를 사용하였다. 각 지역의 옹기의 다른 색상과 계절별 달라지는 일조량의 차이 때문에 추출된 색채의 수치를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수치를 검증된 색채연구소인 'IRI'의 분석 자료에 대입시켰더니 놀랍게도 우리가 지금까지 말로 표현해 왔던 옹기의 색과 분석 자료에 있는 수식어가 동일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초입부분에서 밝힌 옹기가 가진 자연친화적인 성향과 패턴이미지에서 다룬 여러 가지 문양을 통한 이미지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루었다. 특히 옹기에서 품어져 나오는 여러 가지 이미지들은 시각적 요소에서 본다면 먼저 옹기가 가지고 있는 외양의 나선과 그 안에 그려져 있는 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옹기 고유의 나선은 예부터 선조들이 볼록한 형태를 지칭할 때 대신 사용해오던 표현으로, 서양의 고대 그리스문화에서 설명하는 수학공식인 황금분할과 정확히 일치한다. 인류 최초의 과학적 이성시대라 불리는 그리스시대 최고의 수학공식과 옹기 외양의 나선의 일치는 동서양을 막론한, 안정되고 이상적이며 가장 자연스러운 형태를 추구하려는 인간의 근원적 사고방식에서 출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옹기 표면에 새겨진 수화문 패턴은 우리나라 조선시대의 민화와 많은 부분 닮아있다. 이것은 바로 옹기와 민화는 언제나 우리나라 서민들과 함께 생활했다는 증거이며, 관상용이나 단순한 목적에 의한 도구가 아닌 바로 생활 자체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 연구된 옹기의 생성이미지에 관한 여러 가지 분석들은 국내 많은 도자기 작가들의 작품과 연구자의 작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요소이며, 본 논문에서 연구된 옹기에 대한 분석은 통사적 예술구조의 입장에서 연속성을 드러내고, 옹기가 가진 생성이미지의 연구라는 입장에서는 개별성을 드러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structured around the formation image of Onggi, which is a unique traditional storage instrument of Korea. Onggi is used starting from the prehistoric age until now, allowing us to transmit our special taste on fermented food. This li...

      This research is structured around the formation image of Onggi, which is a unique traditional storage instrument of Korea. Onggi is used starting from the prehistoric age until now, allowing us to transmit our special taste on fermented food. This life style instrument reflects Korea’s unique culture, emotion, and also elegant natural beauty often shown in other traditional china.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it’s beautiful formation around color, form, pattern image as well as it’s functions as a life style instrument, and finally redefine the fading beauty of this traditional china.
      Onggi reflects natural simplicity and is functional china that is used as a storage instrument. Even though the main purpose of this unique china is to store food, Onggi was deeply involved in various aspects of our ancestor’s lives. Because of this, Onggi has numerous names and classifications depending on firing method, hardness of soil, glaze, baking method, size, function, region and era. Onggi not only has numerous varieties, but also implies comprehensive scientific wisdom. For example, the mouth size of Onggi differs depending on the sunshine and precipitation of the specific region: in the north area, where there is less sunshine and rain the size of mouth gets bigger. Apart from this customized figure that varies upon environment, it takes minimal time for Onggi to restore backto earth, making this instrument nature friendly. As we saw above, there are unlimited excellences of this special china that are not to be found elsewhere. Various studies regarding the superiority of Onggi is actively taking plac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ll around the world.
      The color image of Onggi formation that is stated in this study is traditional, conventional and unpretentious which is the image that comes from the Onggi itself. The unique brown or soil color of Onggi, can only be created when the soil and special glaze is carefully crafted in a certain order. ‘Color Q’, a hardware developed by Panton, was utilized in order to abstract this peculiar color in each season during 2007 and 2008. Due to the difference of sunshine in each season, the numerical average of abstracted color formulas was calculated. The formula was then sent to IRI, a qualified color research center, and some outstanding results were generated. To our surprise, most of the conventional words that are used to describe the color of Onggi directly matched descriptions from the analytical test result.
      This research not only analyzed the color but also studied deeply on the nature friendly tendency, which was mentioned at the beginning of the thesis, and various abstract designs in pattern images of Onggi. Especially, if you are to look closely into the visual images of Onggi, it can be classified into the exterior spiral design and the image patterns that are drawn within it. The unique spiral design is a method that our ancestors used to express volume and matches exactly with the golden section from ancient Greece. The fact that the traditional spiral design from the East matches with the mathematicalformula of the first idealistic and scientific era of West indicates that disregarding region and time, human beings havea rooted tendency to create stable, idealistic, and natural forms. Also, the SooHwaMoon(a pattern that is drawn by finger before the glaze dries) pattern on Onggi is very similar to folk paintings of Chosun dynasty. This implements that folk paintings and Onggi were always a part of commoner’s lives, and their existence stands for the common life itself rather than simple visual or aesthetic value.
      Various analyses on formation image of Onggi researched throughout this thesis can be easily spotted in masterpieces of Korean china artists and other researcher’s studies. In conclusion, analysis on Onggi suggests that this specialchina contains continuity upon the historical artistic structure and uniqueness upon the formation image of the object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3.연구의 제한점 = 6
      • II. 옹기의 개념 및 분류 = 8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3.연구의 제한점 = 6
      • II. 옹기의 개념 및 분류 = 8
      • 1. 옹기의 개념 = 8
      • 2. 옹기의 유래와 변천 = 10
      • 1) 토기 = 10
      • 2) 질그릇 = 15
      • 3) 푸레그릇과 반오지 = 22
      • 4) 오지그릇 = 23
      • 3. 옹기의 기능적 분류 = 24
      • 1) 저장용 = 24
      • 2) 식탁용과 조리용 = 25
      • 3) 집안용 = 26
      • 4) 운반용 = 27
      • 5) 의식용 = 29
      • 6) 의료용 = 30
      • 7) 악기용 = 31
      • 4. 옹기의 특성 = 32
      • 1) 지역적 특성 = 32
      • 2) 재료적 특성 = 37
      • 3) 용도적 특성 = 38
      • 4) 형태적 특성 = 41
      • 5. 옹기에 함축된 과학적 지혜 = 43
      • 1) 제조의 과학성 = 43
      • 2) 제작 기술의 우수성 = 45
      • 3) 현대 옹기의 발전과 미래 = 48
      • (1) 옹기의 퇴조와 부작용 = 49
      • (2) 전통과 현대의 만남 = 51
      • III. 옹기의 생성이미지 = 54
      • 1. 생성이미지 = 54
      • 1) 생성이미지의 표현 = 54
      • 2) 생성과 자연이미지 = 55
      • (1) 담백한 이미지 = 57
      • (2) 함축적 이미지 = 58
      • 2. 옹기의 수화문 = 59
      • 1) 기하문(幾何文) = 60
      • 2) 상형문(象形文) = 64
      • (1) 비대칭문(非對稱文) = 65
      • (2) 대칭문(對稱文) = 67
      • 3. 옹기의 조형이미지 = 70
      • 1) 선의 이미지 = 71
      • 2) 공간의 이미지 = 73
      • 3) 형태의 이미지 = 74
      • 4) 양감의 이미지 = 75
      • 5) 패턴의 이미지 = 76
      • IV. 옹기의 생성이미지 분석 = 78
      • 1. 색채의 생성이미지 = 80
      • 1) 갈색의 이미지 = 80
      • 2) 옹기 표면의 색채분석 = 81
      • 3) 색채분석에 따른 수식어 도출 = 91
      • 2. 형태의 생성이미지 = 93
      • 1) 황금분할 = 93
      • 2) 황금나선 = 95
      • 3. 패턴의 생성이미지 = 100
      • 1) 구상적 이미지 = 100
      • 2) 추상적 이미지 = 105
      • V. 작품분석 = 108
      • 1. 국내 옹기작가들의 작품분석 = 108
      • 1) 김석환 = 108
      • 2) 박순관 = 110
      • 3) 오향종 = 112
      • 4) 장영필 = 113
      • 5) 조일묵 = 115
      • 6) 조정현 = 116
      • 2. 연구 작품분석 = 118
      • 1) <연구 작품1> = 118
      • 2) <연구 작품2> = 126
      • 3) <연구 작품3> = 134
      • 4) <연구 작품4> = 141
      • 5) <연구 작품5> = 147
      • VI. 결론 = 153
      • 1. 요약 = 153
      • 2. 제언 = 155
      • VII. 참고문헌 = 156
      • 1. 국내문헌 = 156
      • 2. 외국문헌 = 159
      • 3. 영상자료 및 웹사이트 = 159
      • 4. 옹기자료 촬영 장소 = 159
      • (ABSTRACT) = 16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