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용우, "차와 다도", 도서출판삼보애드컴, 2003
2 李慧子, "儒教의 茶禮研究", 한국차학회지.3:61-78, 2005
3 金明培, "韓國의 茶童小考", 한국차학회지.8, 1995
4 崔啓遠, "우리茶의 再照明", 三陽出版社, 1983
5 김기휜, "韓國의 茶民謠調查", 한국차학회지.8:81-94, 1995
6 초의저, "통광역.艸衣茶禪集", 불광출판부, 1996
7 조기정, "『한중차문화연구』", 학연문화사, 2014
8 신미경, "[東茶頌] 이전의 茶書", 한국차학회지.12:15-23, 2003
9 이혜자, "佛教의 茶道思想研究", 한국차학회지.9:43-70, 2000
10 郑英善, "다도철학-개정증보판", 너럭바위, 2010
1 이용우, "차와 다도", 도서출판삼보애드컴, 2003
2 李慧子, "儒教의 茶禮研究", 한국차학회지.3:61-78, 2005
3 金明培, "韓國의 茶童小考", 한국차학회지.8, 1995
4 崔啓遠, "우리茶의 再照明", 三陽出版社, 1983
5 김기휜, "韓國의 茶民謠調查", 한국차학회지.8:81-94, 1995
6 초의저, "통광역.艸衣茶禪集", 불광출판부, 1996
7 조기정, "『한중차문화연구』", 학연문화사, 2014
8 신미경, "[東茶頌] 이전의 茶書", 한국차학회지.12:15-23, 2003
9 이혜자, "佛教의 茶道思想研究", 한국차학회지.9:43-70, 2000
10 郑英善, "다도철학-개정증보판", 너럭바위, 2010
11 李賢淑, "조선시대 차산지 연구", 한국차학회지.8:23-39, 2003
12 정민, ".새로쓰는조선의차문화", 김영사, 2011
13 송재소, 유홍준, "한국의차문화천년.파주", 돌베개, 2009
14 孫炆伶, "韓國의茶禮史的考察.KOREANJ", DIERETARY CULTURE.1:107-110, 1990
15 국토연구원, "공간이론의 사상가들.서울", 한울, 2009
16 조기정, "중국 소수민족의 油茶연구", 중국인문과학.제33집, 2006
17 金明培, "高麗와 宋元茶에 关한 研究", 한국차학회지.4, 1996
18 류건집, "韓國茶文化史(上)(下).서울", 이른아침, 2013
19 정경환, "동다송에나타난다도정신에관한연구", 민족사상, 2013
20 이덕리, 정민, 정민, 이덕리, "동다기(東茶記)의차문화사적자료가치", 문헌과해 석, 2006
21 鄭相九, "韓國茶詩에 表現된 禪思想에 관한 研究", 한국차학회지.8:5-44, 1995
22 정약용, "민족문화추진회편국역다산시문집솔.서울", 김영사, 1996
23 김효온, "한국 차문화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화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08
24 조기정, "우리 떡차와 발효차의 원형을 찾아서.계간<차와 문화>", 겨울호, 2006
25 조기정, "한국 차 문화의 발전과정과 연구현황 고찰.韓國茶文化", 창간호, 2010
26 박동춘, "초의선사의차문화연구.일지사. 손해경.(2009).동다송의새로운연구", 지영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