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귀주성 구안(久安)지역 고차수와 차문화 연구 = Studies on the formation of Ancient Tea Plants and Tea Culture in Jiu’an County, Guizhou Province,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15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uizhou province relies on its uniqu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which facilitate the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abundant ancient tea trees to be the well-known tea province in China. These ancient tea plants combined with the loc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minority, constitute the unique eco-system and national tea culture which are of significant social value and cultural implication. In order to further study the key topic of the remaining ancient tea plants community in Guizhou and the inheritance of tea culture, the present paper takes the case of ancient tea plants in Jiu'an County in central Guizhou, the most ancient and supreme cultivated tea plants of bush medium-lobular species identified in China, as the object. The present paper, different existing scientific researches and biochemical analysis related to Jiu'an ancient tea plants in the academic circle, focuses on the history of Jiu'an ancient tea plants in Southwest China, investigates and analyzes related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ical origin, folk custom, and legend, based on the theories and methods of the application national society, national ecology, conflict theory and space production theory, and discusses the basic inherent features of th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undamental local history course, the dynasty-state tribute system, and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Meanwhile, the present paper also discusses the basic development approach of local tea industrializa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ea industry in Guizhou, under the changes of the new era,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fields, the basic information of tea culture in the history, the position of tea culture in the local culture system,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mechanism. So structurally, the present paper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The first, it's to discuss the source and analyze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 of tea culture in Guizhuo.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China, China has its special tea culture content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fter integrating the tea culture with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cultures; and as China extends its foreign exchange, Chinese tea culture also transmits oversea, greatly influencing Asia, Africa, and America. As the earliest tea region of tea usage, process, and circulation in the world and one of origins of tea culture in China, Guizhou has bee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ncient tea plants industry. Especially Jiu'an County, serving as the major place of production, achieves significant result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ancient tea plants in the region and the development transformation of tea industry.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foundation of inheritance and the analysis on the special eco-environment for growth and tribute system in Ming and Qing Dynastries. Considering some changes to the general features of ecological structure of tea gardens in Guizhou, the local eco-environment features and ecological structure on the earth, Guizhou tea certainly has its inherent quality advantages to gain the long-term national and market recognition. Then, the tribute system in Ming and Qing Dynasties facilitates the inheritance and improvement of local ecological structure and mass culture around the traditional technology system centered on tea.
      The third part talks about the inheritance examples and stresses on the remaining ancient tea plants in Jiu'an region and the inheritance of tea culture. Under the action of the traditional social system in Jiu'an, tea production is on longer a simple social behavior, instead, pertinent to people's economic activities. People manage the tea garden in the fashion of daily farming and take advantage of local eco-system resource to produce teas, reserving the tea fragrance and vitamin to the utmost extent, ensuring the inheritance of tea quality and culture.
      The fourth part focuses on the inheritance pattern and analyzes the inheritance of Jiu'an tea culture and its modern changes. It can be found in the whole history of Jiu'an tea that, as an old ecological resource in the region, tea plants accepts the ecology and cultur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lways effectively manages those ecological resource conductive to the stable operation of the local eco-system.
      The fifth part is to reveal the crisis of inheritance and analyze the problems and historic opportunities to inherit Jiu'an tea culture. The changes of the time challenge to restore the damaged eco-system and lost social culture. However, the local Miao culture in Jiu'an takes advantage of these challenges to integrate the factors of social changes, inherits the good of traditional tea to fuse into the local social system, then extends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tea into daily life, innovates the tea to fit the changeable ecological condition and society.
      The sixth part is to find the inheritance route and analyze that of Jiu'an tea. Given the market development and the actual situation of Jiu'an tea, to combine the market impetus and social mechanism must be thought highly of for the future development, to drive the inheritance of Jiu'an tea culture, develop ec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e construction, set its own product brand, boost the downstream economy, and realize the all-round development led by leading enterprises.
      In sum,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paper which analyzes the history and mass culture, ecological condition in Jiu'an, and the local tea history and historical influence from the angle of a bigger space and longer time more than that of Central Guizhou: The remains of Jiu'an ancient tea plants culture mainly owe to that the tea culture has been blended into local life, though, it faces new challenges as the society changes, its content and base still originate from the locally traditional culture system. It is our direction and target of locally traditional culture protection to realize the situation where the development of local tea industry encourages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es.
      번역하기

      Guizhou province relies on its uniqu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which facilitate the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abundant ancient tea trees to be the well-known tea province in China. These ancient tea plants combined with ...

      Guizhou province relies on its uniqu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which facilitate the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abundant ancient tea trees to be the well-known tea province in China. These ancient tea plants combined with the loc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minority, constitute the unique eco-system and national tea culture which are of significant social value and cultural implication. In order to further study the key topic of the remaining ancient tea plants community in Guizhou and the inheritance of tea culture, the present paper takes the case of ancient tea plants in Jiu'an County in central Guizhou, the most ancient and supreme cultivated tea plants of bush medium-lobular species identified in China, as the object. The present paper, different existing scientific researches and biochemical analysis related to Jiu'an ancient tea plants in the academic circle, focuses on the history of Jiu'an ancient tea plants in Southwest China, investigates and analyzes related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ical origin, folk custom, and legend, based on the theories and methods of the application national society, national ecology, conflict theory and space production theory, and discusses the basic inherent features of the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undamental local history course, the dynasty-state tribute system, and the local history and culture. Meanwhile, the present paper also discusses the basic development approach of local tea industrializa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ea industry in Guizhou, under the changes of the new era,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of current fields, the basic information of tea culture in the history, the position of tea culture in the local culture system,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mechanism. So structurally, the present paper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The first, it's to discuss the source and analyze the evolution and characteristic of tea culture in Guizhuo.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China, China has its special tea culture content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after integrating the tea culture with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cultures; and as China extends its foreign exchange, Chinese tea culture also transmits oversea, greatly influencing Asia, Africa, and America. As the earliest tea region of tea usage, process, and circulation in the world and one of origins of tea culture in China, Guizhou has bee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ncient tea plants industry. Especially Jiu'an County, serving as the major place of production, achieves significant result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ancient tea plants in the region and the development transformation of tea industry.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foundation of inheritance and the analysis on the special eco-environment for growth and tribute system in Ming and Qing Dynastries. Considering some changes to the general features of ecological structure of tea gardens in Guizhou, the local eco-environment features and ecological structure on the earth, Guizhou tea certainly has its inherent quality advantages to gain the long-term national and market recognition. Then, the tribute system in Ming and Qing Dynasties facilitates the inheritance and improvement of local ecological structure and mass culture around the traditional technology system centered on tea.
      The third part talks about the inheritance examples and stresses on the remaining ancient tea plants in Jiu'an region and the inheritance of tea culture. Under the action of the traditional social system in Jiu'an, tea production is on longer a simple social behavior, instead, pertinent to people's economic activities. People manage the tea garden in the fashion of daily farming and take advantage of local eco-system resource to produce teas, reserving the tea fragrance and vitamin to the utmost extent, ensuring the inheritance of tea quality and culture.
      The fourth part focuses on the inheritance pattern and analyzes the inheritance of Jiu'an tea culture and its modern changes. It can be found in the whole history of Jiu'an tea that, as an old ecological resource in the region, tea plants accepts the ecology and cultur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lways effectively manages those ecological resource conductive to the stable operation of the local eco-system.
      The fifth part is to reveal the crisis of inheritance and analyze the problems and historic opportunities to inherit Jiu'an tea culture. The changes of the time challenge to restore the damaged eco-system and lost social culture. However, the local Miao culture in Jiu'an takes advantage of these challenges to integrate the factors of social changes, inherits the good of traditional tea to fuse into the local social system, then extends the recognition and application of tea into daily life, innovates the tea to fit the changeable ecological condition and society.
      The sixth part is to find the inheritance route and analyze that of Jiu'an tea. Given the market development and the actual situation of Jiu'an tea, to combine the market impetus and social mechanism must be thought highly of for the future development, to drive the inheritance of Jiu'an tea culture, develop ec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e construction, set its own product brand, boost the downstream economy, and realize the all-round development led by leading enterprises.
      In sum, the following can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paper which analyzes the history and mass culture, ecological condition in Jiu'an, and the local tea history and historical influence from the angle of a bigger space and longer time more than that of Central Guizhou: The remains of Jiu'an ancient tea plants culture mainly owe to that the tea culture has been blended into local life, though, it faces new challenges as the society changes, its content and base still originate from the locally traditional culture system. It is our direction and target of locally traditional culture protection to realize the situation where the development of local tea industry encourages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intangible cult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에서 차 재배 면적이 가장 큰 지역인 귀주(贵州)는 중국의 주요한 차 생산기지이다. 독특한 지리적 위치와 생태 환경으로 인해 풍부한 고차수(古茶樹) 자원을 육성하고 보호해 왔다. 그간 현지의 생태환경과 소수민족문화와 융합되어 독특한 생태계와 고유의 민족 차문화를 형성하였는데,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 또한 매우 크다.
      귀주 고차수 보존과 차문화의 전승 등과 같은 중요한 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발견된 고차수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재배형 관목 중의 소엽 차나무인 귀주성 중부 지역의 구안향(久安乡) 고차수를 개별적 사례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안 고차수에 관한 학술계의 기존의 과학적 조사와 생화학적 분석과는 달리, 본고에서는 구안 고차수의 역사를 "중국의 서남"이라는 특정 지역에 고정시키고 민족사회학, 민족생태학, 충돌이론과 공간생산이론 등 이론을 바탕으로 구안향 고차수의 생태적 환경, 역사적 기원, 민간 습속 및 전설에 대해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 귀주성 중부 지역의 역사에 입각하여 고대 왕국가 지정한 조공시스템을 착안점으로, 현지의 역사와 문화라는 이중 맥락을 둘러싸고 귀주성 중부 지역 차문화의 내재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시에, 현대의 현장조사를 보조적 수단으로 하여 역사적인 시각으로 차문화의 시대 상황을 살펴보고 차문화가 현지 문화 시스템 중에서 차지하는 위상 및 내재적 특징과 진화 과정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시대 변혁 속에서의 현지 차산업의 전망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귀주 지역 차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주제는 전승의 기원, 고차수가 생장하는 독특한 생태환경과 공차(贡茶)제도, 전승의 전범, 전승 위기 등 내용을 포괄하였다. 우선 전승의 기원을 탐구하고 귀주 차문화의 역사적 변천과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중국 차문화의 발전 역사를 보면 중국의 차문화는 유교, 불교, 도교문화와 서로 융합되어 독특한 중국특유의 차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중국 대외교류 범위가 확대되면서 차문화도 해외로 확산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지역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귀주는 차의 활용, 가공 및 유통 등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차 산지이자 중국 차문화 발전의 발원지 가운데 하나이다. 고차수 산업은 줄곧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는데 귀주 고차수의 주요 생산지인 구안향은 고차수의 보호와 차 산업의 발전 전환 등 면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전승의 토대 연구 측면에서 귀주 고차수가 생장하는 독특한 생태환경과 명,청(明清) 시기의 공차(贡茶)제도에 대해 논구하였다. 귀주 지역 차농장 생태 구조의 기본 특징, 현지의 생태 환경 특징과 지면(地表) 생태 구조의 일부 변화로부터 볼 때 귀주차의 품질이 국가와 시장으로부터 오랫동안 인정을 받고 있는 점은 고유한 우수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명, 청 이래의 토산품진상(土贡)제도는 현지의 생태 구조와 인문 문화 발전의 측면에서 차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기술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개선되게끔 하였다.
      전승의 전범을 고찰하고 구안 지역의 고차수 보존과 차문화 전승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안 현지의 거주민들에 의해 형성된 전통적 사회 시스템의 역할로 인해 차 생산은 이미 단순한 단일적인 사회적 행동이 아니라 주민들의 기본적인 경제 활동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이 지역에서는 일상적인 농업 노동을 통해 차 농장에 대한 관리를 실시하고 현지 생태자원의 강점을 활용하여 차 상품 제조를 완성함으로써 차 본연의 향기와 비타민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다. 이렇게 우수한 품질을 보장함으로써 차 문화가 오래도록 전승될 수 있었던 유기적 시스템을 심층 고찰하였다.
      전승 패턴을 분석하고 구안 차문화의 전승과 현대사회에서의 변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안차의 전반적인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차나무는 현지에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생태자원으로서 생태와 문화의 혼연일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전통적 문화는 현지 문화생태계의 안정적인 보존과 운영을 보장할 수 있는 생태자원 본연에 대해 늘 효과적인 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승의 위기를 분석하고 구안 차문화의 전승 문제와 역사적 기회에 대해 논의하였다. 시대 변화로 인해 구안차의 손상된 생태계와 유실된 사회 문화를 복구하는 과정은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구안 현지의 묘족 문화는 역사적인 기회를 잘 활용하여 사회의 변화를 촉진하는 적극적 요소를 통합하고 전통차문화 중에서 과거의 우수한 요소를 전승하여 이를 현지 사회에 융합시킴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 차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차에 대한 활용을 활성화시켰음을 논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을 통해 오늘날 변화하는 생태 환경과 사회에 적응할 수 있게 되었음을 평가하였다.
      끝으로 전승 경로를 고찰하고 구안차의 전승 경로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장의 발전과 구안차가 가지는 경쟁력의 실제 상황을 대비적으로 고찰하고, 구안차의 향후의 발전은 반드시 시장의 동력과 사회 메커니즘의 연결을 중시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구안 차문화의 전승을 추진하고 생태 환경과 문화 건설을 발전시키며 자신만의 제품 브랜드를 만들고 다운 스트림 경제를 발전시키는 데에 선구적 기업이 전반적인 발전을 이끌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기술 혁신과 디지털 플랫폼 경제 발전의 맥락에서 강조하였다.
      본고는 귀주성 중부 지역을 초월하는 비교적 큰 시공간을 넘나들며 구안향의 역사 인문, 생태적 환경 및 현지 차의 역사 발전 과정과 역사적 영향을 전면적으로 고찰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구안 고차수 문화의 보존은 주로 차문화가 현지인들의 생활 속에 스며든 데에서 비롯되며, 사회의 변화는 차문화의 전승 및 발전에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차문화의 의미와 입각점은 지방 전통 문화 시스템에 있다. 현지의 차산업을 발전시키는 과제를 연계하여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발전을 추진하는 과업은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중요한 목표임과 동시에 새 시대의 길이자 방향이다.
      번역하기

      중국에서 차 재배 면적이 가장 큰 지역인 귀주(贵州)는 중국의 주요한 차 생산기지이다. 독특한 지리적 위치와 생태 환경으로 인해 풍부한 고차수(古茶樹) 자원을 육성하고 보호해 왔다. 그...

      중국에서 차 재배 면적이 가장 큰 지역인 귀주(贵州)는 중국의 주요한 차 생산기지이다. 독특한 지리적 위치와 생태 환경으로 인해 풍부한 고차수(古茶樹) 자원을 육성하고 보호해 왔다. 그간 현지의 생태환경과 소수민족문화와 융합되어 독특한 생태계와 고유의 민족 차문화를 형성하였는데,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문화적 의미 또한 매우 크다.
      귀주 고차수 보존과 차문화의 전승 등과 같은 중요한 과제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발견된 고차수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큰 재배형 관목 중의 소엽 차나무인 귀주성 중부 지역의 구안향(久安乡) 고차수를 개별적 사례로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안 고차수에 관한 학술계의 기존의 과학적 조사와 생화학적 분석과는 달리, 본고에서는 구안 고차수의 역사를 "중국의 서남"이라는 특정 지역에 고정시키고 민족사회학, 민족생태학, 충돌이론과 공간생산이론 등 이론을 바탕으로 구안향 고차수의 생태적 환경, 역사적 기원, 민간 습속 및 전설에 대해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 귀주성 중부 지역의 역사에 입각하여 고대 왕국가 지정한 조공시스템을 착안점으로, 현지의 역사와 문화라는 이중 맥락을 둘러싸고 귀주성 중부 지역 차문화의 내재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동시에, 현대의 현장조사를 보조적 수단으로 하여 역사적인 시각으로 차문화의 시대 상황을 살펴보고 차문화가 현지 문화 시스템 중에서 차지하는 위상 및 내재적 특징과 진화 과정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시대 변혁 속에서의 현지 차산업의 전망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귀주 지역 차산업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고의 주제는 전승의 기원, 고차수가 생장하는 독특한 생태환경과 공차(贡茶)제도, 전승의 전범, 전승 위기 등 내용을 포괄하였다. 우선 전승의 기원을 탐구하고 귀주 차문화의 역사적 변천과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다. 중국 차문화의 발전 역사를 보면 중국의 차문화는 유교, 불교, 도교문화와 서로 융합되어 독특한 중국특유의 차문화를 형성하였으며 중국 대외교류 범위가 확대되면서 차문화도 해외로 확산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지역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귀주는 차의 활용, 가공 및 유통 등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된 차 산지이자 중국 차문화 발전의 발원지 가운데 하나이다. 고차수 산업은 줄곧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는데 귀주 고차수의 주요 생산지인 구안향은 고차수의 보호와 차 산업의 발전 전환 등 면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전승의 토대 연구 측면에서 귀주 고차수가 생장하는 독특한 생태환경과 명,청(明清) 시기의 공차(贡茶)제도에 대해 논구하였다. 귀주 지역 차농장 생태 구조의 기본 특징, 현지의 생태 환경 특징과 지면(地表) 생태 구조의 일부 변화로부터 볼 때 귀주차의 품질이 국가와 시장으로부터 오랫동안 인정을 받고 있는 점은 고유한 우수성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명, 청 이래의 토산품진상(土贡)제도는 현지의 생태 구조와 인문 문화 발전의 측면에서 차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기술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개선되게끔 하였다.
      전승의 전범을 고찰하고 구안 지역의 고차수 보존과 차문화 전승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안 현지의 거주민들에 의해 형성된 전통적 사회 시스템의 역할로 인해 차 생산은 이미 단순한 단일적인 사회적 행동이 아니라 주민들의 기본적인 경제 활동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이 지역에서는 일상적인 농업 노동을 통해 차 농장에 대한 관리를 실시하고 현지 생태자원의 강점을 활용하여 차 상품 제조를 완성함으로써 차 본연의 향기와 비타민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다. 이렇게 우수한 품질을 보장함으로써 차 문화가 오래도록 전승될 수 있었던 유기적 시스템을 심층 고찰하였다.
      전승 패턴을 분석하고 구안 차문화의 전승과 현대사회에서의 변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안차의 전반적인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차나무는 현지에서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생태자원으로서 생태와 문화의 혼연일체라는 점을 밝혔다. 또한 전통적 문화는 현지 문화생태계의 안정적인 보존과 운영을 보장할 수 있는 생태자원 본연에 대해 늘 효과적인 관리를 실행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승의 위기를 분석하고 구안 차문화의 전승 문제와 역사적 기회에 대해 논의하였다. 시대 변화로 인해 구안차의 손상된 생태계와 유실된 사회 문화를 복구하는 과정은 수많은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구안 현지의 묘족 문화는 역사적인 기회를 잘 활용하여 사회의 변화를 촉진하는 적극적 요소를 통합하고 전통차문화 중에서 과거의 우수한 요소를 전승하여 이를 현지 사회에 융합시킴으로써 일상생활 속에서 차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차에 대한 활용을 활성화시켰음을 논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을 통해 오늘날 변화하는 생태 환경과 사회에 적응할 수 있게 되었음을 평가하였다.
      끝으로 전승 경로를 고찰하고 구안차의 전승 경로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장의 발전과 구안차가 가지는 경쟁력의 실제 상황을 대비적으로 고찰하고, 구안차의 향후의 발전은 반드시 시장의 동력과 사회 메커니즘의 연결을 중시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구안 차문화의 전승을 추진하고 생태 환경과 문화 건설을 발전시키며 자신만의 제품 브랜드를 만들고 다운 스트림 경제를 발전시키는 데에 선구적 기업이 전반적인 발전을 이끌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기술 혁신과 디지털 플랫폼 경제 발전의 맥락에서 강조하였다.
      본고는 귀주성 중부 지역을 초월하는 비교적 큰 시공간을 넘나들며 구안향의 역사 인문, 생태적 환경 및 현지 차의 역사 발전 과정과 역사적 영향을 전면적으로 고찰하는 가운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구안 고차수 문화의 보존은 주로 차문화가 현지인들의 생활 속에 스며든 데에서 비롯되며, 사회의 변화는 차문화의 전승 및 발전에 새로운 도전이 되고 있다. 차문화의 의미와 입각점은 지방 전통 문화 시스템에 있다. 현지의 차산업을 발전시키는 과제를 연계하여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발전을 추진하는 과업은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중요한 목표임과 동시에 새 시대의 길이자 방향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韓文摘要
      • 第一章 序論 1
      • 第一節 研究源起及選題意義 1
      • 第二節 研究的相關理論基礎 2
      • 韓文摘要
      • 第一章 序論 1
      • 第一節 研究源起及選題意義 1
      • 第二節 研究的相關理論基礎 2
      • 第三節 相關研究動態與文獻綜述 5
      • 第四節 研究的主要內容與方法 21
      • 第二章 傳承之源:貴州茶文化的歷史演變及概述 23
      • 第一節 中國茶文化的發展及海外傳播歷程 23
      • 第二節 貴州古茶樹的歷史足跡與文化空間 40
      • 第三章 傳承之基:貴州古茶樹獨特的生態環境與明清時期貢茶制度 51
      • 第一節 貴州區域特徵與環境結構 51
      • 第二節 貴州古茶樹群落生態環境與茶林結構 56
      • 第三節 明清時期貴州土司貢茶制度的形成 60
      • 第四章 傳承典範:久安地區古茶樹群落遺存與茶文化傳承 68
      • 第一節 久安地區的基本情況與古茶樹遺存現狀 68
      • 第二節 明清時期久安土司貢茶的文化表徵 73
      • 第三節 傳統驛道中久安茶文化的歷史延續 76
      • 第四節 居民生活中久安茶的历史文化属性 78
      • 第五章 傳承模式:久安茶文化的傳承與時代變遷 82
      • 第一節 當代經濟變革下久安茶的復興 82
      • 第二節 現代久安茶文化的生態價值分析 85
      • 第六章 傳承危機:久安茶文化傳承的問題透視與歷史機遇 89
      • 第一節 當下人文生態環境對久安茶文化內涵的衝擊 92
      • 第二節 現代科技發展對久安茶文化傳承觀念的影響 95
      • 第三節 現代化全球化對久安茶文化傳承提出的挑戰 99
      • 第七章 傳承路徑:聯結市場動力與社會機制推動久安茶文化傳承發展 102
      • 第一節 發展茶產業, 促進久安茶文化與經濟的融合 102
      • 第二節 注重文化生態建設, 增強久安茶文化傳承的動力 103
      • 第三節 以地理標識為依託, 樹立久安茶葉品牌 104
      • 第四節 增加下游加工, 繁榮鄉級經濟 105
      • 第五節 龍頭企業帶動, 合作社助力 105
      • 第八章 總結 106
      • 參考文獻 111
      • ABSTRACT 12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용우, "차와 다도", 도서출판삼보애드컴, 2003

      2 李慧子, "儒教의 茶禮研究", 한국차학회지.3:61-78, 2005

      3 金明培, "韓國의 茶童小考", 한국차학회지.8, 1995

      4 崔啓遠, "우리茶의 再照明", 三陽出版社, 1983

      5 김기휜, "韓國의 茶民謠調查", 한국차학회지.8:81-94, 1995

      6 초의저, "통광역.艸衣茶禪集", 불광출판부, 1996

      7 조기정, "『한중차문화연구』", 학연문화사, 2014

      8 신미경, "[東茶頌] 이전의 茶書", 한국차학회지.12:15-23, 2003

      9 이혜자, "佛教의 茶道思想研究", 한국차학회지.9:43-70, 2000

      10 郑英善, "다도철학-개정증보판", 너럭바위, 2010

      1 이용우, "차와 다도", 도서출판삼보애드컴, 2003

      2 李慧子, "儒教의 茶禮研究", 한국차학회지.3:61-78, 2005

      3 金明培, "韓國의 茶童小考", 한국차학회지.8, 1995

      4 崔啓遠, "우리茶의 再照明", 三陽出版社, 1983

      5 김기휜, "韓國의 茶民謠調查", 한국차학회지.8:81-94, 1995

      6 초의저, "통광역.艸衣茶禪集", 불광출판부, 1996

      7 조기정, "『한중차문화연구』", 학연문화사, 2014

      8 신미경, "[東茶頌] 이전의 茶書", 한국차학회지.12:15-23, 2003

      9 이혜자, "佛教의 茶道思想研究", 한국차학회지.9:43-70, 2000

      10 郑英善, "다도철학-개정증보판", 너럭바위, 2010

      11 李賢淑, "조선시대 차산지 연구", 한국차학회지.8:23-39, 2003

      12 정민, ".새로쓰는조선의차문화", 김영사, 2011

      13 송재소, 유홍준, "한국의차문화천년.파주", 돌베개, 2009

      14 孫炆伶, "韓國의茶禮史的考察.KOREANJ", DIERETARY CULTURE.1:107-110, 1990

      15 국토연구원, "공간이론의 사상가들.서울", 한울, 2009

      16 조기정, "중국 소수민족의 油茶연구", 중국인문과학.제33집, 2006

      17 金明培, "高麗와 宋元茶에 关한 研究", 한국차학회지.4, 1996

      18 류건집, "韓國茶文化史(上)(下).서울", 이른아침, 2013

      19 정경환, "동다송에나타난다도정신에관한연구", 민족사상, 2013

      20 이덕리, 정민, 정민, 이덕리, "동다기(東茶記)의차문화사적자료가치", 문헌과해 석, 2006

      21 鄭相九, "韓國茶詩에 表現된 禪思想에 관한 研究", 한국차학회지.8:5-44, 1995

      22 정약용, "민족문화추진회편국역다산시문집솔.서울", 김영사, 1996

      23 김효온, "한국 차문화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화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08

      24 조기정, "우리 떡차와 발효차의 원형을 찾아서.계간<차와 문화>", 겨울호, 2006

      25 조기정, "한국 차 문화의 발전과정과 연구현황 고찰.韓國茶文化", 창간호, 2010

      26 박동춘, "초의선사의차문화연구.일지사. 손해경.(2009).동다송의새로운연구", 지영사,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