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밀의료 생태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연계 국내 동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72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밀의료 생태계 구축의 핵심 원동력인 개인의 의학적, 유전적, 분자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기관과 다수의 개인에게서 생성된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연계 및 통합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종설은 정밀의료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데이터 수집에 대한 인프라, 정책, 시범 사업, 연구 등의 국내 동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데이터 수집 및 연계에 대한 국내의 동향을 살펴봤을 때, 기술적 인프라, 데이터 활용 · 연계 인프라, 인력적 인프라 등의 보완이 절실하다. 특히 데이터 수집 연계에 대한 정책 및 법률적 기반은 매우 미비한 상태로, 데이터 수집과 연계에 대한 필요성과 현재 법적 제한의 상충된 입장 내에서 여러 가지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데이터 플랫폼 시범서비스에 대해서는 향후 추진 성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국가뿐만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도 정밀의료 및 헬스케어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문 인력 양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할 필요가 있다. 현재로서는 정밀의료 생태계에서 큰 축을 담당하는 환자유래건강데이터(PGHD; patients generated health data)의 수집이 가장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환자 유래건강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전자 의무 기록(EMR; electro medical record)과 연계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정밀의료 생태계 구축의 핵심 원동력인 개인의 의학적, 유전적, 분자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기관과 다수의 개인에게서 생성된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기...

      정밀의료 생태계 구축의 핵심 원동력인 개인의 의학적, 유전적, 분자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데이터는 다양한 기관과 다수의 개인에게서 생성된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연계 및 통합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종설은 정밀의료 생태계 구축을 위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데이터 수집에 대한 인프라, 정책, 시범 사업, 연구 등의 국내 동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데이터 수집 및 연계에 대한 국내의 동향을 살펴봤을 때, 기술적 인프라, 데이터 활용 · 연계 인프라, 인력적 인프라 등의 보완이 절실하다. 특히 데이터 수집 연계에 대한 정책 및 법률적 기반은 매우 미비한 상태로, 데이터 수집과 연계에 대한 필요성과 현재 법적 제한의 상충된 입장 내에서 여러 가지 한계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는 데이터 플랫폼 시범서비스에 대해서는 향후 추진 성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으며, 국가뿐만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도 정밀의료 및 헬스케어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문 인력 양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할 필요가 있다. 현재로서는 정밀의료 생태계에서 큰 축을 담당하는 환자유래건강데이터(PGHD; patients generated health data)의 수집이 가장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환자 유래건강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전자 의무 기록(EMR; electro medical record)과 연계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ta on individual medical, genetic, molecular, and environmental factors is a necessary in a precision medical ecosystem. Since data is generated from various institutions and many individuals, the linkage and integration of data should be a priority for precision medical car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domestic trends such as infrastructure, policy, pilot project, and research on data collection. The technical infrastructure, data utilization and linkage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infrastructure are urgently needed. In particular, the policy and legal foundations for data collection linkages are inadequate and face various limitations. For the data platform pilot service currently in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future progress. A healthcare companie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There is a lack of collection of patient generated health data(PGHD). In the future, patient-derived health data will need to be efficiently collected and linked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번역하기

      Data on individual medical, genetic, molecular, and environmental factors is a necessary in a precision medical ecosystem. Since data is generated from various institutions and many individuals, the linkage and integration of data should be a priority...

      Data on individual medical, genetic, molecular, and environmental factors is a necessary in a precision medical ecosystem. Since data is generated from various institutions and many individuals, the linkage and integration of data should be a priority for precision medical car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domestic trends such as infrastructure, policy, pilot project, and research on data collection. The technical infrastructure, data utilization and linkage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infrastructure are urgently needed. In particular, the policy and legal foundations for data collection linkages are inadequate and face various limitations. For the data platform pilot service currently in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future progress. A healthcare companie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There is a lack of collection of patient generated health data(PGHD). In the future, patient-derived health data will need to be efficiently collected and linked to an electronic medical record(EM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윤희, "헬스케어데이터 교류를 통한스마트헬스케어 생태계 활성화-산업연구원" 거목정보산업인쇄 2017

      2 정일영,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데이터 통합 방안" 46 : 1-38, 2018

      3 이기호,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디지털 정보 격차와 과제" 8 : 16-28, 2019

      4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8년~2022년) 공개 자료" 2018

      5 박대웅, "중국의 의료정보 정책 및 산업 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4-23, 2019

      6 박민우,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23 (23): 31-37, 2016

      7 정대현,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49-155, 2018

      8 한국바이오협회, "유전체 데이터 국제 표준화동향"

      9 정승화,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621-640, 2019

      10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빅데이터플랫폼 홈페이지"

      1 최윤희, "헬스케어데이터 교류를 통한스마트헬스케어 생태계 활성화-산업연구원" 거목정보산업인쇄 2017

      2 정일영, "헬스케어 생태계 구축을 위한데이터 통합 방안" 46 : 1-38, 2018

      3 이기호, "지능정보사회에서의 디지털 정보 격차와 과제" 8 : 16-28, 2019

      4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지능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제6차 국가정보화 기본계획(2018년~2022년) 공개 자료" 2018

      5 박대웅, "중국의 의료정보 정책 및 산업 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4-23, 2019

      6 박민우, "정밀의학 실현을 위한 의료및 유전체 빅데이터 이용 및 연구동향" 23 (23): 31-37, 2016

      7 정대현,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강원도 사망 원인 및 특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49-155, 2018

      8 한국바이오협회, "유전체 데이터 국제 표준화동향"

      9 정승화, "빅데이터 분석가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621-640, 2019

      10 보건복지부, "보건의료빅데이터플랫폼 홈페이지"

      11 박대웅, "보건의료 패러다임 전환기의 규제 쟁점과 시사점–정밀의료・재생의료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0 : 37-62, 2018

      12 강희정,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238 : 55-71, 2016

      13 박미정,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한국의료법학회 26 (26): 163-192, 2018

      14 보건복지부 의료정보정책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시범사업 추진계획 공개 자료"

      15 장성재,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리시스템 최신동향" 생물학연구정보센터 7-, 2017

      16 오미애, "보건복지정책에서의 빅데이터 활용전략과 과제" 8 : 29-40, 2019

      17 이기호, "보건복지 부문 정보통신기술(ICT)정책 추진 현황과 과제" 8 : 42-56, 2017

      18 이다은,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동향과 정책 시사점" 48 : 1-31, 2018

      19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데이터산업 백서. 통권 20권" 서울문화인쇄 2017

      20 김기영,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 법적 책임" 한국의료법학회 25 (25): 49-69, 2017

      21 정일영, "데이터 기반헬스케어 혁신의 부상과 대응전략" 1-204, 2016

      22 4차산업혁명위원회,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홈페이지"

      23 김정민, "당뇨병 극복을 위한정밀의료 적용" 10 (10): 826-829, 2017

      24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현황 및 전망"

      25 박순영,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현황"

      26 산업통상자원부,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기획보고서" 2014

      27 Duffy, D. J., "Problems, challenges and promises : perspectives on precision medicine" 17 (17): 494-504, 2015

      28 Brenner, S. E., "Precision Medicine :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Sharing, Analysis, and Privacy at Scale" 25 : 547-, 2020

      29 IBM, "IBM Health and Social Programs Summit: IBM Commitment & investment in health and social programs"

      30 박민희, "Hadoop기반의 공개의료정보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여성암 검진 요인분석 서비스" 한국정보통신학회 22 (22): 1277-1286, 2018

      31 김석관, "4 차 산업혁명의 기술 동인과 산업 파급 전망" 1-414, 2017

      3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년 BIG DATA 시장현황 조사"

      33 보건복지부, "2015년 의료 -IT 융합산업 육성 인프라 구축 – 1세부"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