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개발과 발전의 재정의와 NGO = Development and re-definition of development and NG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355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빈곤, 발전, 인권, 환경, 성(gender)과 같은 지구적 문제에 관해 커져가는 관심이 NGO의 역할에 관해 주의를 증가시켰다. 1992년의 브라질에서 열린 지구정상회의, 1995년 코펜하겐의 사회정상회의와 같은 지구적 문제에 대한 UN회의를 통해 우리는 NGO의 증대된 역할을 볼 수 있다. 빈곤과 발전문제에서, 다자, 혹은 양자개발원조기관들이 NGO와 함께 일을 하는 데에 관심을 높여왔다. 현재, 양자 공식개발원조(ODA)의 5%이상이 NGO를 통해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후진국에서도 NGO와 정부 간 협력사례가 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구제나 복지에, 그리고 지역차원에서 소규모 개발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있는 NGO는 오늘날 역시 국가적 혹은 지구적 정책에 영향을 줄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그것이 사람들의 조직의 제도적 발전을 도와주고, 그리고 국가적 혹은 국제적 수준에서 網狀조직을 함으로써 서민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들의 영향력을 점증하기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와 조직의 성장의 증가, 2) 정부와 협조활동, 3) 대중운동의 구축, 4) 국가정책에 영향을 주기위해 대중운동의 조직화.
      NGO와 점증하는 GO들은 참여적 개발을 촉진하기위해서는 농촌그룹, 소비자, 여성과 청년조직, 노조, 그리고 독립그룹들의 발전과 그들 간 네트워킹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공유하고 있다. NGO는 GO보다도 시민사회의 발전을 통해서 사람들의 증진된 영향력의 실현에 중점을 둔다.
      요약하면, NGO는 지구적 자유개방시장에 근거한 지구화 대신에 민중세력에 근거한, 상향식 지구화 촉진에 노력하는 일종의 행위자가 되어왔다. NGO와 GO의 관계에서 이 사실은 무엇을 말하는가? 개발도상국의 관점에서는, 많은 국가에서 특별히 사회적 영역에서 NGO의 역할이 늘어나고 있지만, 또한 많은 국가들이 NGO제어에 힘쓰는 경향들이 있다. 그 이유는 NGO가 잠재적으로 개발과정에서 국가의 리더십 능력을 저해하다는 사실이다. 선진국의 측면에서는 비록 원조기관들이 NGO를 통해서 ODA를 계속 제공하고 있지만 그들 역시 개발도상국 정부와 외교적 관계를 고려해야 된다. 기부국가들이 후진국국민의 권리를 보장하면서 참여적 개발과정을 증진시키려는 NGO의 노력을 어느 정도, 지원할 것인가는 문제이다. NGO의 참여적 개발과 민주화의 촉진에 관한 견해와 실질적 행위, 혹은 NGO와 GO 간의 견해 차이는 창조적 긴장의 원천이다. 그런데 참여적 개발과 민주화는 아마도 개발과정과 국가 간 관계에서 후진 국가들의 능력과 힘을 잠식할지도 모른다.
      번역하기

      빈곤, 발전, 인권, 환경, 성(gender)과 같은 지구적 문제에 관해 커져가는 관심이 NGO의 역할에 관해 주의를 증가시켰다. 1992년의 브라질에서 열린 지구정상회의, 1995년 코펜하겐의 사회정상회의...

      빈곤, 발전, 인권, 환경, 성(gender)과 같은 지구적 문제에 관해 커져가는 관심이 NGO의 역할에 관해 주의를 증가시켰다. 1992년의 브라질에서 열린 지구정상회의, 1995년 코펜하겐의 사회정상회의와 같은 지구적 문제에 대한 UN회의를 통해 우리는 NGO의 증대된 역할을 볼 수 있다. 빈곤과 발전문제에서, 다자, 혹은 양자개발원조기관들이 NGO와 함께 일을 하는 데에 관심을 높여왔다. 현재, 양자 공식개발원조(ODA)의 5%이상이 NGO를 통해서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후진국에서도 NGO와 정부 간 협력사례가 늘고 있다.
      전통적으로 구제나 복지에, 그리고 지역차원에서 소규모 개발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있는 NGO는 오늘날 역시 국가적 혹은 지구적 정책에 영향을 줄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그것이 사람들의 조직의 제도적 발전을 도와주고, 그리고 국가적 혹은 국제적 수준에서 網狀조직을 함으로써 서민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들의 영향력을 점증하기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와 조직의 성장의 증가, 2) 정부와 협조활동, 3) 대중운동의 구축, 4) 국가정책에 영향을 주기위해 대중운동의 조직화.
      NGO와 점증하는 GO들은 참여적 개발을 촉진하기위해서는 농촌그룹, 소비자, 여성과 청년조직, 노조, 그리고 독립그룹들의 발전과 그들 간 네트워킹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공유하고 있다. NGO는 GO보다도 시민사회의 발전을 통해서 사람들의 증진된 영향력의 실현에 중점을 둔다.
      요약하면, NGO는 지구적 자유개방시장에 근거한 지구화 대신에 민중세력에 근거한, 상향식 지구화 촉진에 노력하는 일종의 행위자가 되어왔다. NGO와 GO의 관계에서 이 사실은 무엇을 말하는가? 개발도상국의 관점에서는, 많은 국가에서 특별히 사회적 영역에서 NGO의 역할이 늘어나고 있지만, 또한 많은 국가들이 NGO제어에 힘쓰는 경향들이 있다. 그 이유는 NGO가 잠재적으로 개발과정에서 국가의 리더십 능력을 저해하다는 사실이다. 선진국의 측면에서는 비록 원조기관들이 NGO를 통해서 ODA를 계속 제공하고 있지만 그들 역시 개발도상국 정부와 외교적 관계를 고려해야 된다. 기부국가들이 후진국국민의 권리를 보장하면서 참여적 개발과정을 증진시키려는 NGO의 노력을 어느 정도, 지원할 것인가는 문제이다. NGO의 참여적 개발과 민주화의 촉진에 관한 견해와 실질적 행위, 혹은 NGO와 GO 간의 견해 차이는 창조적 긴장의 원천이다. 그런데 참여적 개발과 민주화는 아마도 개발과정과 국가 간 관계에서 후진 국가들의 능력과 힘을 잠식할지도 모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est which grow about problem earth such as poverty, development, human rights, environment, sex (gender) improved attention about NGO's role.
      We can conduct NGO's enlarged role through UN meeting about earth problem such as Global Summit, World Summit For Social Development of 1995 Copenhagen held on Brazil of 1992.
      Have elevated interest though large or both development assistance organizations works with the NGO in poverty and development problem. Now, both ODA relationship 5% is delivered through the NGO. Similarly, cooperation between NGO and government is increasing in developing country.
      NGO's participation, opinion difference between development and opinion and virtual action about promotion of democratization or NGO and GO is quarry of creative tension. By the way, the participation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may encroach ability and forc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n relation between development process and country perhaps.
      번역하기

      Interest which grow about problem earth such as poverty, development, human rights, environment, sex (gender) improved attention about NGO's role. We can conduct NGO's enlarged role through UN meeting about earth problem such as Global Summit, World S...

      Interest which grow about problem earth such as poverty, development, human rights, environment, sex (gender) improved attention about NGO's role.
      We can conduct NGO's enlarged role through UN meeting about earth problem such as Global Summit, World Summit For Social Development of 1995 Copenhagen held on Brazil of 1992.
      Have elevated interest though large or both development assistance organizations works with the NGO in poverty and development problem. Now, both ODA relationship 5% is delivered through the NGO. Similarly, cooperation between NGO and government is increasing in developing country.
      NGO's participation, opinion difference between development and opinion and virtual action about promotion of democratization or NGO and GO is quarry of creative tension. By the way, the participation development and democratization may encroach ability and forc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n relation between development process and country perhap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2
      • Ⅱ. 변화하는 개발NGO의 역할 4
      • Ⅲ. 개발ㆍ발전의 재정의와 NGO의 관점 6
      • Ⅳ. 창조적 도구의 구도 13
      • Ⅴ. 결론 17
      • Ⅰ. 서론 2
      • Ⅱ. 변화하는 개발NGO의 역할 4
      • Ⅲ. 개발ㆍ발전의 재정의와 NGO의 관점 6
      • Ⅳ. 창조적 도구의 구도 13
      • Ⅴ. 결론 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