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논산 개태사지의 국가문화재적 가치 및종합정비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 Study of the Valu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in the Gaetaesa Temple Site, Nonsa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Maintenance Pl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2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and the valu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it, to work towards gaining the acceptance criteria to become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nd to propose a 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and the valu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ssociated with it, to work towards gaining the acceptance criteria to become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nd to propose a plan for comprehensive maintenance, a plan for the promotion of the project and a plan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has unprecedented advancements, and the condition of the remains are relatively good.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digging/excavation surveys continuously in the future and ensure the dignity of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as a cultural asset. In addition, the Gaetaesa Temple Site has excelle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as treasure-class cultural heritage. Most temples had treasures taken out of them, so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this site as a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instead of a municipality-designated cultural heritage site, and to manage it systematically. According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y and historical facts about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through the analysis of literature, including old documents, old maps, related academic papers and books, and referred to the results of digging/excavation surveys, conducted up to six times since the first excavation survey conducted in 1986,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remains, ruins and the building sites excavated at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values of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dividing them into the remains, relics and ruins, and set up the scope of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the cultural property area (designated and protected areas) and the acceptance criteria for the construction work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preservation area. This study proposed a plan for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of the Gaetaesa Temple Site in Nonsan, a plan for the promotion of the project and a plan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ongoing excavation investigations and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for the purchase of land, to supplement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business promo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step-by-step business plans should be established in detai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논산 개태사지의 현황과 국가문화재적 가치를 분석하고,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위한 명칭, 허용기준 등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종합정비방안과 사업추진 및 관리운영...

      본 연구의 목적은 논산 개태사지의 현황과 국가문화재적 가치를 분석하고, 국가지정문화재 지정을 위한 명칭, 허용기준 등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종합정비방안과 사업추진 및 관리운영계획을 제안하는 것이다. 논산 개태사지는 전례 없는 진전을 갖추고 있으며, 유구 자체의 잔존상황도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추후 시․발굴조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논산 개태사지의 문화재로서의 품격을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개태사지는 보물급의 문화유산을 반출하고,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우수하기 때문에 도지정문화재가 아닌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문헌, 고지도, 관련 학술논문 및 서적 등 문헌고찰을 통하여 논산 개태사지의 연혁, 역사적 사실 확인을 하였으며, 논산 개태사지 내에서 발굴된 유구 및 유적, 건물지 등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1986년 1차 발굴조사 이후 6차까지 진행된 시․발굴조사결과를 참고하였다. 또한, 역사적, 유물적 유적 등으로 구분하여 논산 개태사지의 가치를 분석하여 논산 개태사지의 범위와 국가지정문화재(사적) 문화재구역(안)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논산 개태사지 종합정비방안과 사업추진 및 관리운영 계획을 제안하였다. 추후 지속적인 시․발굴조사를 진행하고, 토지매입을 위한 주민의견 등을 반영하여 종합정비방안과 사업추진 및 관리운영 방안을 보완해야 하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업은 특성상 사업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향후 단계별․연차별 사업추진 계획이 세부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ttp://www.onnara.go.kr"

      2 "http://www.nonsan.go.kr"

      3 "http://www.moleg.go.kr"

      4 "http://www.koreanhistory.or.kr"

      5 "http://www.cha.go.kr"

      6 "http://gis-heritage.go.kr"

      7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e, "The 5th Excavation Survey Report" 2016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5-year Basic Plan for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2012-2016" 2013

      9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e, "The 4th Excavation Survey Report" 2015

      10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e, "The 3rd Prospect Report of Nonsan Gaetaesa Area" 2013

      1 "http://www.onnara.go.kr"

      2 "http://www.nonsan.go.kr"

      3 "http://www.moleg.go.kr"

      4 "http://www.koreanhistory.or.kr"

      5 "http://www.cha.go.kr"

      6 "http://gis-heritage.go.kr"

      7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e, "The 5th Excavation Survey Report" 2016

      8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5-year Basic Plan for the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2012-2016" 2013

      9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e, "The 4th Excavation Survey Report" 2015

      10 Nonsan City, Chungcheongnam-do Historical and Cultural Institute, "The 3rd Prospect Report of Nonsan Gaetaesa Area" 2013

      11 "Terrestrial Spatial Image Information Service"

      12 "Sinjeungdong-gug-yeojiseunglam (新增東國輿地勝覽)"

      13 Conservation and Activation Research Group of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by Province, "Report on the Research Activities on Conservation and Activation of Cultural Assets Designated by Province" 2016

      14 "Joseon-wangjosillog (朝鮮王朝實錄)"

      15 "Golyeosa (高麗史)"

      16 "Dong-injimunsayug (同人之文四六)"

      17 "Dong-gug-yeojiseunglam (東國輿地勝覽)"

      18 "Dong-gug-isang-gugjib (東國李相國集)"

      19 Chungcheongnam-do, "Chungcheongnam-do Designated Cultural Property․Cultural Property Data: Cultural Property Area(Designated Area, Protected Area) Batch Adjustment and Terrain Drawing Notice" 2008

      20 Chungcheongnam-do, "Chungcheongnam-do Designated Cultural Assets" 1999

      2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asic plan for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2002

      22 Seo, W. W.,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storation and Repair about Eup-sung" Ulsan University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