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 미술감상교육의 유형별 특성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37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가 학교에서 받았던 대부분의 미술교육은 그리기 또는 만들기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똑같이 그리는 그림이 잘 그리는 그림이고, 잘 따라 그리는 사람이 미술을 잘하는 사람이라 생각...

      우리가 학교에서 받았던 대부분의 미술교육은 그리기 또는 만들기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똑같이 그리는 그림이 잘 그리는 그림이고, 잘 따라 그리는 사람이 미술을 잘하는 사람이라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미술은 실기만 있는 것이 아니며, 그림을 그릴 일보단 감상할 일이 많다는 걸 깨달게 된다.
      오늘날 학교미술교육에서 창작활동뿐만 아니라 감상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제 학교 미술교육은 전문 작가 양성이 아니라 미적 안목을 가진 문화인을 육성하는데 관심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감상수업의 대한 유형별 특성을 연구하고 그에 따른 수업지도안을 모색하고 제시하는데 있다. 서론에서는 초등 미술감상교육의 현 실태와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본론에서는 미술감상교육의 개념과 학교 현장에서 미술감상 수업에 바로 활용 할 수 있는 실제적 내용을 바탕으로 이론에 대해 다루며 미술감상교육의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앞의 내용을 바탕 하여 교육적 기대효과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nventional School art education mostly consisted of drawing or making. So it has been often considered copying other’s picture usually received good compliment, mimicking pictures well was a good practice of art. But we can realize after a short t...

      Conventional School art education mostly consisted of drawing or making. So it has been often considered copying other’s picture usually received good compliment, mimicking pictures well was a good practice of art. But we can realize after a short thinking that there exist not only practice in arts and we would more chances to appreciate pictures.
      Today’s School fine art education started to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appreciation as well as creative activity. Now school fine art education gets to be interested in the training of cultural figures with the aesthetic perspective as well as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artis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typ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appreciation lesson based on such a content and pursuit and suggest the teaching guideline in accordance with such a behavior. The introduction tells the actual situation of elementary fine art appreciation education, its research purpose and the importance. The main subject will handle the the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fin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actual content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fine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the actual school site, analyze the typ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fine art education. The conclusion is suggesting the educational expectation and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 1. 미술감상교육의 개념 3
      • 2. 미술감상교육의 의의 4
      • 3. 미술감상교육의 필요성 5
      • Ⅰ.서 론 1
      • Ⅱ. 이론적 배경
      • 1. 미술감상교육의 개념 3
      • 2. 미술감상교육의 의의 4
      • 3. 미술감상교육의 필요성 5
      • Ⅲ. 미술감상교육의 유형별 특성분석
      • 1. 학교 미술감상교육 6
      • 2. 미술관 미술감상교육 13
      • 3. 학교와 미술관 연계교육 43
      • 4. 자기주도 학습과 미술감상학습 58
      • Ⅳ. 결 론 62
      • 참 고 문 헌 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