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전투표 유권자의 특징 변화 =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Early Vo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2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aracteristics of early voters have been changed in the four nationwide election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analyzing early voters and investigat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aracteristics of early voters have been changed in the four nationwide election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analyzing early voters and investigat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voters in the 2018 local election and compared them to other previous early voters. In particular, the study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early voters in four nationwide elections from the 2014 local elections to the 2018 local elections.
      Results show that early voters are not voting abstainers who did not participate in elections. Rather they are voters who generally cast ballot in elections. This means that the early voting system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turnout. Instead, the system has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votes of the electorate who generally participate in elections. Likewise, the study finds that the voters who participated in the elections through the early voting system have been increasingly changed since the early voting system was adopted in the 2014 local elections. Early voters are very interested in politics and have strong party-identification. The are different from the other voters. This suggests that discussion be necessary to redefine and characterize early vo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네 번의 전국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 유권자들의 특징은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전투표 유권자에 대해 분석하고 있는 국내외 연구들을 살...

      본 연구는 네 번의 전국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 유권자들의 특징은 어떻게 변해왔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전투표 유권자에 대해 분석하고 있는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들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번 2018년 지방선거 사전투표 유권자들의 특징은 무엇인지 분석해보고 과거 다른 선거 사전투표 유권자와 비교해 보았다. 무엇보다 2014년 지방선거부터 2018년 지방선거까지 네 번의 전국단위 선거에서 사전투표 유권자들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봄으로써 사전투표 유권자의 특징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전투표 유권자는 과거 선거에 참여하지 않은 투표 기권자라기보다는 선거에 일반적으로 참여하는 유권자로 사전투표제를 통해 일찍 선거에 참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전투표제가 과거에 투표하지 않은 새로운 유권자를 끌어들여 투표율을 제고시키는 효과보다는 기존에 선거에 참여하는 유권자들의 투표를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2014년 지방선거에서 사전투표제가 전국 단위 선거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이후 사전투표제를 통해 선거에 참여하는 유권자들은 점점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전투표 유권자는 정치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정당 일체감도 강한 유권자로 다른 유권자들과 점차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과거 사전투표 유권자는 투표 기권자인가 아니면 일반적으로 투표에 참여하는 유권자인가의 질문에서 벗어나 사전투표 유권자를 새롭게 정의하고 특징을 분석하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말해주는 것이다.
      사전투표제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이지만 사전투표제는 투표 기회를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사전투표제 도입 이후 현재까지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 방식을 변화시켰고 공식 선거일의 분위기도 변화시켰다. 사전투표제가 앞으로 어떻게 유권자들의 행태를 변화시킬 것인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하, "한국 제20대 총선의 신제도주의적 분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2) : 333-374, 2017

      2 이상신, "제6회 지방선거와 사전투표" 5 : 53-82, 2014

      3 강신구, "사전투표제도와 투표율: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조사’ 자료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5 (25): 225-251, 2016

      4 김도경, "사전투표제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 27 (27): 1-23, 2014

      5 김찬송, "사전투표자 세부분석: 20대 총선과 순수사전투표자" 21세기정치학회 26 (26): 1-24, 2016

      6 Anderson, Kristi, "Working Wome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1952-1972" 19 (19): 439-453, 1972

      7 Horiuchi, Yusaku, "Why Should the Republicans Pray for Rain? Electoral Consequences of Rainfall Revisited" 46 (46): 869-889, 2018

      8 Neeley, Grant W., "Who is early voting? An Individual level examination" 38 : 381-392, 2001

      9 Wolfinger, Raymond E., "Who Votes?" Yale University Press 1980

      10 Berinsky, Adam J., "Who Votes By Mail A Dynamic Model Of The Individual Level Consequences Of Voting By Mail Systems" 65 : 178-197, 2001

      1 정용하, "한국 제20대 총선의 신제도주의적 분석" 한국민족문화연구소 (62) : 333-374, 2017

      2 이상신, "제6회 지방선거와 사전투표" 5 : 53-82, 2014

      3 강신구, "사전투표제도와 투표율: ‘제20대 국회의원선거 유권자 조사’ 자료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5 (25): 225-251, 2016

      4 김도경, "사전투표제가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 27 (27): 1-23, 2014

      5 김찬송, "사전투표자 세부분석: 20대 총선과 순수사전투표자" 21세기정치학회 26 (26): 1-24, 2016

      6 Anderson, Kristi, "Working Wome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1952-1972" 19 (19): 439-453, 1972

      7 Horiuchi, Yusaku, "Why Should the Republicans Pray for Rain? Electoral Consequences of Rainfall Revisited" 46 (46): 869-889, 2018

      8 Neeley, Grant W., "Who is early voting? An Individual level examination" 38 : 381-392, 2001

      9 Wolfinger, Raymond E., "Who Votes?" Yale University Press 1980

      10 Berinsky, Adam J., "Who Votes By Mail A Dynamic Model Of The Individual Level Consequences Of Voting By Mail Systems" 65 : 178-197, 2001

      11 Verba, Sidney, "Voice and Equality: Civic Voluntarism in American Politics" Harper&Row 1995

      12 Larocca, Roger, "U.S. State Election Reform and Turnout in Presidential Elections" 11 (11): 76-101, 2011

      13 Urbatsch, R., "Time Regulation as Election Policy" 42 (42): 841-855, 2014

      14 Berinsky, Adam J., "The perverse consequences of electoral reform in the United States" 33 (33): 471-491, 2005

      15 Gomez, Brad T., "The Republicans Should Pray for Rain: Weather, Turnout, and Voting in U.S. Presidential Elections" 69 (69): 649-663, 2007

      16 Ferejohn, John A., "The Paradox of Not Voting: A Decision Theoretic Analysis" 68 (68): 525-536, 1974

      17 Oliver, J. Eric, "The Effects of Eligibility Restrictions and Party Activity on Absentee Voting and Overall Turnout" 40 (40): 498-513, 1996

      18 Converse, Philip E., "Political Parties and Political Behavior" Allyn and Bacon 1971

      19 Verba, Sidney, "Participation in America" Harper 1972

      20 Berinsky, Adam J., "Making Voting Easier Doesn’t Increase Turnout" 2016

      21 Fitzgerald, Mary, "Greater Convenience But Not Greater Turnout: The Impact of Alternative Voting Methods on Electoral Participation in the United States" 33 (33): 842-867, 2005

      22 Burden, Barry C., "Election Laws, Mobilization, and Turnout: The Unanticipated Consequences of Election Reform" 58 (58): 95-109, 2014

      23 Gronke, Paul, "Early Voting and Turnout" 40 (40): 639-645, 2007

      24 Rigby, Elizabeth, "Does Electoral Reform Increase(or Decrease) Political Equality?" 64 (64): 420-434, 2011

      25 Persson, Mikael, "Does Election Day weather affect voter turnout? Evidence from Swedish elections" 33 : 335-342, 2015

      26 Gerber, Alan S., "Does Church Attendance Cause People to Vote? Using Blue Laws’ Repeal to Estimate the Effect of Religiosity on Voter Turnout" 46 : 481-500, 2015

      27 Niemi, Richard G., "Classics in Voting Behavior" CQ Inc 1993

      28 Pomante Ⅱ, Michael J., "Candidate Age and Youth Voter Turnout" 43 (43): 479-503, 2015

      29 가상준, "2016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사전투표제 영향 분석" 동서문제연구원 29 (29): 91-116,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5 1.35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9 1.8 2.699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