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대한 인터넷 기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지리학 연구의 관심 증가와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기술의 발전은 문학 작품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사고와 내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기술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대상으로 인터넷 기반의 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사고와 내용을 5가지, 위치/영역, 지형, 기후, 지역지리, 영토/세계관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Google Map, ArcGIS를 이용하여 6가지 주요 기능을 구현하 였는데, 이는 다양한 공간 스케일의 지도 조작 및 탐색, 2차원 및 3차원 지도 시각화 기능, Mashup 기능을 이용한 위치정보와 다양한 정보들의 결합, 고도 단면도 생성 및 분석, 이동거리 분석, 날씨 정보와 이동거리 정보의 시간 시각화, 역사지도와의 연계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문학 작품에 대한 보다 입체적, 다차원적인 지리적 이해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문학지리학 연구의 관심 증가와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기술의 발전은 문학 작품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학 작품에서 나...

      문학지리학 연구의 관심 증가와 함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기술의 발전은 문학 작품의 지리정보 분석 및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학 작품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사고와 내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이를 기반으로 한 지리정보 기술의 적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대상으로 인터넷 기반의 지리정보를 분석하고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나타나는 지리적 사고와 내용을 5가지, 위치/영역, 지형, 기후, 지역지리, 영토/세계관을 중심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Google Map, ArcGIS를 이용하여 6가지 주요 기능을 구현하 였는데, 이는 다양한 공간 스케일의 지도 조작 및 탐색, 2차원 및 3차원 지도 시각화 기능, Mashup 기능을 이용한 위치정보와 다양한 정보들의 결합, 고도 단면도 생성 및 분석, 이동거리 분석, 날씨 정보와 이동거리 정보의 시간 시각화, 역사지도와의 연계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문학 작품에 대한 보다 입체적, 다차원적인 지리적 이해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inciding with the increased attention being paid to the research of the geography of literature, the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i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nalysis of, and service related to, geographic content. In this regard, in-depth analysis of geographic thought and content in existent literature, along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ed to access and use it, therefore require research. Taking this as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geographic information for Jiwon Park’s, Yeolha-ilgi, using an Internet-based GIS solution. To this end, geographic thought and content from Yeolha-ilgi were explored and extracted based on five categories; location, geomorphology, climatology, regional geography, and territory/world view. Six major functions using Google Map and ArcGIS were then implemented as follows; digital map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with varied scales, geovisualization with 2D and 3D maps, a combin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d different kinds of resources with Google mashup, elevation profiling of the trails, analysis of journey distance, visualization of the weather and trail journey distance, and linkage to related historical maps. We expect that such exercises will improve geographic understanding by building out more dynamic perspectives of literature.
      번역하기

      Coinciding with the increased attention being paid to the research of the geography of literature, the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i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nalysis of, and service related to, geographic conte...

      Coinciding with the increased attention being paid to the research of the geography of literature, the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i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analysis of, and service related to, geographic content. In this regard, in-depth analysis of geographic thought and content in existent literature, along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ed to access and use it, therefore require research. Taking this as motiv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geographic information for Jiwon Park’s, Yeolha-ilgi, using an Internet-based GIS solution. To this end, geographic thought and content from Yeolha-ilgi were explored and extracted based on five categories; location, geomorphology, climatology, regional geography, and territory/world view. Six major functions using Google Map and ArcGIS were then implemented as follows; digital map manipulation and exploration with varied scales, geovisualization with 2D and 3D maps, a combin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d different kinds of resources with Google mashup, elevation profiling of the trails, analysis of journey distance, visualization of the weather and trail journey distance, and linkage to related historical maps. We expect that such exercises will improve geographic understanding by building out more dynamic perspectives of liter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기석, "「열하일기」를 통해 본 연암의 대청의식과 <호질>의 주제" 94 : 325-348, 1997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홈페이지"

      3 이은숙, "한국 문학공간의 특성과 Web GIS 구축 자료에 관한 기초연구" 13 (13): 17-33, 2001

      4 김태준, "중국 내 연행노정고" 동양학연구원 (35) : 3-3, 2004

      5 이승수, "조선후기 燕行 체험 故土 인식 -東八站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27) : 199-243, 2004

      6 고미숙, "열하일기(하)" 북드라망 2015

      7 고미숙, "열하일기(상)" 북드라망 2015

      8 김혈조, "열하일기 3" 돌베개 2009

      9 김혈조, "열하일기 2" 돌베개 2009

      10 김혈조, "열하일기 1" 돌베개 2009

      1 박기석, "「열하일기」를 통해 본 연암의 대청의식과 <호질>의 주제" 94 : 325-348, 1997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홈페이지"

      3 이은숙, "한국 문학공간의 특성과 Web GIS 구축 자료에 관한 기초연구" 13 (13): 17-33, 2001

      4 김태준, "중국 내 연행노정고" 동양학연구원 (35) : 3-3, 2004

      5 이승수, "조선후기 燕行 체험 故土 인식 -東八站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27) : 199-243, 2004

      6 고미숙, "열하일기(하)" 북드라망 2015

      7 고미숙, "열하일기(상)" 북드라망 2015

      8 김혈조, "열하일기 3" 돌베개 2009

      9 김혈조, "열하일기 2" 돌베개 2009

      10 김혈조, "열하일기 1" 돌베개 2009

      11 정재훈, "연행사가 체험한 조선과 청의 세 가지 경계" 퇴계연구소 (52) : 177-218, 2013

      12 이철희, "연행 여정에서 형성된 ‘탈중화’의 두 번째 경로" 대동문화연구원 (90) : 7-32, 2015

      13 김상미, "수학교양도서와 웹 2.0지도(구글맵) 매쉬업을 통한 수학 이야기 지도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한국학교수학회 14 (14): 443-458, 2011

      1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홈페이지"

      15 이민희, "박지원의 『열하일기』와 괴테의 『이탈리아 기행』 비교 연구" 한국비교문학회 (59) : 5-36, 2013

      16 김진영, "문학 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공간논의에 대한 재고찰" 54 : 1-15, 2010

      17 "두산백과사전 홈페이지"

      18 "네이버 캐스트 홈페이지"

      19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홈페이지"

      20 김영, "근대전환기 지식인의 이국체험과 세계관의 변화—연암 박지원의 경우" 한국고전연구학회 0 (0): 5-30, 2008

      21 김금미, "구글지도를 활용한 문학지도 제작" 205-206, 2012

      22 신정엽, "구글 매쉬업을 이용한 문학 작품의 지리정보 서비스: 괴테의 이탈리아 여행을 사례로" 한국지도학회 16 (16): 27-39, 2016

      23 강영옥, "구글 API를 활용한 공공데이터의 지리적 시각화 연구" 한국지도학회 14 (14): 1-15, 2014

      24 이학당, "筆談을 통해 본 『熱河日記』의 藝術的 描寫性" 우리한문학회 18 (18): 761-795, 2008

      25 김동석, "熱河日記의 서사적 구성과 그 특징" 한국실학학회 (9) : 87-120, 2005

      26 Rosen, D., "Web 2.0: A new generation of learners and education" 25 (25): 211-255, 2008

      27 Sharp, J., "Towards a critical analysis of fictive geographies" 32 (32): 327-334, 2000

      28 Gregory, I., "Thomas Gray, Samuel Taylor Coleridge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 literary GIS of two Lake Districttours" 3 (3): 61-84, 2009

      29 Bradbury, M., "The Atlas of Literature" De Agonstini Editions 1996

      30 Osborne, B., "Texts of place: ‘A secret landscape hidden behind the everyday’" 38 (38): 29-39, 1996

      31 Lamme, A. J., "Speaking with the same voice: Geographic interpretation and representation of literary resources" 38 (38): 41-48, 1996

      32 Mitchell, P., "Routledge Handbook of Literature and Space" Routledge 85-94, 2017

      33 "Natural Earth 홈페이지"

      34 Sharp, J., "Locating imaginary homelands: literature, geography, and Salman Rushidie" 38 (38): 119-127, 1996

      35 Thrift, N., "Literature, the production of culture and the politics of place" 15 : 12-24, 1983

      36 Piatti, B., "Literary Geography–or how cartographers open up a new dimension for literary studies" 2009

      37 Sharp, W., "Literary Geography" Schribner 1904

      38 Turner, A., "Introduction to Neogeography" O'Reilly 2006

      39 Pocock, D., "Humanistic Geography and Literature" Croom Helm 9-19, 1981

      40 Holdsworth, D. W., "Historical geography: New ways of imaging and seeing the past" 27 : 486-493, 2003

      41 Gregory, I., "Historical GIS: Structuraing, mapping and analysing geographies of the past" 31 (31): 638-653, 2007

      42 Offen, K., "Historial geography II: digital imaginations" 37 (37): 564-577, 2012

      43 신정엽, "Google Mashup 지리 정보 기술을 이용한 열하일기의 지리 내용 분석 및 서비스,창의와 융합의 한국어 교육, 연구와 실천" 317-332, 2016

      44 Brosseau, M., "Geography’s literature" 18 (18): 333-353, 1994

      45 Lucchesi, F., "Geographic memories in travelogue literature: The Australian social landscape in the writings of Italian travelers" 38 (38): 129-136, 1996

      46 "GADMGlobal Administrative Areas 홈페이지"

      47 Johnson, N., "Fictional journeys: Paper landscapes, tourist trails and Dublin’s literary texts" 5 (5): 91-107, 2004

      48 Lando, F., "Fact and fiction: geography and literature" 38 (38): 3-18, 1996

      49 Tuan, Y-F., "Environmental Knowing" Dowden, Hutchinson and Ross 260-272, 1976

      50 Seamon D., "Environmental Knowing" Dowden, Hutchinson and Ross 286-290, 1976

      51 Goodchild, M., "Citizens as sensors: the world of volunteered geography" 69 (69): 211-221, 2007

      52 Richterich, A., "Cartographies of digital fiction: Amateurs mapping a new literary realism" 48 : 237-249, 2011

      53 Silk, J., "Beyond geography and literature" 2 : 151-178, 1984

      54 Moretti, F., "Atlas of the European Novel, 1800-1900" Verso 1998

      55 Phelps, W.L., "A Literary Map of England"

      56 송재소, "18세기 동아시아 문명의 새로운 전환" 한국실학학회 (10) : 7-26, 2005

      57 하재철, "18세기 燕行錄에 나타난 觀光用語 - 《노가재연행일기》와 《열하일기》를 중심으로" 한국중문학회 (62) : 27-58,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1 0.96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