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률안 국회통과 소요기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cision Factors for Legislative Bill Passage T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85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어떤 이유로 국회에서의 법률안의 통과기간이 차이를 보이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 정책적 의미를 찾는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를 위해, 제 14대 국회에서 제17대 국회에 이르기까...

      이 연구는 어떤 이유로 국회에서의 법률안의 통과기간이 차이를 보이는지, 그 원인을 파악하고 정책적 의미를 찾는데 목적을 둔다. 이 연구를 위해, 제 14대 국회에서 제17대 국회에 이르기까지 국회의 상임위원회에 제출된 법률 제정안과 개정안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국회에서의 법률안 통과기간에 영향을 초해하는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우선 경험과 논리를 기초로 법률안 국회통과 소요기간 결정모형을 설정하고 자료의 검증을 통해 요인의 경험적 타당성을 분석한다. 이 연구의 모형에는 법률안의 발의주체, 법률안의 유형 등과 같은 국회의 의정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포함된다. 상임위원회에 제출된 법률안의 특성을 기초로 하는 자료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냈다. 우선, 최근의 국회에서 법률안의 통과기간이 길어지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대통령이 있는 선거해와 다수당이 상임위원회의 다수의석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법률안의 통과기간이 짧아진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그런가하면 법률안이 의원발의 경우 혹은 제정안인 경우에는 법률안의 통과기간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법률안이 국회의 전반부에 제안될 경우, 법률안의 통과에는 상대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먼저, 국회에서의 법률안 통과에 소요되는 기간이 다른데는 의미있고 설명이 가능한 원인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정책관련자들이 자신의 책임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정책이슈를 법률화하는 국회의 과정에 대해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자는 점을 지적한다. 정책관련자들은 왜 어떤 법률안은 장기간을 소요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의 정책적 중요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에 대한 정보는 정책관련자뿐만 아니라 국회의원들에게도 궁극적으로 법률화되는 정책이슈의 국회 처리과정을 예측하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s why certain bills in the Korean parliament take a longer time in passage to become a law. For that, all the bills for the new laws and a sample of the amendments are examined from the 14th assembly to the 17th ass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asons why certain bills in the Korean parliament take a longer time in passage to become a law. For that, all the bills for the new laws and a sample of the amendments are examined from the 14th assembly to the 17th assembly. This study sets up a model that helps explain why certain bills take longer time than others by including such factors as the impact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those who initiate bills, timing of the bill presentation, the type of bill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ruling party dominate the standing committee. By using the data that spec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lls that were presented to the standing committees under the period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mes up with the following findings and suggestions that can have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that would help improve the assembly`s legislative process. First, found is that bills in recent assemblies took longer time in passage. Second, the year when the presidential election or when the ruling party takes a majority in the committee, less time was taken for its passage. If a bill is initiated by the assembly person or it is a new bill, it would take longer passage time. Finally, if a bill is presented at the first half of the assembly, it is more likely to take longer passage time. The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be drawn from these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passage time of the bills do have meaningful and explainable reasons. This suggests that policy makers may have to take a serious approach to deal which the legislative process when they need to take a responsibility to carry out public policies in a form of the law. They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ose factors that explains why certain bills take either longer or shorter passage time. This information would enable both assembly persons and government policy makers to be more effective in anticipating the assembly process in dealing with public policy issues that to be transformed into a proper law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준금, "환경보호를 위한 의회의 역할" (3) : 1992

      2 이경태, "행정부 우위시대의 국회경쟁력 제고방안: 입법사례분석을 중심으로" 15 (15): 2006

      3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1998

      4 신명순, "한국정치론" 법문사 1993

      5 한정일, "한국입법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7 : 1973

      6 김종순, "한국의회의 예산심의 및 보좌기능을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의 CBO를 중심대안으로" 25 (25): 1991

      7 박찬욱, "한국의회내 정당간 갈등과 교착상태: 그 요인, 경과 및 결말 In : 한국의 정치갈등: 그 유형과 해소 방식" 법문사 1992

      8 우병규, "한국의 입법체제에 관한 연구: 국회의원의 대표역할과 그 행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8

      9 신명순_, "한국국회의 의정활동 In: 한국의회정치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10 하세헌, "한국국회의 심의기능에 관한 동태 분석" 대한정치학회 10 (10): 267-286, 2003

      1 정준금, "환경보호를 위한 의회의 역할" (3) : 1992

      2 이경태, "행정부 우위시대의 국회경쟁력 제고방안: 입법사례분석을 중심으로" 15 (15): 2006

      3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1998

      4 신명순, "한국정치론" 법문사 1993

      5 한정일, "한국입법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7 : 1973

      6 김종순, "한국의회의 예산심의 및 보좌기능을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미국의 CBO를 중심대안으로" 25 (25): 1991

      7 박찬욱, "한국의회내 정당간 갈등과 교착상태: 그 요인, 경과 및 결말 In : 한국의 정치갈등: 그 유형과 해소 방식" 법문사 1992

      8 우병규, "한국의 입법체제에 관한 연구: 국회의원의 대표역할과 그 행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78

      9 신명순_, "한국국회의 의정활동 In: 한국의회정치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10 하세헌, "한국국회의 심의기능에 관한 동태 분석" 대한정치학회 10 (10): 267-286, 2003

      11 박찬욱, "한국 의회정치의 특성 In : 한국의회정치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12 오승용, "한국 분점정부의 입법과정 분석: 13대-16대 국회의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8 (38): 167-192, 2004

      13 박근후, "한국 국회에서의 효율적 의안심의를 위한 의안회부제도에 관한 연구" 8 (8): 1999

      14 이한길, "제16대ㆍ제17대 의원발의 법안의 특성" 국회사무처 2004

      15 박종구, "정치적 변동과 예산심의행태의 변화" 26 (26): 1992

      16 하세헌, "전후 일본국회의 심의기능 및 그 변화에 관한 동태분석" 33 (33): 1999

      17 박찬표, "입법기능과 입법과정: 제도·실제·특징 In: 한국의회정치론"

      18 권영설, "입법과정의 헌법적 조명" 한국공법학회 34 (34): 1-22, 2006

      19 구자용, "입법과정의 동태적 측면: 의원발의법률안에 대한 비교사례연구" 19 (19): 1985

      20 임중호, "입법과정의 개선 및 발전방향" 한국공법학회 34 (34): 23-50, 2006

      21 임종훈, "입법과정론" 박영사 2000

      22 박영도, "입법과정 연구의 입법학적 접근시각"

      23 서복경, "입법과정 관련제도 변천과 제도개선의 방향"

      24 이한규, "입법과정 개선에 관한 헌법적 고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5 박동서, "의회와 입법과정" 법문사 1985

      26 김종림, "의회민주주의 초석: 입법·행정권력 간의 경쟁과 갈등 분석 In : 한국의 정치갈등: 그 유형과 해소 방식" 법문사 1992

      27 목진휴, "우리나라 국회의 법률안 처리속도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2007

      28 안병만, "발전의 시각에서 본 입법부:행정부의 관계 In : 한국정치행정의체계" 박영사 1982

      29 손병권, "미국의회의 의원입법"

      30 최연홍, "미국의 입법과정"

      31 임성호, "미국 의회-대통령 관계의 변화와 지속성:대통령 반대당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6 (36): 333-352, 2002

      32 박천오,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선호성향과 동기" 7 (7): 1998

      33 김은철, "국회의 입법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20) : 105-135, 2005

      34 김영구, "국회의 입법과정" 삼보 2001

      35 국회사무처, "국회법률안 입안기준"

      36 최정원, "국회 입법과정의 변화와 특징: 입법환경과 입법행위자를 중심으로" 35 (35): 2001

      37 임성호, "국회 의제설정의 기능과 주도권 In : 한국의회정치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38 임동욱, "국회 생산성높이기" 박영사 2000

      39 Moe,Terry M, "The Politics of Structural Choice: Toward a Theory of Public Bureaucracy In Organization Theory: From Chester Barnard to Present and Beyo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40 Goodwin,G.Jr, "The Little Legislative Process in Congress" Thomas Crawell co. 1970

      41 Taylor,Andrew, "The Length and Sequence of Lawmaking" 2004

      42 Galloway,George B, "The Legislative Process in Congress" Thomas, Crawell co. 1955

      43 Moe,Terry M.,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of Democratic Government: A Comparison of Presidential and Parliamentary Systems" 150 (150): 171-195, 1994

      44 Weingast, Barry W, "The Industrial Organization of Congress, or, Why Legislatures, Like Firms, are not Organized as Markets" 96 : 132-163, 1988

      45 Anderson James E, "Public Policy-Making" CBS College Publishing 1984

      46 McLean,I, "Public Chioce" Basil Blackwell 1987

      47 Key,V.O.Jr, "Politics in State and Nation" Vintage Books. 1949

      48 Krehbiel,Keith, "Pivotal Politics: A Theory of U.S. Lawmak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

      49 Lockhard,Duane, "New England State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50 Bullock,Charles S, "Motivations for U.S. Congressional Committee Preferences: Freshmen for the 92nd Congress" 1 (1): 201-212, 1976

      51 Heaphey,James J, "Legislatures: Political Organizations" 35 (35): 479-482, 1975

      52 Krehbiel,Keith, "Information and Legislative Organizatio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1

      53 Fenno,Richard F, "Congressmen in Committee" Little Brown and Company 1973

      54 Oleszek,Walter J, "Congressional Procedures and the Policy Process" Congressional Quarterly Press 1996

      55 Fiorina,M, "Congress-Keystone of the Washington Establishment" NY Yale University Press 1977

      56 Arnold,D, "Congress and the Bureaucracy" Yale University Press 1979

      57 Smith, Steven S, "Committee in Congress" A Division of Congressional Quarterly Inc. 1984

      58 Niskanen,W, "Bureaucracy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Aldine-Atherton 1971

      59 Downs,A,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60 Key,V.O.Jr, "American State Politics: An Introduction" Knopf 1959

      61 Bonvitz,Gregory, "A Multi-Institutional Theory of Legislative Organization In Typescipt.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62 송희준, "1980년대의 사회정책 입법활동의 내용과 성격" 26 (26):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3 1.11 1.24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