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업무공간의 화재모델 산정을 위한 실물화재 실험 = Real Scale Experiment For Assessing Fire Model of Office Compart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38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re spread prevention in the buildings is designed to protect life and assets by prohibiting the fire spread to the adjacent space and, for this design, the outside through setting fire separations, and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accurate size of fire inside the unit sepa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intended to select a office compartment from the building classification for use, and to propose HRR[Heat Release Rate], the engineering fire size, through the real fire experiment according to this. The fire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with arranging real combustible substances and wood creep into the unit separation with 2.4(L)×3.6(W)×2.4(H) m size after analyzing fire load for the use of the buildings. The fire load of the office compartment is indicated as 19 kg/m2. I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fire experiment with real combustible substances and with wood creep are shown as 2681.7 kW/m2 and 2453.8 kW/m2, in separate. The fire size shown through these positive fire experiment can secure prediction of the fire spread of the buildings in further, and reliability on prevention designing.
      번역하기

      The fire spread prevention in the buildings is designed to protect life and assets by prohibiting the fire spread to the adjacent space and, for this design, the outside through setting fire separations, and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accurate siz...

      The fire spread prevention in the buildings is designed to protect life and assets by prohibiting the fire spread to the adjacent space and, for this design, the outside through setting fire separations, and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accurate size of fire inside the unit sepa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intended to select a office compartment from the building classification for use, and to propose HRR[Heat Release Rate], the engineering fire size, through the real fire experiment according to this. The fire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with arranging real combustible substances and wood creep into the unit separation with 2.4(L)×3.6(W)×2.4(H) m size after analyzing fire load for the use of the buildings. The fire load of the office compartment is indicated as 19 kg/m2. In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fire experiment with real combustible substances and with wood creep are shown as 2681.7 kW/m2 and 2453.8 kW/m2, in separate. The fire size shown through these positive fire experiment can secure prediction of the fire spread of the buildings in further, and reliability on prevention desig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건축물의 화재확대방지는 방화구획 설정을 통하여 인접 공간과 외부로의 화염의 확산을 억제를 통한 인명과 재산의 보호를위해 설계되며, 이러한 설계를 위해서는 단위 구획 내부의 화재모델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 용도분류에서 업무공간을 선정하여 이에 따른 실물화재 실험을 통하여 공학적 화재크기인 HRR[Heat Release Rate]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화재실험은 건축물의 용도별 화재하중을 분석하여 내부의 실제 가연물 및 목재 크립을 2.4(L)×3.6(W)×2.4(H) m의 단위구획 내부에 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업무시설의 화재하중은 19 kg/m2이며, 실험결과 실제 가연물을 배치한 화재실험은 2681.7 kW/m2, 목재크립을 배치한 화재실험은 2453.8 kW/m2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화재실험을 통해 나타낸 화재크기는 향후 건축물의 화재확대 예측 및 방지 설계 시 신뢰도를 확보시킬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건축물의 화재확대방지는 방화구획 설정을 통하여 인접 공간과 외부로의 화염의 확산을 억제를 통한 인명과 재산의 보호를위해 설계되며, 이러한 설계를 위해서는 단위 구획 내부의 화재모...

      건축물의 화재확대방지는 방화구획 설정을 통하여 인접 공간과 외부로의 화염의 확산을 억제를 통한 인명과 재산의 보호를위해 설계되며, 이러한 설계를 위해서는 단위 구획 내부의 화재모델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축물 용도분류에서 업무공간을 선정하여 이에 따른 실물화재 실험을 통하여 공학적 화재크기인 HRR[Heat Release Rate]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화재실험은 건축물의 용도별 화재하중을 분석하여 내부의 실제 가연물 및 목재 크립을 2.4(L)×3.6(W)×2.4(H) m의 단위구획 내부에 배치하여 진행하였다. 업무시설의 화재하중은 19 kg/m2이며, 실험결과 실제 가연물을 배치한 화재실험은 2681.7 kW/m2, 목재크립을 배치한 화재실험은 2453.8 kW/m2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화재실험을 통해 나타낸 화재크기는 향후 건축물의 화재확대 예측 및 방지 설계 시 신뢰도를 확보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흥열, "화재하중을 고려한 병원형 모듈러블럭의 화재거동 및 구조체 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1-30, 2009

      2 TSO, "The Building Regulations 2000: Approved Document B"

      3 James G. Quintiere, "Principles of Fire Behavior" Delmar Publishers 101-127, 1997

      4 Yoo, Y.H., "Development and of large cone calorimeter for the real scale fire test" 18-23, 2007

      5 Department of Building and Housing, "Compliance Document for New Zealand Building Code Fire Safety"

      6 Kim, W. H., "A Survey of Fuel Loads in Office Buildings" 11 (11): 37-45, 1997

      7 Kim, D.H.,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e Load by Building Occupancy" Konkuk University 2003

      1 김흥열, "화재하중을 고려한 병원형 모듈러블럭의 화재거동 및 구조체 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21-30, 2009

      2 TSO, "The Building Regulations 2000: Approved Document B"

      3 James G. Quintiere, "Principles of Fire Behavior" Delmar Publishers 101-127, 1997

      4 Yoo, Y.H., "Development and of large cone calorimeter for the real scale fire test" 18-23, 2007

      5 Department of Building and Housing, "Compliance Document for New Zealand Building Code Fire Safety"

      6 Kim, W. H., "A Survey of Fuel Loads in Office Buildings" 11 (11): 37-45, 1997

      7 Kim, D.H.,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e Load by Building Occupancy" Konkuk University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