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영남지역 지하수에서 대장균군의 분포 및 분리한 세균의 특성 =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liform Bacteria in Groundwater of Yeungnam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467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영남지역 지하수의 세균학적 수질을 평가하기 위해, 여름 123개 지점, 겨울 117개 지점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수하였다. 일반세균 수의 중앙간은 여름 30 CFU/ml, 겨울 40 CFU/m...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영남지역 지하수의 세균학적 수질을 평가하기 위해, 여름 123개 지점, 겨울 117개 지점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수하였다. 일반세균 수의 중앙간은 여름 30 CFU/ml, 겨울 40 CFU/ml이었고, 25% 이상의 조사지점에서 일반세균 수는 먹는물 수질기준 100 CFU/ml을 초과하였다. 전체 조사지점 중 여름 46%, 겨울 30%의 지점에서는 대장균군이 검출되었으며, 이들 지점에서 대장균군 수의 중앙간은 여름 20 CFU/ml, 겨울 4 CFU/ml로 여름이 겨울보다 높았다. 분리한 대장균군 세균은 Citrobacter속, Enterobacter속, Eschericitia속, Klebsiella속, Pantoea속, Rahnella속, 그리고 Serratia속으로 동정되었으며, Enterobacter속이 48%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다. 종별로는 E. cloacae, E. amnigenus, K. pneumoniae등이 빈도가 높게 분리되었으며, 반면 E. coli는 1개 조사지점에서만 분리되었다. 대장균군 수는 일반세균 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세균 수는 수온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하수에서 대장균군의 오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영남지역의 지하수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여전히 높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evaluat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in Yeungnam Province, samples were taken from 123 locations during summer and 117 locations during winter. The medians of heterotrophic plate counts.(HPCs) were 30 CFU/mL for the summer samples ...

      To evaluate bacteriological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in Yeungnam Province, samples were taken from 123 locations during summer and 117 locations during winter. The medians of heterotrophic plate counts.(HPCs) were 30 CFU/mL for the summer samples and 40 CFU/ml for the winter, and more than 25% showed HPCs higher than 100 CFU/ml.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from 46% of the summer samples and 30% of the winter. In these coliform-positive samples, the medians of coliform counts were 20 CFU/ml for the summer samples and 4 CFU/ml for the winter. Genera such as Citrobacter, Enterobacter, Escherichia, Klebsielia, Pantoea, Rahnellia, and Serratia were identified from the coliform isolates; among them, 48% were members of the genus Enterobacter. While E. cloacae, E. amnigenus, and K. pneumoniae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species, E. coli was isolated only from 1 location. The coliform cou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PCs, which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provide further insight on the ext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with coliform bacter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하수조사연보" 2002

      2 "지하수세균 군집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영향" 5 : 215-222, 1998

      3 "지하수 세균 군집의 유전적 다양성" 18 : 53-61, 2000

      4 "음용 지하수중에 분포하는 저영양세균의 계통학적 해석" 38 : 293-298, 2002

      5 "심층피압지하수에서 세균군집의분석에 의한 분변성 오염 평가" 35 : 47-52, 1999

      6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2000

      7 "북한강 수계 충적평야의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연구" 16 : 283-294, 2000

      8 "먹는물수질공정시험방법" 2002

      9 "their survivaland transport pattern to groundwater" Inc 65-86, 1984

      10 "Vulnerability ofdrinking-water wells in La Crosse to enteric-viruscontamination from surface water contributions" 70 : 5937-5946, 2004

      1 "지하수조사연보" 2002

      2 "지하수세균 군집에 미치는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영향" 5 : 215-222, 1998

      3 "지하수 세균 군집의 유전적 다양성" 18 : 53-61, 2000

      4 "음용 지하수중에 분포하는 저영양세균의 계통학적 해석" 38 : 293-298, 2002

      5 "심층피압지하수에서 세균군집의분석에 의한 분변성 오염 평가" 35 : 47-52, 1999

      6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2000

      7 "북한강 수계 충적평야의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 연구" 16 : 283-294, 2000

      8 "먹는물수질공정시험방법" 2002

      9 "their survivaland transport pattern to groundwater" Inc 65-86, 1984

      10 "Vulnerability ofdrinking-water wells in La Crosse to enteric-viruscontamination from surface water contributions" 70 : 5937-5946, 2004

      11 "The use of microorganismsas groundwater tracers" 142-149, 1982

      12 "The genetic diversity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groundwater by denaturinggradient gel electrophoresis" 41 : 327-334, 2003

      13 "Standard methods for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Health Association 1996

      14 "Preservation and survival ofE. coli in well water samples submitted for routine analysis." 2001

      15 "Natural protection ofspring and well drinking water against surface microbial contamination.I. Hydrogeological parameters" 23 : 143-178, 1997

      16 "Natural protection of springand well drinking water against surface microbial contamination Indicators and monitoring parameters for parasites" 23 : 179-206, 1997

      17 "Magnitude of pollutionindicator organisms in rural potable water" 744-749, 1979

      18 "Injuredcoliforms in drinking water" 51 : 1-5, 1986

      19 "Incidence of enteric viruses in groundwater from householdwells in Wisconsin" 69 : 1172-1180, 2003

      20 "Handbook of microbiologicalmedia" CRC press 1996

      21 "Enumerationof total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from source waterby the defined substrate technology" 366-369, 1990

      22 "Detection and identificationof groundwater bacteria capable of escaping entrapment on" 1991

      23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of filterable heterotrophic bacteria from rural groundwatersupplies" 32 : 268-272, 2001

      24 "Coliform bacteriaand waterborne disease outbreaks" 89 : 96-104, 1997

      25 "Bacterialinterference with coliform colony sheen production on membranefilters" 56-60, 1984

      26 "Bacterial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upplies in a modern rural neighborhood" 39 : 734-738, 1980

      27 "2004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6 0.24 0.48 0.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