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 안병무가 바라본 서구신학의 빛과 그림자 = Licht und Schatten der westlichen Theologie beim frühen Ahn Byung-M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23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심원 안병무(心園 安炳皮, 1922. 6. 23~1996. 10. 19)의 민중신학 형성의 사상적 동기와 발생과정의 해명을 구체적인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안병무의 전 시기에서 1952년부터 1965년...

      이 연구는 심원 안병무(心園 安炳皮, 1922. 6. 23~1996. 10. 19)의 민중신학 형성의 사상적 동기와 발생과정의 해명을 구체적인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안병무의 전 시기에서 1952년부터 1965년까지의 시기를 그의 사상의 초기 시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에 있어서 그의 사상적 변화를 추적한다. 안병무의 민중신학은 반신학의 성격을 지닌다. 그 성격의 뿌리에는 서구신학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한 한계와 비판이 매복되어 있다. 이 연구는 안병무의 초기 사상의 시기에 그 자신이 서구신학과 교화를 어떻게 이해하였고 비판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안병무가 지적한 서구신학과 서구교회의 그림자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1) 국가 권력과 결탁된 기독교 교회 2) 그레꼬로만 사유로 변질된 기독교 신학이다. 이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그가 바라보았던 서구신학에 대한 4가지 문제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안병무가 1956년 독일로 떠났을 때 가졌던 분명한 목적, 즉 예수를 학문적으로 밝히는 과제와 구라파 교회의 실력을 가늠하는 과제가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발생사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안병무의 민중신학의 사유 형성과 발전에 초기 안병무(1951-1965)의 서구신학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기여되는지를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hn Byung-Mus (23.6.1922-19.10.1996) Minjung-Theologie kann als Anti-Theologie bezeichnet werden. Er studierte von 1956 bis 1965 Theologie in Heidelberg und promovierte zum Thema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 Obwohl er in ...

      Ahn Byung-Mus (23.6.1922-19.10.1996) Minjung-Theologie kann als Anti-Theologie bezeichnet werden. Er studierte von 1956 bis 1965 Theologie in Heidelberg und promovierte zum Thema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 Obwohl er in Europa Theologie studierte, ist Ahn sehr skeptisch gegenüber westliche Theologie, weshalb Ahn Byung Mus Minjung-Theologie als Kritik an der westlichen Theologie gesehen werden kann. Nach Ahn Byung Mus Ansicht liegt die große Differenz zwischen westlicher Theologie und Minjung-Theologie in ihrem unterschiedlichen Verständnis von der Aufgabe der Theologie. Seine Kritik an westlicher Theologie zielt daher auf die wahre Suche nach Bedeutung und Ursprung der Theologie. Für Ahn Byung-Mu liegt eine Aufgabe der Theologie in der kritischen Rekonstruktion der Wirklichkeit im Hinblick auf die biblisch-christliche Uberlieferung. Er sieht eine Schwäche der westlichen Theologie darin, dass sie durch griechisch-römisches Denken verschlechtert wurde. Aus diesem Verständnis heraus erwächst als ein zentrales Anliegen in Ahn Byung-Mus früher Minjung-Theologie der Wunsch, eine Anti-Theologie zu entwickeln. Der vorliegende Aufsatz hat zum Ziel, Licht und Schatten der west1ichen Theologie in der Wahrnehmug des frühen Ahn ByungMu im Hinblick auf seine Erfahrungen mit der Theologie in Europa zu untersuchen. Dadurch so11 diese Untersuchung Klarheit darüber schaffen, wie Ahn Byung Mus gedankliche Entwicklung der Minjung-Theologie bereits-in seiner frühen Zeit (1951-1965) grundgelegt w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는 말 2. 초기 안병무가 바라본 서구신학과 교회 3. 서구신학의 그림자 4. 나가는 말
      • 1. 들어가는 말 2. 초기 안병무가 바라본 서구신학과 교회 3. 서구신학의 그림자 4. 나가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무, "한국적 그리스도인상의 모색 in 1980년대 한국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457-478, 1990

      2 안병무, "하이델베르크대학" 8 (8): 216-220, 1960

      3 안병무, "하이데거와 만난 날" (73) : 69-74, 1976

      4 안병무, "하나님의 아들됨의 비의" 2 (2): 10-17, 1958

      5 안병무, "증언: 8·15 전후 나의 간도 체험" 한길사 (24) : 80-108, 1990

      6 안병무, "장공(長空) 선생" 한신대 신학대학원 124 : 9-11, 1991

      7 안드레아스 호프만 리히터, "안병무의 “사건” 개념” in 예수 민중 민족 - 안병무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한국신학연구소 753-780, 1992

      8 김남일, "안병무 평전 - 성문 밖에서 예수를 말하다" 사계절 2007

      9 정양모, "심원 안병무 선생 회고 - 심원 선생을 기린다" 2010

      10 안병무, "성숙한 인간" (8) : 1970

      1 안병무, "한국적 그리스도인상의 모색 in 1980년대 한국민중신학의 전개" 한국신학연구소 457-478, 1990

      2 안병무, "하이델베르크대학" 8 (8): 216-220, 1960

      3 안병무, "하이데거와 만난 날" (73) : 69-74, 1976

      4 안병무, "하나님의 아들됨의 비의" 2 (2): 10-17, 1958

      5 안병무, "증언: 8·15 전후 나의 간도 체험" 한길사 (24) : 80-108, 1990

      6 안병무, "장공(長空) 선생" 한신대 신학대학원 124 : 9-11, 1991

      7 안드레아스 호프만 리히터, "안병무의 “사건” 개념” in 예수 민중 민족 - 안병무 박사 고희 기념 논문집" 한국신학연구소 753-780, 1992

      8 김남일, "안병무 평전 - 성문 밖에서 예수를 말하다" 사계절 2007

      9 정양모, "심원 안병무 선생 회고 - 심원 선생을 기린다" 2010

      10 안병무, "성숙한 인간" (8) : 1970

      11 안병무, "서양사람, 한국사람" 7 (7): 222-237, 1959

      12 안병무, "삶에서 형성된 학문과정 - 민중신학에 이르기까지" 철학과 현실사 3 : 227-246, 1989

      13 안병무, "비노바와 부단운동" 7 (7): 276-280, 1959

      14 안병무, "민중신학을 말한다" 한길사 1993

      15 안병무, "민중신학 이야기" 한국신학연구소 1990

      16 폴커 퀴스터, "마가복음의 예수와 민중" 한국신학연구소 2006

      17 안병무, "동양의 한 시각에서 본 서구신학 비판 in 기독교의 개혁을 위한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86-93, 1999

      18 안병무, "독일교회의 문제점" 8 (8): 60-63, 1964

      19 안병무, "독일 국민성과 부흥" 9 (9): 70-78, 1961

      20 안병무, "나의 젊음의 정열을 품어낸 章 in한국잡지 1백주년 기념총서 잡지예찬" 사단법인 한국잡지협회 511-516, 1996

      21 안병무, "기독교의 개혁을 위한 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999

      22 안병무, "그리스도와 국가권력 in 안병무 저작선집 II" 심원 안병무 선생 기념사업위원회 2006

      23 안병무, "그리스도교와 국가권력" (41) : 9-16, 1975

      24 안병무, "구라파에서 본 조국" 7 (7): 114-128, 1959

      25 안병무, "공관복음서의 주제" 한국신학연구소 1996

      26 안병무, "韓國神學의 可能性: 성서신학에서의 可能한 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4) : 1967

      27 Ahn Byung Mu,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 Heidelberg Universität 1965

      28 안병무, "4·19혁명과 민주주의의 갈망(1960. 5 [프랑크푸르트강연]) in 평론 in 한국 민족 운동과 통일" 한국신학연구소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THEOLOGICAL THOUGH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신학사상
      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6 0.6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