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상중, "혼성화 사회를 찾아서-내셔널리즘의 저편으로" 삼인 (10) : 207-228, 2000
2 이경무, "한국어와 한국사상" 새한철학회 1 (1): 329-348, 2005
3 김미영, "한국'문학에서 한국'문학'으로 -한국문학의 지방성 극복 문제에 관한 제언" 한국현대문학회 (14) : 471-494, 2003
4 김미영, "창래 리의 ≪가족(Aloft)≫(2004) 연구" 국제어문학회 (35) : 331-356, 2005
5 이창래, "제스처 라이프 2" 랜덤하우스중앙 2005
6 이창래, "제스처 라이프 1" 랜덤하우스중앙 2005
7 장경렬, "정체성의 위기, 언어의 안과 밖에서-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읽기" 280-300, 2002
8 박경수, "일어시의 민족 정체성" 21 : 213-266, 2001
9 고부응, "이창래의 <원어민>-비어있는 기표의 정체성" 48 (48): 619-638, 2002
10 김미영, "이창래 小說에 재현된 韓國女性과 韓國文化"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29-250, 2006
1 강상중, "혼성화 사회를 찾아서-내셔널리즘의 저편으로" 삼인 (10) : 207-228, 2000
2 이경무, "한국어와 한국사상" 새한철학회 1 (1): 329-348, 2005
3 김미영, "한국'문학에서 한국'문학'으로 -한국문학의 지방성 극복 문제에 관한 제언" 한국현대문학회 (14) : 471-494, 2003
4 김미영, "창래 리의 ≪가족(Aloft)≫(2004) 연구" 국제어문학회 (35) : 331-356, 2005
5 이창래, "제스처 라이프 2" 랜덤하우스중앙 2005
6 이창래, "제스처 라이프 1" 랜덤하우스중앙 2005
7 장경렬, "정체성의 위기, 언어의 안과 밖에서-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 읽기" 280-300, 2002
8 박경수, "일어시의 민족 정체성" 21 : 213-266, 2001
9 고부응, "이창래의 <원어민>-비어있는 기표의 정체성" 48 (48): 619-638, 2002
10 김미영, "이창래 小說에 재현된 韓國女性과 韓國文化"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29-250, 2006
11 권택영, "응시로서의 <제스처 인생>-이창래와 라캉의 다문화적 윤리" 48 (48): 243-261, 2002
12 이창래, "영원한 이방인" 나무와 숲 2003
13 폴 리꾀르, "시간과 이야기 3" 문학과 지성사 2004
14 루카치,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85
15 최원식, "민족문학과 디아스포라-해외동포작품을 읽고" (119) : 19-39, 2003
16 유선모, "미국 소수민족문학의 이해 : 한국편" 신아사 2001
17 구은숙, "문화/인간 엿보기-<네이티브 스피커>에 나타난 인생 스파이로서의 작가" 7 (7): 47-63, 2000
18 서경식, "디아스포라 기행" 돌베개 2006
19 박수정, "누가 ‘네이티브 스피커’인가? - 이창래의 <네이티브 스피커>에 나타난 인종과 언어의 관계" 22 : 111-131, 2004
20 서경식, "난민과 국민 사이" 돌베개 2006
21 이창래, "가족 2" 랜덤하우스중앙 2005
22 이창래, "가족 1" 랜덤하우스중앙 2005
23 Chang-rae Lee, "Native Speaker" New York:Penguin Putnam Inc. 1995
24 Chang-rae Lee, "Aloft" New York:Penguin Group Inc. 2004
25 Chang-rae Lee, "A Gesture Life" New York:Penguin Group Inc. 2004
26 김미영, "<제스처 라이프>에 나타난 숭고미의 교육적 가치" 국어국문학회 141 : 429-458, 2005
27 왕철, "<네이티브 스피커>에서 엿보기의 의미" (3) : 23-39, 1996
28 김미영, "<네이티브 스피커>를 통해 본 우리시대 본격소설의 가능성" 403-43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