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을 떠나는 여성-청년들 : 경계를 넘는 초국가적 이동 주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1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국을 떠난 여성-청년들의 이주 배경 및 이동 과정에서의 몸 경험에 주목한다. ‘탈조선’ 담론은 2010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이는 주로 ‘청...

      이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국을 떠난 여성-청년들의 이주 배경 및 이동 과정에서의 몸 경험에 주목한다. ‘탈조선’ 담론은 2010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이는 주로 ‘청년’이라는 집단으로 묶어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는 다양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시도 중 하나로,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 재부상의 맥락 속 하나의 저항 양식으로서 여성-청년들의 이주를 이해하고자 한다. 여성-청년들은 기존의 청년 담론이 다뤘던 논의 외에도 일상적인 성차별, 특히 몸을 둘러싼 위험과 제약에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들은 이주 후 다른 공간적 경험을 하면서 젠더화된 규범에서 일정 부분 벗어나고, 타자와의 조우 속에서 관계 맺기에 변화를 겪기도 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동양인 여성’이라는 기호로 인해 새로운 종류의 차별을 경험하는데, 이에 대한 무시나 회피, 정정 요청 및 협상하기 등의 다양한 대응을 살필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청년들이 인종주의에 기반을 둔 구별짓기를 하거나 ‘동양인 여성’이라는 기호를 활용하는 모순 역시 포착하였다. 이주 후 여성-청년들은 미디어를 중심으로 구축된 목적지에 대한 환상이 일정 부분 좌절되어도 이를 다시 해석하고 자신의 전략을 수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이들 대부분은 현실적인 제도의 문제를 우려하면서도 지속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계획이 있었다. 여성-청년들은 이주 후 예상치 못한 난관과 딜레마에 봉착하면서도 한국에서 오히려 불가능하게 다가왔던 계층 상승이나 더 나은 삶이 글로벌 스케일에서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목적지에서 자기 삶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hich employed in-depth interviews as its main methodology,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migration and body experiences behind the movement of female-youths who have left Korea. Although the discourse on ‘Tal-Joseon’, a Korean expressi...

      This study, which employed in-depth interviews as its main methodology,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migration and body experiences behind the movement of female-youths who have left Korea. Although the discourse on ‘Tal-Joseon’, a Korean expression meaning fleeing Korea, has been researched since the mid-2010s, most of them mainly focused on ‘youth’ as a whole. On the contrary to tha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ose the voices of various young people, particularly with the aim of it being understanding the migration decision made by female youths as a form of resistance in the context of the re-emergence of feminism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s that pre-existing youth discourse dealt with, female youths were also conscious of problems regarding gender discrimination in daily life, with the risks and constraints surrounding their bodies as the most weighted subjects. After migration, as female-youths had different spatial experiences, they partly departed from gender-based norms, and went through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experienced a new kind of discrimination stemmed from the ‘Asian Woman’ categorization. Their responses varied in their encounters with it, with some of them ignoring or avoiding, and others attempting to make negotiation or correction. In analyzing these responses, contradictory actions of the female-youths were found, such as making racism-based distinctions themselves, or strategically taking advantage of the ‘Asian Woman’ image. After the migration, even if the pre-constructed, media-inspired fantasies about their destinations were mostly destructed, female-youths would respond by reinterpreting their situations and revising their strategies. For example, even though most of the female-youths were concerned about the realistic institutional issues, they would still continue to plan for their next trip. Female youths, while facing unexpected difficulties and dilemma after the migration, were nevertheless believing that upward mobility in social class and a better life were possible in somewhere outside Korea. The migrated female-youths, after all, were reconstructing their life as a whole at their destination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며
      • 2. 논의의 배경
      • 3. 연구설계
      • 4. 이동하는 몸
      • 5. 초국가적 이동 주체 되기
      • 1. 들어가며
      • 2. 논의의 배경
      • 3. 연구설계
      • 4. 이동하는 몸
      • 5. 초국가적 이동 주체 되기
      • 6.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eevak, M, "황인종의 탄생: 인종적 사유의 역사" 현암사 2016

      2 장강명, "한국이 싫어서" 민음사 2015

      3 조장은, "한국 여성 교육 이주자들의 친밀성의 재구성과 정서적 취약성: 글로벌 도시 런던의 사례를 중심으로 (2000-2016)" 평화연구소 7 (7): 75-108, 2020

      4 임지연, "한국 사회의 규범화된 몸 비판과 인정이론적 전환 모색" 아시아문화연구소 52 : 97-125, 2020

      5 김보명, "페미니즘의 재부상, 그 경로와 특징들" 비판사회학회 (118) : 100-138, 2018

      6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14-47, 2015

      7 전의령, "타자의 본질화 안에서의 우연한 연대: 한국의 반다문화와 난민반대의 젠더정치" 비판사회학회 (125) : 360-401, 2020

      8 김연희, "초국적 삶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전환경험과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역할: 중국출신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6 (56): 107-153, 2017

      9 김상민, "청년이라는 난민" 95-113, 2016

      10 BBC 코리아, "차별금지법 생기면… 정말 표현의 자유가 침해될까?"

      1 Keevak, M, "황인종의 탄생: 인종적 사유의 역사" 현암사 2016

      2 장강명, "한국이 싫어서" 민음사 2015

      3 조장은, "한국 여성 교육 이주자들의 친밀성의 재구성과 정서적 취약성: 글로벌 도시 런던의 사례를 중심으로 (2000-2016)" 평화연구소 7 (7): 75-108, 2020

      4 임지연, "한국 사회의 규범화된 몸 비판과 인정이론적 전환 모색" 아시아문화연구소 52 : 97-125, 2020

      5 김보명, "페미니즘의 재부상, 그 경로와 특징들" 비판사회학회 (118) : 100-138, 2018

      6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14-47, 2015

      7 전의령, "타자의 본질화 안에서의 우연한 연대: 한국의 반다문화와 난민반대의 젠더정치" 비판사회학회 (125) : 360-401, 2020

      8 김연희, "초국적 삶의 주체로서 결혼이주여성의 전환경험과 미디어 행위자네트워크의 역할: 중국출신여성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원 56 (56): 107-153, 2017

      9 김상민, "청년이라는 난민" 95-113, 2016

      10 BBC 코리아, "차별금지법 생기면… 정말 표현의 자유가 침해될까?"

      11 손인서, "중국동포 돌봄노동자의 경력이동: 연령화·인종화된 인식과 이주민 불평등" 비판사회학회 (128) : 312-344, 2020

      12 김은실, "조선족 사회의 위기 담론과 여성의 이주 경험 간의 성별 정치학" 한국여성연구원 23 (23): 35-72, 2006

      13 홍지아,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 경향, 동아, 조선, 한겨레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644-678, 2010

      14 Penttinen, E., "젠더와 모빌리티"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15 McDowell, L,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 2010

      16 보건복지부, "정세균 국무총리, 제3차 자살예방정책위원회 주재"

      17 이현재, "장소로서의 몸과 비환원적 물질성" 대한철학회 110 : 123-145, 2009

      18 채석진, "잔혹한 희망: 디지털 페미니즘의 정동" 언론정보연구소 55 (55): 87-119, 2018

      19 차윤정, "일기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로컬리티" 부경역사연구소 (40) : 257-288, 2017

      20 Castels, S, "이주의 시대" 일조각 2013

      21 송형주, "이주여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유형화와 정부대응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2 (52): 191-231, 2014

      22 정현주,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한지리학회 43 (43): 894-913, 2008

      23 한겨레, "응급실서 확인한 ‘조용한 학살 ’…20대 여성 자살 시도 34% 늘었다"

      24 Said, E. W,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0

      25 이현재, "여성의 이주, 다층적 스케일의 장소 열기 그리고 정체성 저글링" 한국여성문학학회 22 (22): 7-36, 2009

      26 허라금, "여성 이주 노동의 맥락에서 본 보살핌의 상품화"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9 (19): 231-264, 2008

      27 Foucault, M, "안전, 영토, 인구" 난장 2011

      28 김현미, "식민권력과 섹슈얼리티:19세기 서구 여성의 여행기에 나타난 담론들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9 (9): 175-210, 2003

      29 이상길,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부르디외 사유의 지평" 그린비 477-538, 2015

      30 동아일보, "성인남녀 10명중 7명 “기회 된다면 이민 가고 싶다”"

      31 Collins, P. H., "상호교차성" 부산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32 Valentine, G, "사회지리학" 논형 2009

      33 김영철, "브라질의 인종 아비투스와 상징적 폭력"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7 (7): 5-25, 2010

      34 나미수, "미디어 연구를 위한 질적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35 Urry, J, "모빌리티" 아카넷 2014

      36 일다, "독일 사회에서 길거리 성추행의 정치학"

      37 박인권, "도시의 사회적 약자 불안정화 과정 : 불안계급 이론의 비판과 확장" 한국공간환경학회 27 (27): 36-78, 2017

      38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 (50): 289-303, 2015

      39 Bourdieu, P,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下" 새물결 2005

      40 홍찬숙, "교차성 논의의 이론화 및 방법론적 쟁점: 사회학적 수용 및 유럽에서의 수용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12 (12): 7-39, 2019

      41 Appadurai, A, "고삐 풀린 현대성" 현실문화연구 2004

      42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2 (42): 36-71, 2008

      43 김현미, "결혼이주 여성의 가정(Home) 만들기: 문화 접경지대 번역자로서의 이주여성"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145-174, 2010

      44 Foucault, M,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 나남 2016

      45 Calás, M. B., "“Woman” on the move: Mobile subjectivities after intersectionality" 32 (32): 708-731, 2013

      46 김선기,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 2010년 이후 청년세대담론에 관한 비판적 분석"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4 (24): 5-68, 2016

      47 정성조, "‘청년 세대’ 담론의 비판적 재구성: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23) : 12-39, 2019

      48 한겨레, "‘조용한 학살’, 20대 여성들은 왜 점점 더 많이 목숨을 끊나"

      49 황정미, "‘이주의 여성화’ 현상과 한국 내 결혼이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여성연구소 9 (9): 1-37, 2009

      50 Kõu, A., "‘Movement is a constant feature in my life’: Contextualising migration processes of highly skilled Indians" 52 : 113-122, 2014

      51 Kim, Y., "Women, Television and Everyday Life in Korea: Journeys of Hope" Routledge 2005

      52 Levina, M., "Whiteness and the Joys of Cruelty" 15 (15): 73-78, 2018

      53 Marcu, S., "Uneven mobility experiences: Life-strategy expectations among Eastern European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UK and Spain" 58 : 68-75, 2015

      54 Kobayashi, A., "Transnationalism through the life course:Hong Kong immigrants in Canada" 48 (48): 151-167, 2007

      55 Kim, Y., "Transnational migration, media and identity of Asian women : diasporic daughters" Routledge 2011

      56 Ferguson, K. E., "The Man Question: Visions of Subjectivity in Feminist The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57 Young, I. M., "On female body experience: “Throwing Like a Girl” and other essay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8 Oleinikova, O, "Migrants’ life strategies and opportunity structures: Focus on postindependence Ukrainian labour migrants" 5 (5): 323-348, 2015

      59 Puar, J. K., "I would rather be a cyborg than a goddess: becomingintersectional in assemblage theory" 2 (2): 49-66, 2012

      60 Studemeyer, C. C., "Geographies of flexible citizenship" 9 (9): 565-576, 2015

      61 Timmerman, C., "Gender and Migration: A Gender-sensitive Approach to Migration Dynamics Vol. 3" Leuven University Press 2018

      6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Gender Wage Gap"

      63 Ong, A., "Flexible citizenship: The cultural logics of transnationality" Duke University Press 1999

      64 Simic, A., "Feeling safe and secure from gender-based violence: Highly educated, middle-class Indian women migrants’ gendered understandings of integration in the UK" 22 (22): 69-86, 2019

      65 Crenshow, K.,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139-167, 1989

      66 Fujita, Y., "Cultural migrants from Japan: Youth, media, and migration In New York and London" Lexington Books 2009

      67 Immigration and Naturalisation Service, "Basic Civic Integration Examination Abroad"

      68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2019년 서울시 성인지 통계 - 통계로 보는 서울여성"

      69 Sassen, S, "(사스키아 사센의) 세계경제와 도시" 푸른길 2016

      70 윤택림,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아르케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Women'S Communication Association -> Korean Women's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4 2.562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