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교회주의 신앙과 구원관 = 우치무라 간조와 양명학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95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무교회주의자의 신앙과 구원관에 있어서 양명학(陽明學)적 사유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글이다. 오늘날 한국 무교회주의를 대표하는 김교신과 함석헌의 정신은 한국사회와 기독교에 필요한 배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함석헌이 한국사회에 끼친 영향과 현재적 의미를 살펴본 후, 그의 사상적 토대의 한 부분을 공유하는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십자가 중심의 무교회 신앙을 확인하고, 그의 언설 가운데 양명학과의 사상적 유사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구원의 입장에 있어서 무교회주의자로 불리는 이른바, 우치무라 간조, 함석헌, 김교신 등은 ‘만인구원론"의 입장에 서 있음을 확인할 있다. 이들의 세계구원, 만인구원적 신앙의 입장은 양명학의 ‘친민(親民)’ ‘만가성인(滿街聖人)’ ‘천지만물일체(天地萬物一體)’의 사상과 닮아 있다고 여겨진다. 한국사회와 기독교가 개인구원 차원과 교파적 이기주의와 물질중심의 현세주의에 치우치는 모습 속에서 우치무라 간조·함석헌이 지녔던 양명학적·무교회주의적 정신의 배움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무교회주의자의 신앙과 구원관에 있어서 양명학(陽明學)적 사유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글이다. 오늘날 한국 무교회주의를 대표하는 김교신과 함석헌의 정신은 한국사회와 기독교...

      본 논문은 무교회주의자의 신앙과 구원관에 있어서 양명학(陽明學)적 사유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글이다. 오늘날 한국 무교회주의를 대표하는 김교신과 함석헌의 정신은 한국사회와 기독교에 필요한 배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함석헌이 한국사회에 끼친 영향과 현재적 의미를 살펴본 후, 그의 사상적 토대의 한 부분을 공유하는 우치무라 간조(內村鑑三)의 십자가 중심의 무교회 신앙을 확인하고, 그의 언설 가운데 양명학과의 사상적 유사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구원의 입장에 있어서 무교회주의자로 불리는 이른바, 우치무라 간조, 함석헌, 김교신 등은 ‘만인구원론"의 입장에 서 있음을 확인할 있다. 이들의 세계구원, 만인구원적 신앙의 입장은 양명학의 ‘친민(親民)’ ‘만가성인(滿街聖人)’ ‘천지만물일체(天地萬物一體)’의 사상과 닮아 있다고 여겨진다. 한국사회와 기독교가 개인구원 차원과 교파적 이기주의와 물질중심의 현세주의에 치우치는 모습 속에서 우치무라 간조·함석헌이 지녔던 양명학적·무교회주의적 정신의 배움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levance of Yang-ming studies in non-church Christianity and Salvation. Our goals are to identify the center of the Uchimura Kanz? Non-church Christianity faith and review its ideological similarities to Yang-ming’s studies and writings.
      In particular, those in the so-called Non-church Christianity’s position of salvation, such as Uchimura Kanz?, Ham Seok-heon, Kim Kyo-shin, etc., can be seen from the standpoint of Universalism. Universalism resembles the ideas in Yang-ming studies that love is for the people, everyone is sage, and unity exists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oday, many churches tend to show bias for the individual salvation and denominational self-interest, which is the material center of secularism. Therefore,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and Non-church Christianity are acutely necessary.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levance of Yang-ming studies in non-church Christianity and Salvation. Our goals are to identify the center of the Uchimura Kanz? Non-church Christianity faith and review its ideological similarities to Yang-ming’s st...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levance of Yang-ming studies in non-church Christianity and Salvation. Our goals are to identify the center of the Uchimura Kanz? Non-church Christianity faith and review its ideological similarities to Yang-ming’s studies and writings.
      In particular, those in the so-called Non-church Christianity’s position of salvation, such as Uchimura Kanz?, Ham Seok-heon, Kim Kyo-shin, etc., can be seen from the standpoint of Universalism. Universalism resembles the ideas in Yang-ming studies that love is for the people, everyone is sage, and unity exists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Today, many churches tend to show bias for the individual salvation and denominational self-interest, which is the material center of secularism. Therefore, the spirit of Yang-ming studies and Non-church Christianity are acutely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서론
      • 제1장 우치무라 간조의 무교회주의
      • 제2장 우치무라 간조의 양명학 이해와 사상적 연관성
      • 제3장 우치무라 간조의 세계주의와 만물일체
      • 국문초록
      • 서론
      • 제1장 우치무라 간조의 무교회주의
      • 제2장 우치무라 간조의 양명학 이해와 사상적 연관성
      • 제3장 우치무라 간조의 세계주의와 만물일체
      •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명식, "함석헌 다시 읽기" 인간과 자연사 8-, 2002

      2 함석헌, "죽어도 죽지 않는다" 평범서당 30-31, 1982

      3 최재목, "왕양명의 삶과 사상: 내 마음이 등불이다" 이학사 270-271, 2003

      4 이은선, "왕양명의 ‘良知’와 함석헌의 ‘씨알’, 생물권정치학 시대를 위한 존재사건" 한국양명학회 (35) : 5-48, 2013

      5 최재목, "생각과 실천2 함석헌의 비교사상적 조명" 한길사 59-60, 2012

      6 김교신, "김교신전집2" 부키 149-150, 2001

      7 김교신, "김교신전집1" 부키 182-, 2001

      8 山下竜二, "陽明学の研究(成立編)" 現代情報社 88-89, 1971

      9 김정곤, "陽明学" 韓国陽明学 315-360, 2013

      10 隅谷三喜男, "近代日本の形成とキリスト教" 新教出版社 16-28, 1961

      1 노명식, "함석헌 다시 읽기" 인간과 자연사 8-, 2002

      2 함석헌, "죽어도 죽지 않는다" 평범서당 30-31, 1982

      3 최재목, "왕양명의 삶과 사상: 내 마음이 등불이다" 이학사 270-271, 2003

      4 이은선, "왕양명의 ‘良知’와 함석헌의 ‘씨알’, 생물권정치학 시대를 위한 존재사건" 한국양명학회 (35) : 5-48, 2013

      5 최재목, "생각과 실천2 함석헌의 비교사상적 조명" 한길사 59-60, 2012

      6 김교신, "김교신전집2" 부키 149-150, 2001

      7 김교신, "김교신전집1" 부키 182-, 2001

      8 山下竜二, "陽明学の研究(成立編)" 現代情報社 88-89, 1971

      9 김정곤, "陽明学" 韓国陽明学 315-360, 2013

      10 隅谷三喜男, "近代日本の形成とキリスト教" 新教出版社 16-28, 1961

      11 崔在穆, "日本思想史講座3-近世" ぺりかん社 284-285, 2012

      12 内村鑑三, "基督信徒のなぐさめ" 岩波書店 51-, 1976

      13 함석헌, "咸錫憲全集 4권" 한길사 23-24, 1983

      14 함석헌, "咸錫憲全集 20권" 한길사 242-249, 1987

      15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7卷" 岩波書店 467-468, 1981

      16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32卷" 岩波書店 331-, 1983

      17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32卷" 岩波書店 347-, 1983

      18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31卷" 岩波書店 132-133, 1983

      19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31卷" 岩波書店 144-145, 1983

      20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30卷" 岩波書店 81-, 1982

      21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30卷" 岩波書店 170-177, 1982

      22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2卷" 岩波書店 363-, 1980

      23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27卷" 岩波書店 43-, 1983

      24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26卷" 岩波書店 3-4, 1982

      25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22卷" 岩波書店 161-162, 1982

      26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1卷" 岩波書店 209-, 1981

      27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16卷" 岩波書店 490-, 1982

      28 内村鑑三, "内村鑑三全集 12卷" 岩波書店 43-, 1981

      29 鈴木俊郎訳, "余は如何にして基督信徒となりし乎" 岩波書店 163-, 1958

      30 鈴木範久, "代表的日本人" 岩波書店 11-, 1995

      31 이은선, "仁의 사도 함석헌 사상의 유교적 뿌리에 대하여" 한국양명학회 (33) : 291-330, 2012

      32 内村鑑三, "『内村鑑三著作集』 7卷" 岩波書店 67-, 195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Japanology in East Asia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panese Cultural Syudies -> Japanese Cultural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6 0.486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