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일본 도시공원의 면적 산정에 대한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20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공원녹지정책에서는 인구당 원단위 기준을 적용한 1인당 공원면적 6㎡/인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게다가 2013년 수립된 국토해양부 지침에 따라 12.5㎡/인이라는 지표가 모든 기...

      우리나라의 공원녹지정책에서는 인구당 원단위 기준을 적용한 1인당 공원면적 6㎡/인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게다가 2013년 수립된 국토해양부 지침에 따라 12.5㎡/인이라는 지표가 모든 기초자치단체에 일괄 적용되면서 지자체의 부담은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1인당 도시공원 면적의 적정성에 대한 의문과 논의는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고 있으나, 이러한 논의와 달리 정책적인 변화는 없다. 실제로 해외 도시의 공원 조성 면적에 대한 정확한 자료와 공원 조성 면적 관련 정책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1인당 도시공원 면적 산정기준의 배경과 흐름을 파악하고 미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공원 확충 정책의 흐름과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원 조성목표의 경우 일관된 수치보다는 자치체가 자기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목표를 수립하도록 열린 목표치를 설정한다. 2) 공원계획의 대상은 도시공원뿐만 아니라 녹지, 하천, 운동장, 도립공원, 옥상과 벽면녹화 등을 포함시켜 도시의 질적 제고를 지향하고 있다. 3) 공원정책에 있어 양적 확충보다는 공원서비스 개선, 주민 참여를 통한 질적 개선에 대하여 정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
      구에서는 도시의 특성을 고려한 자율적인 공원면적 확충 목표 설정, 목표 대상에 녹지, 하천 등의 다양한 녹지자원 포함, 공원의 질적 서비스 향상을 위한 주민 참여와 만족도 조사가 실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 the goal of urban park policies is obsessively set to meet 6㎡ park area/person, But since 2013, a new guideline of 12.5㎡ park area/person i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s the new guideline is applied to...

      In Korea, the goal of urban park policies is obsessively set to meet 6㎡ park area/person, But since 2013, a new guideline of 12.5㎡ park area/person i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As the new guideline is applied to all primary local authorities, the burden of local authorities is being increased. While the question related to the minimum park area per person has been consistently raised,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minimum. In practice, correct materials on park creation area and park area used for park-related policies in other cities around the world. Focusing on the cases in U.S. and Japan, case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to find out the international trends related to the minimum park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setting park creation goal, open target values are set such that local authorities establish goals in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instead of monolithic values. 2) The target of park project includes green belt, river, playground, provincial park, rooftop and green wall, so that quality enhancement of cities is aimed. 3) Park policies are focused on qualitative enhancement rather than quantitative expansion, through park service improvement and resident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suggestions, it is suggested that flexible park creation goal should be set in consideration of urban characteristics - a variety of green resources, such as greenbelt and river should be added to quantify minimum per capita park area, Residen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urveys should also be performed in order to enhance qualitative measure of park ser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1인당 도시공원 면적 산정의 근거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1인당 도시공원 면적 산정의 근거
      • 4. 미국과 일본의 도시공원 면적과 관련정책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구원, "한국과 일본 녹지체계의 발전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59-78, 2006

      2 신익순, "한국과 미국의 조경관련조례의 비교분석" 28 (28): 26-38, 2000

      3 이양주, "지역맞춤형 도시공원 조성과 관리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4

      4 이명우, "조경법규" 기문당 2011

      5 국토해양부, "저탄소 녹색성장형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운영 전략 정책연구:해외도시공원 정책사례집"

      6 강명수, "일본의 최신 녹지정책- 도시녹지법과 도시공원법을 대상으로" 33 (33): 122-129, 2005

      7 김현, "일본 국영공원 관리 특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1-17, 2012

      8 오젓현, "우리나라 도시공원 정책의 문제점" 41 (41): 33-46, 2006

      9 김수봉, "외국의 도시공원 정책" 41 (41): 47-59, 2006

      10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북미 공원녹지 조성 사례조사 해외출장보고서: 미국뉴욕 공원녹지 조성 운영사례" 2006

      1 박구원, "한국과 일본 녹지체계의 발전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4 (34): 59-78, 2006

      2 신익순, "한국과 미국의 조경관련조례의 비교분석" 28 (28): 26-38, 2000

      3 이양주, "지역맞춤형 도시공원 조성과 관리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4

      4 이명우, "조경법규" 기문당 2011

      5 국토해양부, "저탄소 녹색성장형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운영 전략 정책연구:해외도시공원 정책사례집"

      6 강명수, "일본의 최신 녹지정책- 도시녹지법과 도시공원법을 대상으로" 33 (33): 122-129, 2005

      7 김현, "일본 국영공원 관리 특성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5 (15): 1-17, 2012

      8 오젓현, "우리나라 도시공원 정책의 문제점" 41 (41): 33-46, 2006

      9 김수봉, "외국의 도시공원 정책" 41 (41): 47-59, 2006

      10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북미 공원녹지 조성 사례조사 해외출장보고서: 미국뉴욕 공원녹지 조성 운영사례" 2006

      11 이동근, "도시녹지공간의 양적 목표치 설정방법에 관한 연구-수원시를 사례로" 24 (24): 158-170, 1998

      12 박기남, "도시공원녹지 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도시공원녹지 면적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7

      13 송태갑, "도시공원, 녹지에 관한 제도와 정책의 전개과정에 관한 한일비교 연구" 12 (12): 33-43, 1994

      14 김효정, "도시공원 특성에 따른 적정 관리방식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15 박문호,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의 효과" 41 (41): 22-32, 2006

      16 김현숙, "도시계획" 광문각 2006

      17 산림청, "도시 내 공원녹지와 도시림의 통합적 조성⋅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2008

      18 이경재, "도시 공원녹지의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 비교 및 적용 - 서울시 구로구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 36 (36): 27-35, 2008

      19 환경부, "녹지총량제 도입방안 연구" 2007

      20 노태욱, "개발제한구역 조정에 따른 녹지관리체계의 개선" 254 : 3-14, 2003

      21 多田啓哉, "都市公園法の条例委任に係る研究" Ⅱ (Ⅱ): 23-28, 2011

      22 藤崎健郎, "東京都区部における都市公園開設史の量的解析" 53 (53): 79-84, 1990

      23 朴九遠, "日本と韓国における都市公園の開発政策と現状" 75 : 27-47, 1996

      24 轟修, "我が国の公園面積標準と市街地密度に関する基礎的な考察" 17 : 295-300, 2000

      25 横山光雄, "公園計画基準に関する研究" 49-58, 1952

      26 国土交通省, "みどりの政策の現狀と課題"

      27 City of Boston, "open space plan 2008-2014" 2008

      28 "http://www.toukei.metro.tokyo.jp/"

      29 "http://www.seattle.gov"

      30 "http://www.nycgovparks.org/rules"

      31 "http://www.mlit.go.jp/"

      32 "http://www.kensetsu.metro.tokyo.jp/"

      33 "http://www.cityofboston.gov/parks/"

      34 "http://www.city.yokohama.lg.jp/kankyo/"

      35 "http://www.aecom.com/"

      36 City of New York, "The Mayor’s Management Report Fiscal 2011" 2011

      37 Margaret Walls, "Parks and Recreation in the United States: Local Park Systems" Resources for the Future 2009

      38 NYC School construction authority, "NYC Green Schools Guide"

      39 NYC Environmental Protection, "NYC Green Infrastructure Plan" 2011

      40 Peter Harnik, "Inside City Park" Urban Land Institute 2000

      41 Michele Adams, "High Performance Landscape Guidelines: 21st Century Parks for New York"

      42 홍성언, "GIS와 AHP 의사결정 방법을 이용한 도시 근린 공원의 입지 분석" 대한지리학회 38 (38): 849-960, 2003

      43 NYS Office of Parks, Recreatiom & Historic Preservation, "Biodiversity in New York’s State Park System: Summary of Findings" 2007

      44 City of New York, "A Greener, Greater New York’"

      45 최희수, ""대학교 담장개방 녹화사업"을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분석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