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우간다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 요인 : 2016년 인구보건조사(DHS) 자료를 이용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41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우간다의 모성, 영유아 및 아동에 대한 돌봄의 연속성 수준을 측정하고,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2 차 자료인 2016 년 우간다 인구보건조사(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DHS)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711 명의 가임기 여성(15-49 세) 중 최근 출산한 아이가 12-23 개월인 여성이다. 독립변수는 개인 및 환경 수준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으로, 모성과 아동이 생애주기에 따라 필수 의료서비스와 필요한 돌봄을 연속적으로 이용하거나 행하는 것(이하, 모자보건 돌봄을 연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11 개 돌봄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임신기간에 필요한 돌봄으로서 1)산전관리, 2)파상풍 예방접종, 출산 시 필요한 3)시설분만, 4)전문인력에 의한 분만, 산후기에 필요한 4)산모의 산후관리 5)영유아의 산후관리, 영유아기에 필수적인 6)결핵 예방접종, 7)5 가 혼합백신, 8)소아마비 예방접종, 9)홍역 예방접종, 아동기에 필요한 11)연령에 맞는 모유수유이다. 각 11 개의 모자보건 돌봄의 지표를 하나의 표준화된 값으로 지수화하여 각 연구 대상자의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을 0-1 점 범위로 나타내었다.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모자보건 돌봄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자보건 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으며, 본 연구에서 수정한 복합보장지수의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 정리 및 통계는 IBM SPSS 23.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연구대상자 1,711 명의 평균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은 0.73 (SD=0.18)이었으며, 연구대상자의 10.2%가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을 완료하였다. 임신기간 동안에 가장 많은 여성의 수가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서 이탈하여, 산전관리를 4 회 미만 이용하거나, 파상풍 예방주사를 완료하지 않은 채 출산하였다. 개인과 환경 수준의 변수를 모두 포함하여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여성이 직업을 가진 경우(β=0.092, p<0.001), 임신 12 주 이내 첫 산전관리를 받은 경우(β=0.083, p<0.001), 최상위층인 경우(β=0.096, p<0.05), 의도한 임신인 경우(β=0.080, p<0.05)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여성의 교육수준이 초등졸업인 경우(β=-0.086, p<0.05), 보건의료시설까지의 거리에 큰 문제가 있는 경우(β=-0.100, p<0.001), 거주하는 행정구역이 북부 지역이 아닌 중부(β=-0.185, p<0.001), 동부(β=-0.110, p<0.05), 서부(β=-0.174, p<0.001)인 경우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해당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7.3%(R2 = 0.073)로 확인되었다.

      결론 : 우간다의 모성 및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임신기간이 모자보건 돌봄의 진입점이 된다는 것을 염두하여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 등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추가적으로 개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도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 본 연구는 우간다의 모성, 영유아 및 아동에 대한 돌봄의 연속성 수준을 측정하고,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 : 본 연구는 우간다의 모성, 영유아 및 아동에 대한 돌봄의 연속성 수준을 측정하고,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2 차 자료인 2016 년 우간다 인구보건조사(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DHS)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711 명의 가임기 여성(15-49 세) 중 최근 출산한 아이가 12-23 개월인 여성이다. 독립변수는 개인 및 환경 수준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종속변수는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으로, 모성과 아동이 생애주기에 따라 필수 의료서비스와 필요한 돌봄을 연속적으로 이용하거나 행하는 것(이하, 모자보건 돌봄을 연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11 개 돌봄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임신기간에 필요한 돌봄으로서 1)산전관리, 2)파상풍 예방접종, 출산 시 필요한 3)시설분만, 4)전문인력에 의한 분만, 산후기에 필요한 4)산모의 산후관리 5)영유아의 산후관리, 영유아기에 필수적인 6)결핵 예방접종, 7)5 가 혼합백신, 8)소아마비 예방접종, 9)홍역 예방접종, 아동기에 필요한 11)연령에 맞는 모유수유이다. 각 11 개의 모자보건 돌봄의 지표를 하나의 표준화된 값으로 지수화하여 각 연구 대상자의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을 0-1 점 범위로 나타내었다.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모자보건 돌봄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모자보건 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으며, 본 연구에서 수정한 복합보장지수의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 정리 및 통계는 IBM SPSS 23.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전체 연구대상자 1,711 명의 평균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은 0.73 (SD=0.18)이었으며, 연구대상자의 10.2%가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을 완료하였다. 임신기간 동안에 가장 많은 여성의 수가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서 이탈하여, 산전관리를 4 회 미만 이용하거나, 파상풍 예방주사를 완료하지 않은 채 출산하였다. 개인과 환경 수준의 변수를 모두 포함하여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여성이 직업을 가진 경우(β=0.092, p<0.001), 임신 12 주 이내 첫 산전관리를 받은 경우(β=0.083, p<0.001), 최상위층인 경우(β=0.096, p<0.05), 의도한 임신인 경우(β=0.080, p<0.05)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여성의 교육수준이 초등졸업인 경우(β=-0.086, p<0.05), 보건의료시설까지의 거리에 큰 문제가 있는 경우(β=-0.100, p<0.001), 거주하는 행정구역이 북부 지역이 아닌 중부(β=-0.185, p<0.001), 동부(β=-0.110, p<0.05), 서부(β=-0.174, p<0.001)인 경우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해당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7.3%(R2 = 0.073)로 확인되었다.

      결론 : 우간다의 모성 및 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 제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임신기간이 모자보건 돌봄의 진입점이 된다는 것을 염두하여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교육 프로그램 등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추가적으로 개인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요인도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6
      • Abstract
      • Ⅰ. 서론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6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7
      • 1. 연구모형 7
      • 2. 연구대상 국가 8
      • 3. 연구 자료원 11
      • 4. 연구대상 13
      • 5. 변수정의 15
      • 가. 종속변수 측정 15
      • 나. 종속변수 구성요소 17
      • 다. 독립변수 21
      • 6. 분석방법 24
      • 7. 윤리적 고려 25
      • Ⅲ. 연구결과 26
      •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6
      • 가. 개인적 특성 26
      • 나. 환경적 특성 28
      • 2. 수정한 복합보장지수 타당성 검증 29
      • 3.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 수준 30
      • 가. 연구대상자의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 수준 분포 30
      • 나.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 수준 31
      • 다. 생애주기에 따른 모자보건 돌봄의 연속성 수준 32
      • 4.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34
      • Ⅳ. 고찰 38
      • Ⅴ. 결론 46
      • 참고문헌 47
      • 국문요약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