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PR실무자들의 전문성 인식과 실천,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PR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influenced by Internal Commun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6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whether open internal communication has influence on PR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To confirm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t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whether open internal communication has influence on PR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and their job satisfaction. To confirm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two groups of PR practitioners; corporate PR practitioners and PR agency practitioners. Specially, following 4 research questions are set up for this study:
      1. Does open internal communication in a PR organization have influence on PR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standards?
      2. Does open internal communication in a PR organization have influence on PR practitioners’ job satisfaction?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PR practitioners’ job satisfaction whether PR practitioners perform the professional standards concertedly which they recognize importantly or not?
      4. According to two groups of PR practitioners, is there any difference in PR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open internal communication, survey questions are made up of internal communication oriented team,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other teams, and degree of information sharing. Also, 20 questions are used to confirm PR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These 20 questions are re-designed with reference to 27 questions that had adjusted for Korea PR practitioners on the basis of Cameron, Sallot, and Lariscy’s study. With JDI which Smith etc. designed, job satisfaction will b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pen internal communic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R practitioners’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not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information sharing in the PR organization is founded out as a significant factor to decide open internal communication.
      Second, in case of 8 statements of the 20 professional standards, PR practitioners’ job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when they perform the professional standards concertedly which they recognize importantly. Even though significant results are founded out only in 8 statements, job satisfaction is decided subjectively depending on accordance between PR practitioners’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That is, PR practitioners’ job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building up the circumstance where their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can be performed.
      Lastly, according to PR practitioners’ organizations, they show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PR practitioners’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among importance of internal communication, PR practitioner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re founded out. These findings can be a tiny step to understand each other a little bit more between the academic world and the business world in the PR industry. Through this understanding, two world people will set up the definition and professionalism concerning PR industry with one vo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 홍보실과 PR 대행사에 근무하는 P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두 집단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실태를 파악하고 PR 실무자들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실천 정도를 확인하며, 그...

      본 연구는 기업 홍보실과 PR 대행사에 근무하는 P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두 집단 내부의 커뮤니케이션 실태를 파악하고 PR 실무자들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실천 정도를 확인하며, 그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해 느끼고 있는 만족을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과 관련 문헌에 대한 검토를 통해, 다음과 같은 4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PR 조직 내부의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은 PR 실무자들이 특정 전문성 항목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와 실무 현장에서의 실천하는 정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PR 조직 내부의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의 PR 담당자들과 PR 대행사 실무자들의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PR 실무자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 항목들을 실무 현장에서 일치되게 실천하고 있는가의 여부가 PR 실무자들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PR 실무자들은 그들이 속한 집단에 따라, 중요하게 인식 혹은 실천하고 있는 전문성 항목, 그리고 직무 만족 수준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가?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개방성을 측정하기 위해 PR 실무자가 속한 부서 또는 팀 내부에서 업무와 관련해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부서간 커뮤니케이션, 정보 공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문항들로 구성하였다. 또한 전문성에 대한 실무자들의 중요성 인식 정도와 실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카메론, 샬롯, 그리고 라리스키(Cameron, Sallot, & Lariscy)가 제시한 24가지 전문성 측정 문항을 근거로 국내 상황에 맞게 디자인된 27가지의 전문성 측정 문항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20개 문항으로 재구성했다. 직무 만족은 스미스(Smith) 등이 제안한 JDI를 활용해 측정하고자 했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적인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은 PR 실무자들이 전문성 항목을 실제로 수행하게 하는데 있어, 그리고 실무자들의 직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더불어 정보 공유 정도가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개방성을 결정하는데 있어 하나의 중요 변인으로써 의미를 지님을 확인해냈다.
      또한 8가지 전문성 항목의 경우, PR 실무자들이 자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와 일치되게 실무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을 때, 그렇지 않은 실무자들에 비해 직무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해냈다. 비록 일부의 전문성 항목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집단간 차이가 발견되었다 할지라도 이를 통해 직무 만족 수준이 실무자들의 주관적인 기준과 이에 대한 평가 정도에 의해 좌우되는 지극히 주관적인 태도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확인된 8가지 전문성 항목에 대한 PR 실무자들의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한 후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직무 여건을 조성해줌으로써 홍보 조직 전체의 직무 만족도 또한 제고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PR 실무자들은 그들이 속해 있는 집단에 따라 중요하다고 인식하거나 혹은, 실천하고 있는 전문성 항목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집단간 직무 만족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양적인 면에서 절대적으로 부족한 국내 PR 실무 환경을 연구함으로써, PR 실무자들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으며, 또한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PR 학계와 PR 실무 현장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서로에게 한 발씩 다가설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통일된 목소리로 PR 산업을 정의하고 산업의 전문성을 확보해 나가는데 이번 연구가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국문초록 = ⅵ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4
      • 목차
      • 국문초록 = ⅵ
      • 제 1 장 서론 = 1
      • 제 1 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문헌 연구 = 8
      • 제 1 절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적 고찰 = 8
      • 1.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개념 및 기능 = 8
      • 2.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 15
      • 1)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Formal Communication) = 17
      • 2)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Informal Communication) = 19
      • 3.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과 직무 만족과의 관계 = 20
      • 제 2 절 전문직업인 의식 = 23
      • 1. 전문직의 개념 및 특성 = 23
      • 2. 전문직업화의 과정 = 29
      • 제 3 절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33
      • 1. 직무 만족도의 개념 및 중요성 = 33
      • 2. 직무 만족 관련 주요 이론 = 40
      • 1) 비교 이론 (Comparison Theory) = 40
      • 2) 공정성 이론 (Equity Theory) = 41
      • 3) 2 요인 이론 (Two- Factor Theory) = 42
      • 4) 욕구 계층 이론 (Need Hierarchy Theory) = 42
      • 3. 직무 만족 결정 요인 = 45
      • 4. 직무 만족의 측정 = 47
      • 제 4 절 PR 실무자에 관한 기존의 연구 = 49
      • 1. 외국의 연구 = 49
      • 2. 국내의 연구 = 56
      • 제 3 장 연구 디자인 설계 = 62
      • 제 1 절 연구 문제와 가설 설정 = 62
      • 제 2 절 연구 모형 = 64
      • 제 3 절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 66
      • 제 4 절 설문지 디자인 = 72
      • 1. 설문지 구성 = 72
      • 2. 신뢰성 검증 = 74
      • 3. 타당성 검증 = 74
      • 제 5 절 연구 가설별 연구 방법 = 77
      • 제 5 장 연구 결과 = 78
      • 제 1 절 조사 대상과 조사 기간 = 78
      • 제 2 절 표본 집단의 성격 = 79
      • 1. 인구통계학적/사회적 특성 = 79
      • 2. 표본집단의 기술통계분석 = 82
      • 제 3 절 연구 문제 및 가설 검증 = 86
      • 1. 연구 문제 1의 검증 = 86
      • 2. 연구 문제 2의 검증 = 93
      • 3. 연구 문제 3의 검증 = 96
      • 4. 연구 문제 4의 검증 = 99
      • 제 6 장 결론 = 105
      • 제 1 절 연구 결과 요약 및 시사점 = 105
      • 제 2 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 112
      • 참고 문헌 = 115
      • ABSTRACT = 123
      • 설문지 = 126
      • 표 목차 = 16
      • <표1>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형태 = 16
      • <표2> 일반직업과 전문직업의 비교 = 28
      • <표3> 전문직화 과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 30
      • <표4> 직무만족에 대한 학자들의 정의 = 35
      • <표5> 위생요인과 = 42
      • <표6> 학자들에 따른 직무 만족 영향 요인 = 45
      • <표7> 전문적 PR 수행을 위한 24개의 기준들 = 51
      • <표8> PR 실무자와 관련해 연구된 국내 논문 = 57
      • <표9> 설문지 구성 = 71
      • <표10> 변수들의 신뢰성 계수 = 72
      • <표11>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 타당성 분석 결과 = 73
      • <표12> 조직내부커뮤니케이션을 구성하는 3가지 요인들간의 상관관계 = 74
      • <표13> 연구 가설별 연구 방법 = 75
      • <표14> 성별 구성비 = 77
      • <표15> 연령별 구성비 = 78
      • <표16> 최종 학력과 PR관련 학과 졸업 여부 = 78
      • <표17> 조직의 규모 79<표18> 응답자들의 직위 = 79
      • <표19> PR관련 업무 근무 경력 = 80
      • <표20> 실무자들이 속한 조직의 PR협회 가입여부 = 80
      • <표21> Part Ⅰ 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 80
      • <표22> Part Ⅱ-1 전문성 인식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 81
      • <표23> Part Ⅱ-2 전문성 실천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 82
      • <표24> Part Ⅲ 직무만족도 대한 기술통계분석 = 83
      • <표25> Part Ⅲ 이직 성향에 대한 추가 기술통계분석 = 83
      • <표26> 조직내부컴 개방성 & 전문성항목 중요성 인식정도간의 상관관계 = 84
      • <표27> 두 집단간 비교 = 86
      • <표28> 조직내부컴 개방성 & 전문성항목 실천정도간의 상관관계 = 86
      • <표29>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 개방성이 실무자들의 전문성 항목 실천 정도에 미치는 영향력 = 88
      • <표30> 3가지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이 전문성항목 실천에 미치는 영향 = 89
      • <표31> 기업 홍보실 실무자 전문성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력 = 90
      • <표32> PR 대행사 실무자 전문성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력 = 90
      • <표33> 조직내부커뮤니케이션 개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92
      • <표34> 3가지 조직내부커뮤니케이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93
      • <표35> 전문성 인식과 실천의 일치 여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간 비교 = 95
      • <표36> 전문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의 일치여부가 유의미한 8가지 항목 = 96
      • <표37> 두 집단의 8가지 전문성 기준에 대한 중요성 인식차이 비교 = 98
      • <표38> 20가지 전문성 항목의 중요성에 대한 두 집단간 차이 추가확인 = 99
      • <표39> 두 집단의 8가지 전문성 기준에 대한 실천 정도 비교 = 100
      • <표40> 20가지 전문성 항목 실천 정도에 있어서 두 집단 차이에 대한 추가검증 = 101
      • <표41> 두 집단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차이 검증 = 102
      • <표42> 이직성향에 대한 두 집단간 차이 비교 = 106
      • <표43> 직위에 따른 이직성향 = 107
      • 그림 목차 = 10
      • <그림1> Keith David & John W. Newton 의 모형 = 10
      • <그림2> Pincus 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성과” 연구 모형 = 22
      • <그림3> 두 가지 전문직화의 과정의 관계 = 32
      • <그림4> 연구모형 = 63
      • <그림5> 조직내부커뮤니케이션 개방성과 PR실무자들의 전문성항목 인식 정도간의 상관관계 = 85
      • <그림6> 조직내부커뮤니케이션 개방성과 PR 실무자들의 전문성항목 실천 정도간의 상관관계 = 87
      • <그림7> 조직 내부 커뮤니케이션 개방성과 직무만족간의 상관관계 =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