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있어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대학생 404명(남 169명, 여 235...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457741
부천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상담심리학 전공 , 2020. 2
2019
한국어
158.3 판사항(21)
경기도
v, 56 p. ; 26 cm.
지도교수: 이희경
가톨릭대학교(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포함: p. 34-44
I804:41027-20000028502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있어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대학생 404명(남 169명, 여 235...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있어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대학생 404명(남 169명, 여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면화된 수치심, 지각된 정서적지지, 다차원적 경험회피를 측정하였고,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1.0과 SPSS macro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지각된 정서적지지, 다차원적 경험회피, 심리적 안녕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치심이 내면화된 개인의 관계적 특성과 내적인 특성을 고려한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 internalized sham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 total of 404 un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 internalized sham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 total of 40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internalized shame, perceived emotional support,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data was analyzed with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perceived emotional support,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psychological well be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espectivel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mediating effect. However,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no ser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as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