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1990년대의 박정희와 한국 소설: 이인화와 성석제 겹쳐 읽기 = Park Chung-hee and Korean Novels in the 1990s: Overlapping Lee Inhwa and Sung Su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801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90년대에 나타난 박정희에 대한 관심과 향수는 1997년 박정희 신드롬을 통해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실체화되었다. 특히 그 과정에서 이인화의 『인간의 길』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출간되어 언론의 관심을 받음으로써 박정희 신드롬을 상징하는 텍스트로 자리매김했다. 이인화가 반복적으로 밝힌바 『인간의 길』은 박정희를 근대 국가라는 목표를 위해 ‘모반’을 수행하는 영웅으로 허구화한다. 그러나 서사 내에서의 미진한 점들이 결국 작가—서술자의 개입을 통해 동어반복적인 순환논리로 봉합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길』은 박정희 신드롬 증상자의 시선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비슷한 시기 쓰인 성석제의 『왕을 찾아서』와 『왕의 인생』 연작은 박정희를 연상시키는 ‘마사오’를 비롯한 지역 내 권력의 문제를 다룬다. 이때 성석제는 ‘마사오’를 예찬하는 1인칭 서술자의 권위와 신빙성을 스스로 축소함으로써 박정희 신드롬의 의식 구조를 비판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거리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인화와 성석제가 상술한 작업을 수행한 것은 단순히 퇴행적이고 복고주의적인 시도가 아니라 1990년대 상황에서 작가들이 느낀 위기감, 곧 탈냉전 이후 확산되는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의 통치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기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인화가 악마적 영웅주의이라는 시대착오적인 방법론을 통해 국가주의로 경사됐다면, 성석제는 박정희에 대한 주체의 의식을 투명하게 전시함으로써 박정희가 남긴 현재적 문제들과 대면한다는 차이가 있다.
      번역하기

      1990년대에 나타난 박정희에 대한 관심과 향수는 1997년 박정희 신드롬을 통해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실체화되었다. 특히 그 과정에서 이인화의 『인간의 길』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출간되...

      1990년대에 나타난 박정희에 대한 관심과 향수는 1997년 박정희 신드롬을 통해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실체화되었다. 특히 그 과정에서 이인화의 『인간의 길』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출간되어 언론의 관심을 받음으로써 박정희 신드롬을 상징하는 텍스트로 자리매김했다. 이인화가 반복적으로 밝힌바 『인간의 길』은 박정희를 근대 국가라는 목표를 위해 ‘모반’을 수행하는 영웅으로 허구화한다. 그러나 서사 내에서의 미진한 점들이 결국 작가—서술자의 개입을 통해 동어반복적인 순환논리로 봉합된다는 점에서 『인간의 길』은 박정희 신드롬 증상자의 시선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비슷한 시기 쓰인 성석제의 『왕을 찾아서』와 『왕의 인생』 연작은 박정희를 연상시키는 ‘마사오’를 비롯한 지역 내 권력의 문제를 다룬다. 이때 성석제는 ‘마사오’를 예찬하는 1인칭 서술자의 권위와 신빙성을 스스로 축소함으로써 박정희 신드롬의 의식 구조를 비판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거리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인화와 성석제가 상술한 작업을 수행한 것은 단순히 퇴행적이고 복고주의적인 시도가 아니라 1990년대 상황에서 작가들이 느낀 위기감, 곧 탈냉전 이후 확산되는 자본주의적 시장경제의 통치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기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인화가 악마적 영웅주의이라는 시대착오적인 방법론을 통해 국가주의로 경사됐다면, 성석제는 박정희에 대한 주체의 의식을 투명하게 전시함으로써 박정희가 남긴 현재적 문제들과 대면한다는 차이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otice and nostalgia for Park Chung-hee that emerged in the 1990s materialized as a cultural phenomenon in 1997, so called the Park Chung-hee Syndrome. In particular, Lee Inhwa’s The Way of Man was published relatively early and received media attention, establishing it as a symbolic text of the Park Chung-hee syndrome. As Lee has repeatedly stated, The Way of Man fictionalizes Park as a hero who performs ‘rebellion’ for the goal of a modern nation. However, in the sense that the gaps in the narrative are eventually seal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author-narrator in a tautological circular logic, The Way of Man exposes the perspective of a symptomatic of Park Chung-hee Syndrome. On the other hand, Sung Sukje’s Searching for the King and The Life of the King,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deal with the issue of power in the region, such as Masao, who reminds of Park Chung-hee. By diminishing the reliability of the first-person narrator who praises Masao, Sung creates a distance that allows him to critically examine the mentality of the Park Chung-hee syndrome. Above all, however, Lee Inhwa and Sung Sukje’s works described above are not simply regressive and retrospective attempts, but rather the result of a sense of crisis felt in the 1990s, namely the questioning of the domination of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spreading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Lee is inclined to facist nationalism, presenting an anachronistic aesthetics of demonic heroism, Sung confronts contemporary problems Park Chung-hee left by exposing the attitude of the subject toward the authority.
      번역하기

      The notice and nostalgia for Park Chung-hee that emerged in the 1990s materialized as a cultural phenomenon in 1997, so called the Park Chung-hee Syndrome. In particular, Lee Inhwa’s The Way of Man was published relatively early and received media a...

      The notice and nostalgia for Park Chung-hee that emerged in the 1990s materialized as a cultural phenomenon in 1997, so called the Park Chung-hee Syndrome. In particular, Lee Inhwa’s The Way of Man was published relatively early and received media attention, establishing it as a symbolic text of the Park Chung-hee syndrome. As Lee has repeatedly stated, The Way of Man fictionalizes Park as a hero who performs ‘rebellion’ for the goal of a modern nation. However, in the sense that the gaps in the narrative are eventually seal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author-narrator in a tautological circular logic, The Way of Man exposes the perspective of a symptomatic of Park Chung-hee Syndrome. On the other hand, Sung Sukje’s Searching for the King and The Life of the King, written around the same time, deal with the issue of power in the region, such as Masao, who reminds of Park Chung-hee. By diminishing the reliability of the first-person narrator who praises Masao, Sung creates a distance that allows him to critically examine the mentality of the Park Chung-hee syndrome. Above all, however, Lee Inhwa and Sung Sukje’s works described above are not simply regressive and retrospective attempts, but rather the result of a sense of crisis felt in the 1990s, namely the questioning of the domination of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spreading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e difference is that while Lee is inclined to facist nationalism, presenting an anachronistic aesthetics of demonic heroism, Sung confronts contemporary problems Park Chung-hee left by exposing the attitude of the subject toward the author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