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상구, "「숙향전」의 현실적 성격" 한국고전문학회 64-103, 1991
2 박재연, "필사본고어대사전(전7책)" 학고방 2010
3 박재연, "장칠션젼 황쥬문생록 나나봉젼" 학고방 2013
4 정병설, "일본인의 한국어 교재 「숙향전」" 문헌과 해석사 (26) : 99-108, 2004
5 김기동, "이조시대 소설론" 정연사 1-608, 1959
6 박일용,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 월인 1-417, 2003
7 안산향토사연구소, "안산지역 3․1운동 독립만세 운동 연구 조사 보고서" 안산향토사연구소 1-142, 2008
8 차충환,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50) : 121-148, 2010
9 장경남, "새 資料 「유장옥전」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07-230, 2008
10 권중서, "사찰의 문과 다리" 대한불교진흥원 1-215, 2010
1 이상구, "「숙향전」의 현실적 성격" 한국고전문학회 64-103, 1991
2 박재연, "필사본고어대사전(전7책)" 학고방 2010
3 박재연, "장칠션젼 황쥬문생록 나나봉젼" 학고방 2013
4 정병설, "일본인의 한국어 교재 「숙향전」" 문헌과 해석사 (26) : 99-108, 2004
5 김기동, "이조시대 소설론" 정연사 1-608, 1959
6 박일용,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 월인 1-417, 2003
7 안산향토사연구소, "안산지역 3․1운동 독립만세 운동 연구 조사 보고서" 안산향토사연구소 1-142, 2008
8 차충환,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50) : 121-148, 2010
9 장경남, "새 資料 「유장옥전」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07-230, 2008
10 권중서, "사찰의 문과 다리" 대한불교진흥원 1-215, 2010
11 조명화, "마곡사" 대원사 1-143, 1998
12 권중서, "공주 마곡사" 봉은사 (74) : 4-13, 2013
13 정승철, "개화기 국어 음운" 국립국어연구원 (4) : 7-59, 1999
14 조동일, "英雄의 一生, 그 文學史的 展開"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0) : 165-214, 1971
15 "竹栗夜學落成"
16 趙秀三, "秋齋集" 紀異 傳奇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