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나봉젼」 硏究 = A Study of Korean Classic Novel Nanabong-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2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about the Korean classical novel, Nana- bong-jeon. This novel is a transcription in Hangul and is possessed in Sun- moon University. The first half of the novel contains Mrs. Wang's sufferings, family's separation and refugee life during wartime. The other half shows Nanabong's growth, love, activities in war, and his family reunion.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is close to “hero novel”, it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heroic novels in that the novel lightly treats Nanabong's con- ception dreams, military stories, and love stories. And specifically deals with his civilian army activities. Also, Mrs. Wang's ordeal is emphasized as much as Nanabong's activity. Nanabong-jeon basically follows the previous gener- ation's military stories and women suffering stories. However, it gives vari- ation in the narrative details, showing characteristics such as “civilian army activity of by a group of thieves”, “suffering of women during wartime”, and “local features and verisimilitude to the real world”. These features show a new tendency of the early 20th century's Korean classic novels.
      번역하기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about the Korean classical novel, Nana- bong-jeon. This novel is a transcription in Hangul and is possessed in Sun- moon University. The first half of the novel contains Mrs. Wang's sufferings, family's separation and ref...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about the Korean classical novel, Nana- bong-jeon. This novel is a transcription in Hangul and is possessed in Sun- moon University. The first half of the novel contains Mrs. Wang's sufferings, family's separation and refugee life during wartime. The other half shows Nanabong's growth, love, activities in war, and his family reunion.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is close to “hero novel”, it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heroic novels in that the novel lightly treats Nanabong's con- ception dreams, military stories, and love stories. And specifically deals with his civilian army activities. Also, Mrs. Wang's ordeal is emphasized as much as Nanabong's activity. Nanabong-jeon basically follows the previous gener- ation's military stories and women suffering stories. However, it gives vari- ation in the narrative details, showing characteristics such as “civilian army activity of by a group of thieves”, “suffering of women during wartime”, and “local features and verisimilitude to the real world”. These features show a new tendency of the early 20th century's Korean classic nove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나나봉젼」은 현재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에 소장된 상․하권의 한글 筆寫本 소설이다. 상권에서는 주로 전란에 의한 가족 이산과 피난 과정 등 왕부인의 수난을 다루었으며, 하권에서는 나나봉의 성장과 結緣, 전장에서의 활약상, 가족 상봉 등을 다루었다. 작품의 전반적인 서사구조는 英雄小說에 가깝지만, 나나봉의 胎夢과 軍談, 結緣談이 생략되거나 매우 소략하게 제시되고, 그가 도적의 신분으로 의병 활동을 벌이는 점 등은 전형적인 영웅소설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또한 나나봉의 활약상 이상으로 왕부인의 수난이 크게 강조되며 현실 공간의 핍진성과 향토성이 부각된다는 점 역시 「나나봉젼」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나나봉젼」은 前代 소설의 군담과 여성수난담 등을 수용하는 동시에 세부 서사에 변화를 줌으로써, ‘群盜의 義兵 활동’과 ‘戰亂에 의한 女性의 受難’, ‘현실 공간의 逼眞性과 鄕土性 강화’라는 서사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부분은 20세기 초반에 향유되던 고전소설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나나봉젼」은 현재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에 소장된 상․하권의 한글 筆寫本 소설이다. 상권에서는 주로 전란에 의한 가족 이산과 피난 과정 등 왕부인의 수난을 다루었으며, 하...

      「나나봉젼」은 현재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에 소장된 상․하권의 한글 筆寫本 소설이다. 상권에서는 주로 전란에 의한 가족 이산과 피난 과정 등 왕부인의 수난을 다루었으며, 하권에서는 나나봉의 성장과 結緣, 전장에서의 활약상, 가족 상봉 등을 다루었다. 작품의 전반적인 서사구조는 英雄小說에 가깝지만, 나나봉의 胎夢과 軍談, 結緣談이 생략되거나 매우 소략하게 제시되고, 그가 도적의 신분으로 의병 활동을 벌이는 점 등은 전형적인 영웅소설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또한 나나봉의 활약상 이상으로 왕부인의 수난이 크게 강조되며 현실 공간의 핍진성과 향토성이 부각된다는 점 역시 「나나봉젼」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나나봉젼」은 前代 소설의 군담과 여성수난담 등을 수용하는 동시에 세부 서사에 변화를 줌으로써, ‘群盜의 義兵 활동’과 ‘戰亂에 의한 女性의 受難’, ‘현실 공간의 逼眞性과 鄕土性 강화’라는 서사적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부분은 20세기 초반에 향유되던 고전소설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구, "「숙향전」의 현실적 성격" 한국고전문학회 64-103, 1991

      2 박재연, "필사본고어대사전(전7책)" 학고방 2010

      3 박재연, "장칠션젼 황쥬문생록 나나봉젼" 학고방 2013

      4 정병설, "일본인의 한국어 교재 「숙향전」" 문헌과 해석사 (26) : 99-108, 2004

      5 김기동, "이조시대 소설론" 정연사 1-608, 1959

      6 박일용,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 월인 1-417, 2003

      7 안산향토사연구소, "안산지역 3․1운동 독립만세 운동 연구 조사 보고서" 안산향토사연구소 1-142, 2008

      8 차충환,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50) : 121-148, 2010

      9 장경남, "새 資料 「유장옥전」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07-230, 2008

      10 권중서, "사찰의 문과 다리" 대한불교진흥원 1-215, 2010

      1 이상구, "「숙향전」의 현실적 성격" 한국고전문학회 64-103, 1991

      2 박재연, "필사본고어대사전(전7책)" 학고방 2010

      3 박재연, "장칠션젼 황쥬문생록 나나봉젼" 학고방 2013

      4 정병설, "일본인의 한국어 교재 「숙향전」" 문헌과 해석사 (26) : 99-108, 2004

      5 김기동, "이조시대 소설론" 정연사 1-608, 1959

      6 박일용,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 월인 1-417, 2003

      7 안산향토사연구소, "안산지역 3․1운동 독립만세 운동 연구 조사 보고서" 안산향토사연구소 1-142, 2008

      8 차충환, "신작 구소설 「이두충렬록」의 형성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연구" 국제어문학회 (50) : 121-148, 2010

      9 장경남, "새 資料 「유장옥전」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07-230, 2008

      10 권중서, "사찰의 문과 다리" 대한불교진흥원 1-215, 2010

      11 조명화, "마곡사" 대원사 1-143, 1998

      12 권중서, "공주 마곡사" 봉은사 (74) : 4-13, 2013

      13 정승철, "개화기 국어 음운" 국립국어연구원 (4) : 7-59, 1999

      14 조동일, "英雄의 一生, 그 文學史的 展開"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0) : 165-214, 1971

      15 "竹栗夜學落成"

      16 趙秀三, "秋齋集" 紀異 傳奇叟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