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城百濟 形成期 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  實用土器 生産의 專門化에 대한 檢討 = The Specialization of Utilitarian Pottery Production in the Early State, Hanseong Bae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6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원삼국 · 삼국시대 중부지방(漢江 中流域)의 취락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유물군을 중심으로 토기생산 전문화의 수준을 진단하고 그 변동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논...

      본 연구에서는 원삼국 · 삼국시대 중부지방(漢江 中流域)의 취락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유물군을 중심으로 토기생산 전문화의 수준을 진단하고 그 변동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에 앞서 최근 발굴 보고된 남양주 장현리유적을 중심으로 토기유물군의 편년을 검토했다. 그 결과 打捺文 甕과 鉢이 生産되기 시작한 것은 4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되어 기존의 연대보다 100년 하향 조정 되었다. 기존의 견해처럼 한성백제 양식의 기종들은 3세기 후반 갑자기 등장한 것이 아니라 4세기 후엽부터 점진적으로 등장하여 5세기 중엽에 가까운 시기에 완비되는 것으로 파악했다. 다음으로 토기유물군의 변화를 생산체계 변동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먼저 원삼국시대에는 취락 내 중도식무문토기 생산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이 시대 말기에 타날문단경호 전문생산을 위한 독립된 공방이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았다. 타날기법과 회전법에 의해 甕과 鉢 器種이 표준화된 형태로 대량생산되는 것은 4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되었다. 이 생산시스템의 기술체계는 타날문단경호의 제작기술과 연관되지만 山水里窯址와 같은 토기생산유적에서 생산 기종을 확대했다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 다만 大田 龍溪洞유적의 사례를 보면 대규모 취락의 경우 옹과 발의 생산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운영했을 가능성도 크다는 것은 지적할만하다. 끝으로 저장용토기의 생산 · 분배시스템에 대해 검토했다. 백제의 경우 지하식 수혈에 대형토기를 이용하는 저장방법이 유행했기에 5세기에는 그러한 저장방식에 사용된 대형단 경호의 생산이 확대되었다. 이 대형단경호는 취락 단위로 실용토기를 제작했던 생산체계나 기술체계와는 판이한 방식으로 생산되었다고 보며 백제 국가체제의 개입에 따른 것으로 설명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ower Han river valley, where the formation of the early state, Hanseong Baekje, had been under way from 3rd to 5th century A.D. the ceramic assemblages from the settlement have been considered as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pac...

      In the lower Han river valley, where the formation of the early state, Hanseong Baekje, had been under way from 3rd to 5th century A.D. the ceramic assemblages from the settlement have been considered as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pace of the socio?political changes. In this paper, however, the widely accepted developmental scheme of the ceramic assemblage is totally reexamined, because it is not fitted to overall process of the change. It could be suggested, based on the new chronological scheme, that two classes of utilitarian wares, the cooking jar and the bowl for preparing and serving had got to be produced by the pioneering potters who had painstakingly acquired the skill of the wheel throwing method and the paddle and anvil during the middle of 4th century A.D. It is not until the early 5th century that the specialized production of the large storage jar had been achiev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漢城百濟 形成期 編年의 問題點
      • Ⅲ. 住居址 및 土器遺物群 變遷의 分期와 年代
      • Ⅵ. 中部地方의 土器生産體系와 生産의 專門化
      • 요약
      • Ⅰ. 머리말
      • Ⅱ. 漢城百濟 形成期 編年의 問題點
      • Ⅲ. 住居址 및 土器遺物群 變遷의 分期와 年代
      • Ⅵ. 中部地方의 土器生産體系와 生産의 專門化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만영, "六角形住居址와漢城期百濟聚落" 한국고고학회 74 (74): 76-117, 2010

      2 예맥문화재연구원, "화천원천리유적"

      3 徐賢珠, "호서지역의 원삼국문화, In 馬韓·百濟사람들의 주거와 삶" 국립공주박물관·중앙문화재연구원 222-257, 2010

      4 신연식, "호서지역마한·백제주거지연구, In 馬韓·百濟사람들의일본열도이주와교류" 국립공주박물관·중앙문화재 연구원 45-71, 2010

      5 鄭一, "호남지역마한·백제토기의생산과유통, In 호남고고학에서바라본생산과유통" 湖南考古學會 191-217, 2009

      6 이지영, "호남지방 3~6세기 토기가마의 변화양상" 호남고고학회 30 : 65-100, 2008

      7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회 8 (8): 51-68, 2009

      8 韓志仙, "한강을통한백제정치적영역확장, In 정치적공간으로서의한강Ⅰ" 45-73, 2009

      9 권오영, "풍납토성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백제연구소 36 : 25-48, 2002

      10 유은식, "토기의제작기법으로본연해주와강원도자료검토, In 철기시대연해주와강원도지역의비교연구" 제31회한 국고고학전국대회 자유패널 발표,pp.511~528. 511-528, 2007

      1 송만영, "六角形住居址와漢城期百濟聚落" 한국고고학회 74 (74): 76-117, 2010

      2 예맥문화재연구원, "화천원천리유적"

      3 徐賢珠, "호서지역의 원삼국문화, In 馬韓·百濟사람들의 주거와 삶" 국립공주박물관·중앙문화재연구원 222-257, 2010

      4 신연식, "호서지역마한·백제주거지연구, In 馬韓·百濟사람들의일본열도이주와교류" 국립공주박물관·중앙문화재 연구원 45-71, 2010

      5 鄭一, "호남지역마한·백제토기의생산과유통, In 호남고고학에서바라본생산과유통" 湖南考古學會 191-217, 2009

      6 이지영, "호남지방 3~6세기 토기가마의 변화양상" 호남고고학회 30 : 65-100, 2008

      7 심재연, "한성백제기의 영동 영서" 중부고고학회 8 (8): 51-68, 2009

      8 韓志仙, "한강을통한백제정치적영역확장, In 정치적공간으로서의한강Ⅰ" 45-73, 2009

      9 권오영, "풍납토성 출토 외래유물에 대한 검토" 백제연구소 36 : 25-48, 2002

      10 유은식, "토기의제작기법으로본연해주와강원도자료검토, In 철기시대연해주와강원도지역의비교연구" 제31회한 국고고학전국대회 자유패널 발표,pp.511~528. 511-528, 2007

      11 이준호, "토기의 형식분류본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국립문화재연구소 (36) : 87-104, 2003

      12 조상기, "청주지역 원삼국~백제시대 생활유적 토기 상대편년 연구" 한국고대학회 26 (26): 41-88, 2007

      13 조대연, "진천 삼룡리·산수리 유적 출토 토기의 생산기술에 관한 고찰 –토기암석학과 주사전자현미경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2 (62): 55-84, 2008

      14 이승재, "중부지방 원삼국시대 중도식 무문토기 연구 - 영동ㆍ영서지역 출토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30 (30): 157-186, 2009

      15 韓志仙, "중도식경질무문토기에서보이는조리방법의검토" 6 (6): 69-92, 2007

      16 成正鏞, "제6장원삼국시대, In 忠淸南道誌 ③"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274-342, 2006

      17 권오영,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중부고고학회 8 (8): 31-49, 2009

      18 김성남, "오이도 원삼국토기의 성격" 백제연구소 40 (40): 33-58, 2004

      19 洪潽植, "연질옹과 시루에 의한 지역권 설정, In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鶴山金廷鶴博士頌壽紀念論叢, 學硏文化社 557-588, 2000

      20 조대연, "생산, 유통, 소비연구의제문제.최근동향을중심으로, In 호남고고학에서바라본생산과유통" 湖南考古學會 167-185, 2009

      21 兪炳琭, "삼국시대낙동강하류역및남해안취락의특성, In 嶺南地方原三國·三國時代住居와聚落" 79-95, 2005

      22 국립문화재연구소, "사적11호風納土城"

      23 김장석, "백제한성양식토기의유통망분석, In 백제생산기술의발달과유통체계확대의정치사회적함의" 학연문화사 99-144, 2008

      24 성정용, "백제 관련 연대결정자료와 연대관" 호서고고학회 22 (22): 76-90, 2010

      25 鄭仁盛, "동북아시아에서 타날문단경호 확산, In 중도식무문토기의 전개와 성격"

      26 유은식, "동북계토기로본강원지역중도식무문토기의편년과계통, In 중도식무문토기의전개와성격" 숭실대학교 35-64, 2010

      27 도문선, "대전 용계동 원삼국시대 취락, In 갈등과 전쟁의 고고학" 한국고고학회 311-320, 2009

      28 金一圭, "단계설정과편년, In 加平大成里遺蹟.본문2" 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 182-186,

      29 沈載淵, "남한강중상류지역의철기시대문화의특징" 6 (6): 39-67, 2007

      30 鄭仁盛, "낙랑‘타날문단경호’연구" 9 : 95-132, 2007

      31 김기옥, "김포운양동유적. 갈등과전쟁의고고학" 한국고고학회 321-333, 2009

      32 권오영, "경기지역 백제고고학의 최근 성과와 연구의 미래" 호서고고학회 15 (15): 81-106, 2006

      33 金武重, "강원지역원삼국시대토기편년, In 江原地域의鐵器文化" 강원고고학회 129-130, 2006

      34 沈載淵, "강원영동지역철기시대상한과하한, In 江原地域의鐵器文化" 강원고고회 75-82, 2006

      35 朴守榮, "강릉초당동삼국시대유구와유물에대한소고, In 사적제409호강릉초당동유적" 한국문화재조사기관협회 2009

      36 鄭仁盛, "가평대성리유적출토외래계유물.서북한계유물을중심으로, In 加平大成里遺蹟.본문2" 경기문화재단·경기문화재연구원 210-233, 2009

      37 崔盛洛, "韓國原三國文化의硏究" 學硏文化社 1993

      38 定森秀夫, "韓國ソウル地域出土三國時代土器について, In 生産と流通の考古學(橫山浩一先生退官記念論文集Ⅰ)" 443-466, 1989

      39 木下 亘, "韓半島 出土 須惠器(系) 土器에 대하여" 백제연구소 37 : 21-36, 2003

      40 김은정, "韓半島 中西部 以南地域 土器 成形技法에 대한 一考察 - 토기 바닥면 관찰을 중심으로 -" 호남고고학회 31 (31): 75-104, 2009

      41 池賢柄, "鐵器時代住居構造와聚落, In 韓國古代文化의變遷과交涉" 서경문화사 141-209, 2000

      42 柳基正, "鎭川三龍里·山水里窯土器의괥通에관한硏究(下)" 16 : 1-75, 2003

      43 최경환, "錦江流域百濟土器窯址의 構造와 生産體制에 대한 一硏究" 한국고고학회 76 (76): 61-96, 2010

      44 咸舜燮, "錦江流域圈의 馬韓에서 百濟로의 轉換, In 3~5세기 금강유역의 고고학" 1-21, 1998

      45 成正鏞, "錦山地域 三國時代 土器編年" 호남고고학회 16 : 53-78, 2002

      46 李盛周, "辰·弁韓 土器 生産技術의 形成과 轉移, In 弁·辰韓의 世界" 25-60, 1998

      47 鄭相石, "華城發安里마을遺蹟, In 고구려고고학의제문제" 185-214, 2003

      48 金武重, "華城 旗安里製鐵遺蹟 出土 樂浪系土器에 대하여" 백제연구소 40 (40): 73-97, 2004

      49 李盛周, "草堂洞遺蹟에서본江陵地域의新羅化過程, In 사적제490호강릉초당동유적" 461-484, 2009

      50 鄭澄元, "終末期無文土器에관한硏究" 20 : 113-131, 1987

      51 신종국, "百濟한성지역의景觀변화에대한초보적검토, In 정치적공간으로서의한강Ⅰ" 105-138, 2010

      52 金成南, "百濟漢城樣式土器의形成과變遷에대하여" 3 (3): 29-51, 2004

      53 金武重, "百濟漢城期地域土器編年" 3 (3): 53-63, 2004

      54 朴淳發, "百濟土器의形成過程" 23 : 21-64, 1992

      55 한지선, "百濟土器 成立期 樣相에 대한 再檢討" 백제연구소 41 (41): 1-31, 2005

      56 權五榮, "物資·技術·思想의흐름으로본百濟와樂浪의교섭, In 漢城期百濟의물류시스템과對外交涉" 학연문화사 225-253, 2004

      57 金武重, "漢江流域 原三國時代의 土器, In 원삼국시대 문화의 지역성과 변동" 13-18, 2005

      58 金一圭, "漢江中·下流域의 中島式土器編年小考, In 石軒鄭澄元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釜山考古學硏究會 445-462, 2006

      59 朴淳發, "漢城百濟의誕生" 서경 2001

      60 朴淳發, "漢城百濟基層文化의性格" 26 : 167-181, 1996

      61 金一圭, "漢城期百濟土器編年再考, In 한성백제의역사와문화" 143-161, 2007

      62 정종태, "湖西地域 長卵形土器의 變遷樣相" 호서고고학회 (9집) : 13-36, 2003

      63 유창현, "江原地域鐵器時代住居址內爐址硏究" 9 : 69-93, 2007

      64 李映澈, "榮山江流域의原三國時代土器相, In 원삼국시대문화의지역성과변동" 67-90, 2005

      65 李盛周, "技術革新의社會的條件과過程, In 삼한·삼국시대의토기생산기술" 복천박물관 1-34, 2003

      66 李盛周, "打捺文短頸壺의展開와陶質土器의發生" 42 : 57-106, 2000

      67 池賢柄, "嶺東地域의鐵器時代硏究.住居址를中心으로" 檀國大學校大學院 1999

      68 李盛周, "嶺南地方原三國時代土器, In 원삼국시대문화의지역성과변동" 91-122, 2005

      69 吉井秀夫, "土器資料를통해서본3~5세기의百濟와倭의交涉關係, In 漢城期百濟의물류시스템과對外交涉" 학연문화사 191-216, 2004

      70 이성주, "圓底短頸壺의 生産 技術革新에 따른 生産體系의 再編" 한국고고학회 68 (68): 88-127, 2008

      71 정주희, "咸安樣式古式陶質土器의 分布定型과 意味" 한국고고학회 73 (73): 4-51, 2009

      72 李政根, "咸安地域古式陶質土器의生産과流通" 大學校大學院 2006

      73 李政根, "咸安于巨里土器生産遺蹟" 國立金海博物館 2007

      74 李盛周, "原三國時代의 無文土器傳統, In 중도식무문토기의 전개와 성격"

      75 白弘基, "原三國時代村落의構造와機能.溟洲郡安仁里遺蹟의例를中心으로" 35 : 1-54, 1992

      76 李盛周, "原三國時代土器의類型, 系譜, 編年, 生産體制" 2 : 235-297, 1991

      77 이성주, "原三國時代 土器에 대한 理論的 論議의 方向 -영남지방의 토기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26 (26): 5-40, 2007

      78 장덕원, "原三國∼三國時代 금강유역의 주거와 취사시설의 변화로 본 정치적 동향 -기원후 3~5세기 자료를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 22 (22): 4-46, 2010

      79 酒井淸治, "千葉市大森第2遺跡出土の百濟土器" 九州古文化硏究會 106-124, 1985

      80 金垠井, "全北地域 原三國時代 住居止 硏究" 호남고고학회 26 : 59-87, 2007

      81 武末純一, "九州의百濟系土器, In 日本所在百濟文化財調査報告書Ⅱ" 九州地方, 國立公州博物館 82-110, 2000

      82 홍지윤, "中部地方馬韓·百濟住居變遷, In 馬韓·百濟사람들의일본열도이주와교류" 국립공주박물관·중앙문화재연 구원 17-40, 2010

      83 宋滿榮, "中部地方原三國文化의編年的基礎.住居址의相對編年을中心으로" 41 : 37-71, 1999

      84 宋滿榮, "中部地方原三國文化의 展開過程과 韓濊政治體의 動向" 駕갫國史蹟開發硏究院 10 : 101-143, 2003

      85 金成南, "中部地方3~4세기古墳群細部編年" 33 : 29-51, 2001

      86 이창엽, "中西部地域 百濟漢城期 木棺墓 變化- 烏山 水淸洞遺蹟을 中心으로 -" 한국고대학회 27 (27): 81-110, 2007

      87 成正鏞, "中西部地域 原三國時代 土器 樣相" 한국고고학회 (60) : 120-157, 2006

      88 李昌熙, "三韓時代南海岸의日常土器硏究" 釜山大學校大學院 2005

      89 이준호, "‘중도식토기’의 개념과 상대편년론에 대한 재검토, In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한강Ⅰ" 서울경기고고학회 19-41, 2009

      90 정인성, "‘瓦質土器 樂浪影響說’의 검토" 영남고고학회 47 (47): 5-44, 2008

      91 Wailes, B., "V. Gordon Childe and the relation of production, In Craft Specialization and Social Evolution in Memory of V. Gordon Childe, University Museum Monograph 93" University of Pennsylvania 3-16, 1996

      92 van der Leeuw, S. E., "Towards a study of the economics of pottery making, In Ex Horreo" University of Amsterdam 68-76, 1977

      93 Smith, Jr. M. F, "Toward an economic interpretation of ceramics: Relating vessel size and shape to use, In Decoding Prehistoric Ceramic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54-309, 1985

      94 Hruby, Z. X, "Specialized”Production in Archaeological Contexts: Rethinkpng Specialization, the Social value of products and the practice of Production, In Rethinking Craft Specialization in Complex Societies: Archaeological Analyses of the Social Meaning of Production" (17) : 1-35, 2007

      95 Peacock, D. P. S, "Pottery in the Roman World: An Ethnoarchaeological Approach" Longman 1982

      96 David, N., "On the Life Span of Pottery, Type Frequencies, and Archaeological Inferenc" 37 (37): 141-142, 1972

      97 Shott, M. J, "Mortal Pots; On Use Life and Vessel Size in the Formation of Ceramic Assemblages" 61 (61): 463-482, 1996

      98 Benco, N, "Morphological Standardization and Production: An Approach to the Study of Craft Production, In A Pot For All Reason : Ceramic Ecology Revisited, In Laboratory of Anthropology" Temple University 57-71, 1986

      99 Arnold, J. E, "Independent or Attached Specialization: The Organization of Shell Bead Production in California" 21 (21): 473-489, 1994

      100 Balfet, H., "Ethnographical Observations in North Africa and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The Pottery of the Maghreb, In Ceramics and Man, Viking Fund Publications in Anthropology No. 41" Wenner.Gren Foundation for Anthropological Research 161-177, 1965

      101 Costin, C. L., "Craft Specialization: Issues in Defining, Documenting, and Explaining the Organization of Production" 3 : 1-56, 1991

      102 Clark, J. E, "Craft Specialization as Archaeological Category" 16 : 267-294, 1995

      103 Costin, C. L, "Craft Production System, In Archaeology at Millenium" Plenum 273-327, 2001

      104 DeBoer, W. R., "Ceramic Logetivity and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An Example from the Upper Ucayali, Peru" 39 (39): 335-345, 1974

      105 成正鏞, "4~5세기백제의물질문화와지방지배, In 4~5세기백제유물특별전한성에서웅진으로" 국립공주박물관 209-227, 2006

      106 成正鏞, "4~5세기百濟의地方支配" 24 : 77-109, 2001

      107 朴守榮, "4~5世紀嶺東地域의考古學的硏究" 嶺南大學校大學院 2010

      108 權五榮, "101호유구의성격에대한고찰, In 風納土城Ⅵ" 한신대학교박물관 123-127,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