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보육프로그램 활동목표의 내용요소 및 진술방법 분석 = Analysis of Content Elements and Stating Method of Child Care Program Activities Objectiv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5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content elements and stating methods of Activities Objectives stated in the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of Standard Child Car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6 books developed and supplied from 2012 to 2013 from the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Based on the Standard Child Care program (0~2years)" and "the Nuri Curriculum(3~5years)." The Activities Objectives described in activities which are analysis unit consisted of 8,559 of 1,649 Activities Objectives of the Infants Program and 8,559 Activities Objectives of Toddlers Curriculu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items and the distribution of sub-items in content elements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content elements of each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and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of the standard care process. Second, the expressive objectives are most commonly used as the stating method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elements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and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specific content elements. In conclusion, when stating the objectives of the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be flexible and write them focusing on the content elements proper for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and toddlers. In addition, recognition is required to plan, execute and assess lessons according to the stating metho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content elements and stating methods of Activities Objectives stated in the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of Standard Child Car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6 books developed and supplied f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content elements and stating methods of Activities Objectives stated in the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of Standard Child Car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26 books developed and supplied from 2012 to 2013 from the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Based on the Standard Child Care program (0~2years)" and "the Nuri Curriculum(3~5years)." The Activities Objectives described in activities which are analysis unit consisted of 8,559 of 1,649 Activities Objectives of the Infants Program and 8,559 Activities Objectives of Toddlers Curriculu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ub-items and the distribution of sub-items in content elements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content elements of each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and the content elements of each of the standard care process. Second, the expressive objectives are most commonly used as the stating method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Thir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content elements of the Activities Objectives and Infants and Toddlers Curriculum specific content elements. In conclusion, when stating the objectives of the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be flexible and write them focusing on the content elements proper for the developmental stages of infants and toddlers. In addition, recognition is required to plan, execute and assess lessons according to the stating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의 영유아보육프로그램에 진술된 활동목표의 내용요소와 진술방법을 살펴보고 그 분포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개발 보급된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0~2세)’ 과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3~5세)’ 총 26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단위인 활동에 기술된 목표 진술문은 영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 1,649개와 유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 6,990개로 전체 8,559개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목표의 내용요소 하위항목별 분포와 영아 및 유아 프로그램별 내용요소,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요소에서 하위항목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유아프로그램에서는 ‘기술’ 내용요소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결과를 통해 영유아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지도 방식이 목표 진술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활동목표의 진술 방법으로 표현목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영유아의 보육과정에 있어서 영유아의 탐색과정과 다양한 표현을 중시하는 교육적 태도가 활동목표를 통해 진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아의 경우 행동목표의 진술이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고, 표준보육과정의 신체운동 영역에서 그 빈도가 가장 높았다. 행동목표가 영유아의 확산적 사고와 놀이방법, 교사의 수업지원을 제한한다는 한계점이 있는 만큼 목표 진술시 이 부분을 인식하고 기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활동목표의 내용요소에 따른 진술방법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유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는 보육과정의 내용요소와 목표의 진술방법에서 전체적으로 편향되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활동의 목표를 진술할 때에는 영아와 유아의 발달에 맞는 내용요소에 중점을 두어 융통성 있게 기술해야 할 것이며, 진술방법에 맞게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 평가할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의 영유아보육프로그램에 진술된 활동목표의 내용요소와 진술방법을 살펴보고 그 분포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

      본 연구는 어린이집표준보육과정의 영유아보육프로그램에 진술된 활동목표의 내용요소와 진술방법을 살펴보고 그 분포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개발 보급된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보육프로그램(0~2세)’ 과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3~5세)’ 총 26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단위인 활동에 기술된 목표 진술문은 영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 1,649개와 유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 6,990개로 전체 8,559개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목표의 내용요소 하위항목별 분포와 영아 및 유아 프로그램별 내용요소,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요소에서 하위항목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유아프로그램에서는 ‘기술’ 내용요소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 결과를 통해 영유아프로그램의 교수학습 지도 방식이 목표 진술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활동목표의 진술 방법으로 표현목표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영유아의 보육과정에 있어서 영유아의 탐색과정과 다양한 표현을 중시하는 교육적 태도가 활동목표를 통해 진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아의 경우 행동목표의 진술이 그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고, 표준보육과정의 신체운동 영역에서 그 빈도가 가장 높았다. 행동목표가 영유아의 확산적 사고와 놀이방법, 교사의 수업지원을 제한한다는 한계점이 있는 만큼 목표 진술시 이 부분을 인식하고 기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활동목표의 내용요소에 따른 진술방법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영유아프로그램의 활동목표는 보육과정의 내용요소와 목표의 진술방법에서 전체적으로 편향되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활동의 목표를 진술할 때에는 영아와 유아의 발달에 맞는 내용요소에 중점을 두어 융통성 있게 기술해야 할 것이며, 진술방법에 맞게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 평가할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용성, "학습자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목표 개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323-341, 2006

      2 백은주,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목표, 교수활동과 평가, 교사역할에 대한 교수신념 유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25-248, 2012

      3 이영환,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309-342, 2013

      4 Kim, H. J., "Understanding and operation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childcare teachers" Kyungwom University 2011

      5 Kim, Y. J., "The comparison of father's roles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those in created on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6 Eisner, E. W.,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Macmillan 1979

      7 Kim, O. J., "Study about realizing and application of the standard curriculum by centers' attribute" Dongguk University 2010

      8 Kim, D. Y., "Principles to establishing the objectives of school clas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Korea University 2007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rsery School program based on the Five-year-old Nuri Curriculum (1-4)"

      10 Gronlund, N. 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The Macmilam Puolishing Co 1981

      1 민용성, "학습자 중심의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에 관한 연구-제7차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교육목표 개선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323-341, 2006

      2 백은주,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목표, 교수활동과 평가, 교사역할에 대한 교수신념 유형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25-248, 2012

      3 이영환, "국가수준 보육과정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309-342, 2013

      4 Kim, H. J., "Understanding and operation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for childcare teachers" Kyungwom University 2011

      5 Kim, Y. J., "The comparison of father's roles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with those in created one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6 Eisner, E. W.,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Macmillan 1979

      7 Kim, O. J., "Study about realizing and application of the standard curriculum by centers' attribute" Dongguk University 2010

      8 Kim, D. Y., "Principles to establishing the objectives of school clas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development" Korea University 2007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rsery School program based on the Five-year-old Nuri Curriculum (1-4)"

      10 Gronlund, N. E.,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The Macmilam Puolishing Co 1981

      11 김진희, "Marzano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한 문법 영역의 수업목표 진술 및 평가 문항의 설계"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 (7): 131-160, 2013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fant child care programs based on Nursery School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13 Bae, S. O., "Five-year-old nuri curriculum teaching contents and teachers'guide activity aim analysis" Kyungsung University 2013

      14 Seo, J. K., "Childcare teachers’and parental awareness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Sookmyung Womans University 2009

      15 Do, H. A., "Analyzing the objectives of integrated curriculum with Eisner's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objectiv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9

      16 Lee, K. S., "Analysis of the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in teachers' guide books for nuri curriculum for the age of 3-4" Ewha Womans University 2013

      17 Kim, S. K., "Analysis of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in 3,4-year-old nuri curriculum manual for the teachers" Kongju University 2013

      18 Park, J. H., "A study on teachers’recognition and management"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1

      19 Kim, S. D., "A study on system of objectives and content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2010

      20 송규운, "5세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성 관련 요소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9-54, 2013

      21 Central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3rd Nursery School age child care program based on the use of standard care process"

      2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5year old Nuri Curriculum : Teacher's Guide"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Nursery School assessment accreditation guide (40 or more Nursery School)"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