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내 진로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여가활동의 유형: 이중 잠재프로파일분석의 적용 = The Effect of Participation to School Career Programs on Types of Career Maturity and Leisure Activities for Undergraduate: Application of Dual Latent Profil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9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classes according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leisure activities respectivel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es and the effect of university career programs on the c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classes according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leisure activities respectively,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es and the effect of university career programs on the classification. For this, Dual Latent Profile Analysis (DLPA) was conducted using the 4th (2020) survey data of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II.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latent class according to career maturity and four according to leisure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university career programs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cla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moted a diverse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by examining the career maturity and leisure activity types through DLPA.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whether career programs implemented in universities play their roles proper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여가활동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유형들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 교내 진로 프로그램이 각각의 유형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여가활동의 유형을 분류하여 그 유형들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 교내 진로 프로그램이 각각의 유형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Ⅱ(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 KEEPⅡ)의 제4차(2020년) 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이중 잠재프로파일분석(Dual Latent Profile Analysis; DL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성숙도는 ‘고수준’, ‘중수준’, ‘저수준’의 3개 유형으로, 여가활동은 ‘적극활동형’, ‘온라인집중형’, ‘중간활동형’, ‘SNS비활동형’의 4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교내 진로 프로그램 중 일부가 진로성숙도 및 여가활동 유형 분류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함께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중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여가활동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와 더불어 대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진로 프로그램이 목적에 따라 적절히 그 역할을 해내고 있는지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갖는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