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중 전략적 경쟁시기 양안관계: 수렴과 확산의 이중성 = China-Taiwan Relations During the Era of US-China Conflict: Duality of Convergence and Diffu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2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ull-fledged US-China trade war that began in 2018 has led to several pieces of evidence that suggest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at, up until now, was based on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has now entered a phase where strategic competition...

      The full-fledged US-China trade war that began in 2018 has led to several pieces of evidence that suggest the bilateral relationship that, up until now, was based on both competition and cooperation, has now entered a phase where strategic competition is its defining characteristic. The recent US-China relationship is complicated because it involves a global hegemony competition China's that has followed rise. The relationship is one that involves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time will be required to resolve the issues that the relationship faces. There is an imperative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a perspective of confrontation that is centered on the core interests of both sides. Cross-strait relations issue are very important hotspots that may be the site of real clashes between the Chinese and the Americans.
      The basic issues and contradictions inherent to the current Sino-American relationship include the following: 1) from a political and diplomatic perspective, the issues of travel to Taiwan, 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 and Taiwan Assurance Act issue; 2) from a military perspective, the blockading of China by the US through its Indo-Pacific strategy and freedom of navigation strategy in the South China Sea; and, 3)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e Belt and Road policy and the trade war between China and the US to dominate advanced fields of technology. Of course, while the two countries are clashing due to the contradictions that have emerged from these basic issues, China and the US are still coexisting under the framework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in contrast to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during the Cold War.
      This means that the US-China relationship is not a zero-sum game and that there is space for the two countries to cooperate across many different spheres. China's From perspective, the aim is to complete unification of the country. Chinese leaders believe that the goal is peaceful unification and desire avoiding people unification by force, yet focus on the feelings of the and believe that the barrier to unification is the US. The Taiwan issue is a very big card that countrys the US can play to put China in line. The issue involves both interests carrier and neither can abandon it. Taiwan is like an unsinkable aircraft to the mainland. US, and, to China, territory that must be reunified with the Both the US and China cannot back down on the issue. In short, there are four phenomena that will not change in regards to US and Chinese involvement in Taiwan. As a result, as long as the US and Taiwan maintain their current policies, China will be forced to maintain a hardline response toward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8년 본격화된 미중 간 무역전쟁을 기점으로 경쟁과 협력이 병존하던 양국관계가 전략적 경쟁이 주가 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 최근 미중관계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글로벌 레벨의 패권경...

      2018년 본격화된 미중 간 무역전쟁을 기점으로 경쟁과 협력이 병존하던 양국관계가 전략적 경쟁이 주가 되는 시기에 접어들었다. 최근 미중관계는 중국의 부상에 따른 글로벌 레벨의 패권경쟁의 문제이기 때문에 1) 복합적 성격을 가지고 있고, 2) 국제정치에서 구조적인 문제이고, 3) 문제를 해결할 시간이 필요하며, 4) 쌍방이 핵심이익을 두고 대치적인 관점에서 현 상황을 분석해야 한다. 특히 양안관계는 미.중관계에서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핫스팟(hot spot)에 해당한다.
      현재 미중관계의 모순은 첫째는 정치외교적으로 대만여행법과 국방수권법과 대만보증법 문제이고, 둘째는 군사적 측면에서 인도-태평양전략과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전략을 통해 중국을 봉쇄하는 것이며, 셋째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대일로 정책과 첨단기술분야의 패권 장악을 위해미.중간의 무역전쟁이다. 물론 미.중간에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에서 모순이 발생하여 충돌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냉전시대의 미.소대결 양상과는 달리 경쟁과 협력이 병존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미중간 제로썸 게임은 아니고 다방면에서 협력할 수 있는 공간은 확보되어 있다중국입장에서 대만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은 목표는 평화통일이고, 무력통일은 억제되어야 하며, 관건은 민심이며, 장애는 미국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대만문제는 미국이 중국을 적절히 통제하는데 아주 유용한 빅 카드이기에 미.중이 모두 포기할 수 없는 중대한 국익이 걸린 핵심사안이다. 그래서 미국과 대만이 현재의 정책 방향을 변경하지 않는 한 중국은 강경 대응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훈, "중미 국가들의 대만 단교 움직임 그리고 향후 전망은?, KOTRA 과테말라 무역관 REPORT" KOTRA 2018

      2 그레이엄. T. 엘리슨, "예정된 전쟁" 세종서적 2018

      3 박재규,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의 미래" 한울아카데미 2019

      4 김미옥, "미중 통상분쟁 현황 및 전망" KOTRA 2018

      5 한국군사문제연구원, "미국의 대만 무기 FMS판매 결정과 전략적 함의"

      6 나영주, "미국-대만의 군사동맹 변화와 대만의 안보" 아세아문제연구소 49 (49): 141-172, 2006

      7 이상만, "미 · 중 패권경쟁과 중국제국화 프로젝트 전망" 1-, 2019

      8 이상만, "미 · 중 전략적 패권경쟁과 한국"

      9 이태준, "대만의『신남향(新南向)정책』과 "해바라기 학생운동"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75-784, 2018

      10 문흥호, "대만문제와 양안관계" 폴리테니아 2007

      1 이훈, "중미 국가들의 대만 단교 움직임 그리고 향후 전망은?, KOTRA 과테말라 무역관 REPORT" KOTRA 2018

      2 그레이엄. T. 엘리슨, "예정된 전쟁" 세종서적 2018

      3 박재규,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의 미래" 한울아카데미 2019

      4 김미옥, "미중 통상분쟁 현황 및 전망" KOTRA 2018

      5 한국군사문제연구원, "미국의 대만 무기 FMS판매 결정과 전략적 함의"

      6 나영주, "미국-대만의 군사동맹 변화와 대만의 안보" 아세아문제연구소 49 (49): 141-172, 2006

      7 이상만, "미 · 중 패권경쟁과 중국제국화 프로젝트 전망" 1-, 2019

      8 이상만, "미 · 중 전략적 패권경쟁과 한국"

      9 이태준, "대만의『신남향(新南向)정책』과 "해바라기 학생운동" 고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75-784, 2018

      10 문흥호, "대만문제와 양안관계" 폴리테니아 2007

      11 이권호, "대만 차이잉원 정부 신남향정책의 추진 현황과 평가" 한중사회과학학회 17 (17): 81-117, 2019

      12 신챵, "긴장 속 평화에서 무언의 대치까지: 양안관계 평가 및 전망" 5 (5): 2017

      13 존 J. 미어샤이머,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 미중 패권경쟁의 시대" 김앤김북스 483-485, 2017

      14 环球时报, "购买美农产品是善意符号" 也是杠杆

      15 邵宗海, "蔡英文時代的兩岸關係(2016-2020)" 五南圖書 2017

      16 王建民, "蔡英文 “新南向政策”的主要目標與前景展望"

      17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新闻办公室, "新时代的中国国防"

      18 张小月, "我们绝对不会接受一中原则"

      19 中华人民共和国国务院新闻办公室, "关于中美经贸磋商的中方立场白皮书"

      20 赵全胜, "中美竞合关系与台海问题" 2019

      21 苏起, "中美夹缝中的台湾" 联合新闻网 2019

      22 苏起, "中美博弈, 台湾该选边吗?" 联合新闻网 2019

      23 李相萬, "中美冲突之下的国际新秩序与东亚前景国际学术研讨会资料集" 韩国外国大学台湾研究中心 2019

      24 安秉俊, "中國政治外交論" 博英社 1986

      25 商务部, "中国将恢复采购美国猪肉, 采购量取决于中美贸易谈判进展"

      26 "中华人民共和国和美利坚合众国关于建立外交关系的联合公报"

      27 "中华人民共和国主席习近平在第十三届全国人民代表大会第一次会议上的讲话"

      28 이상만, "一帶一路 -海洋실크로드의 政治經濟的 含意-" 중국지역학회 2 (2): 47-96, 2015

      29 채인택, "[창설 70주년 맞은 나토 동맹] 인도태평양 동맹시대 오나" 중앙시사매거진

      30 "Vice President Mike Pence’s Remarks on the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s China"

      31 Josh Zumbrun, "Us-China Trade Talks Set to Resume With Modest Expectations" The Wall Street Journal

      32 Shi Ding-Sha, "The US Factors in The "New Southbound Policy" 4 : 2017

      33 Christopher Walker, "The Meaning of Sharp Power: How Authoritarian States Project Influence"

      34 J. Gallagher, "The Imperialism of Free Trade, 1815-1914" VI (VI): 1-15, 1953

      35 "The Department of Defense’s Indo-Pacific Strategy Report"

      36 "Sharp Power: Rising Authoritarian Influence" International Forum for Democratic Studies,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37 Christopher Walker, "Hearing on “China’s Relations with U.S. Allies and Partners in Europe and the Asia Pacific”, Testimony before the 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Studies & Analysis, National Endowment for Democracy

      38 "H.R.2479-Taiwan Relations Act"

      39 Taiwan Advocates, "Cross Straits Exchange and National Security of Taiwan" Taiwan Advocates 2004

      40 Charles Hutzler, "China Can’t Make Taiwan ‘Boe to Pressure’, Islands Leader Says" The Wall Street Journal

      41 서진영, "21세기 중국외교정책" 폴리테이아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