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日韓両言語の確認要求表現「よね」·「だろう」と「지」の対照研究 = 意味用法を中心に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63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f the information belongs to both the speaker and listener, from the viewpoint of whether the subject to request of the superiority relationship confirm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re what, confirmation request expression of Japan and...

      In this paper, if the information belongs to both the speaker and listener, from the viewpoint of whether the subject to request of the superiority relationship confirm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re what, confirmation request expression of Japan and South Korea both languages 「yone」「darou」and 「ji」I found out what kind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onfirmation of the decision and information, 「yone」and 「ji」includes, but is also used if to confirm many times the listener the same thing just in case, to 「darou」is not that sense usage. In the Share induction of information, 「yone」 「darou」and 「ji」is, or have forgotten listener, speaker reminded that you have not yet noticed, are induced to share the information. In recognition induction of decision and information, 「darou」and 「ji」includes, but is speaker that already has the recognition is used when it is induced to recognize in the same way as the speaker to listener, meaning would change only when you"ll 「yone」. In consent request, 「yone」isin a situation which is considered to have the same recognition also to the other party, the speaker is sure that his recognition is also a recognition of the other party, are seeking consent, agree. However, 「darou」is not that sense us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先行研究
      • 3. 確認要求表現「よね」·「だろう」と「지」の意味用法
      • 4. まとめ
      • Abstract
      • 1. はじめに
      • 2. 先行研究
      • 3. 確認要求表現「よね」·「だろう」と「지」の意味用法
      • 4. まとめ
      • 参考文献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영, "韓日両言語の確認要求表現「だろう」·「ではないか」と「-지」·「-잖」の意味機能" 대한일어일문학회 (47) : 35-52, 2010

      2 蓮沼昭子, "複文の研究(下)" くろしお出版 1995

      3 伊豆原鶴子, "終助詞「よ」「よね」「ね」再考" 51 (51): 2003

      4 三宅和宏, "日本語確認要求表現の諸相" 号日本語教育学会 (89) : 1996

      5 鄭相哲, "日本語モダリティの機能的研究─ダロウを中心に─" 大阪大学 1994

      6 森山卓良, "日本語の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1989

      1 김수영, "韓日両言語の確認要求表現「だろう」·「ではないか」と「-지」·「-잖」の意味機能" 대한일어일문학회 (47) : 35-52, 2010

      2 蓮沼昭子, "複文の研究(下)" くろしお出版 1995

      3 伊豆原鶴子, "終助詞「よ」「よね」「ね」再考" 51 (51): 2003

      4 三宅和宏, "日本語確認要求表現の諸相" 号日本語教育学会 (89) : 1996

      5 鄭相哲, "日本語モダリティの機能的研究─ダロウを中心に─" 大阪大学 1994

      6 森山卓良, "日本語のモダリティ" くろしお出版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24 0.55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